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와 시민사회가 함께하는 농정개혁 연속토론회 1] “농업 직불제는 농업농촌의 사회적 기여에 대한 보상개념으로 전환해야” 정책토론회 개최 – 더불어민주당 박완주 의원, 경실련 공동주최 – 경실련과 박완주 의..
살충제 계란 파동의 근본원인인 밀집 사육 방식을 청산하고 유기축산을 확대해야 – 정부의 허술한 대책으로, 농민과 소비자 모두 피해자 – – 생산유통단계와 안전관리 구분해서 식품 안전 관리 체계 정비 필요 –..
경실련, 김영록 장관에게 농업의 새로운 미래를 위해 우선으로 이행해야 할 공약 5가지 제안 – 경자유전 원칙 재확립, 식량자급률 제고, 먹거리 안전강화 등 식량주권 체계 구축 – – 마음 편히 농사짓도록 농산물 가..
19대 대선 농어업 분야 공약평가 결과, 심상정, 안철수, 문재인, 유승민, 홍준표 순으로 높은 점수 – 후보 모두 구체적 및 체계적이지 못한 백화점식 공약 나열 – – 심상정 후보 가치성, 구체성 높으나 적실성이 받쳐..
책소개 이 책이 속한 분야 기술/공학 > 농수산/축산 > 농업경제/정책 > 농업정책 <경실련> 문고 제3호. 한국농업의 문제점과 나아갈 방향, 국제농업환경등을 다룬 논문 모음. 저자소개 저자 : 김성훈 목차 001. 한국농업, 왜 지켜야 하는가 002. 한국농업, 어디에 와 있나 003. 국제농업환경은 어떠한가 004. 한국농정, 무엇이 문제인가 005. 한국농정, 어떻게 해야 하는가 006. 외국농정의 교훈 007. … 더 보기 "한국농업 이 길로 가야 한다"
경실련, 양극화 및 불평등 개선을 위한 20대 총선 ‘5대 부문 15대 경제구조개혁 과제’ 제시 우리사회 양극화 및 불평등은 ①재벌개혁 ②노동시장 양극화와 불평등개선 ③서민주거안정을 위한 부동산 시장 및 건설산업 구조개..
TPP가입이 우리농업에 미치는 영향과 대응방안 모색 토론회 ○ 일 시 : 2015년 6월 2일(화) 오후 3시○ 장 소 : 국회 도서관 소회의실○ 주 최 : 경실련, 국회의원 김우남, 국회의원 신정훈, 국회의원 윤명희 ○ 사 회 : 김 호 교수(경..
원산지 표시, 처벌 강화와 표시품목 확대가 병행되야 –음식재료로 주요 사용되는 농산물 표시 확대되야– –가공식품 및 복합원재료 원산지 전면 표시하라– –처벌에 대한 단서 삭제하고 실효성 높혀야– ..
박근혜 대통령, 쌀 개방에 대한 사회적 합의에 직접 나서야 – 국민과의 약속을 지키지 않은 것에 대해 사과하고, 충분한 의견수렴과 토론 과정을 통해 문제 해결해야 – 1. 18일, 이동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농민과 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