-창립20주년 특별 기획 열린좌담회- 드레스덴 제안 이후 남북관계와 대북정책 방향 Ⅰ. 취 지 ○ 박근혜 대통령의 “통일대박” 발언 이후 100일이 지났습니다. 통일대박 발언 이후 통일준비위원회 구성 등 조직적 변화와 남북..
박근혜 대통령의 드레스덴 제안, 북한의 호응 이끌어내야– 5.24제재 해제와 인도적 지원으로 출발해야– 비핵화 이행을 위한 남북대화, 6자회담 병행 의지 천명해야 박근혜 대통령의 드레스덴 대북 3대 제안은 남북 화해..
통일이 진짜 대박이 되려면 김진환 (건국대 통일인문학연구단 HK연구교수) 한 치 앞도 내다보기 힘든 게 세상일이다. 그러니 한반도 통일이 대박이 될지, 쪽박이 될지 누가 알겠는가. 그래도 기왕이면 다홍치마라고 했다. 일부 ..
느낄 수 없는 신뢰: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 김 범 콕스 1기 / 동국대 북한학과 이념은 근대성의 산물이다. 근대의 모든 정치체계는 자신이 생각하는 이념의 틀을 가지고 세상을 바라본다. 우리도 예외는 아니다. 자유주의-보수..
정말 외교·안보 분야가 합격점일까? 정재림 더좋은민주주의연구소 칼럼니스트 대한민국 최초 여성 대통령. 대통령 직선제 이후 과반 표를 얻은 첫 대통령 등 많은 수식어가 붙는 박근혜 정부가 어느새 1년을 넘기고 임기 2년 ..
독백이 아닌 대화가 필요하다 장슬기 서울시립대 행정학과 4학년 가까스로 소통이 시작되었다. 작년 초에는 개성공단 완전 폐쇄까지 논의되던 상황이었지만 최근에는 이산가족 상봉과 금강산 관광 재개가 논의되었다. 북한..
[20차 열린좌담회] 박근혜 정부 1년, 통일과 평화의 현 주소 및 전망은? 박근혜 정부가 출범한지 1년이 되었다. 지난 1년 남북관계는 개성공단 잠정중단과 재가동, 남북회담무산과 고위급 접촉, 이산가족 상봉 등 우여곡절을 경..
‘통일대박’에 ‘통일부’가 없다-대통령 직속 통일준비위원회 발족은 통일부 고유기능 훼손 우려--청와대 중심주의에서 벗어나 부처 간 유기적인 통일담론 확대에 노력해야- 박근혜 대통령은 오늘(25일) 경제혁신 3개년 계..
(사)경실련통일협회 박근혜 정부 1년, 통일과 평화의 현주소 및 전망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