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스케치] 남북경협 진단과 해법모색을 위한 연속토론회3 박근혜정부 대북정책과 DMZ평화공원의 가능성 박근혜 정부의 대북정책을 실질적으로 구현할 “DMZ세계평화공원”의 가능성에 관한 토론회가 27일 경실련 강당에서 ..
100%의 목표 0%의 준비, 통일을 디자인 하라!! 전영선 건국대 HK통일인문학연구단 교수 통일디자이너. 2012년부터 쓰기 시작한 새로운 직업이다. 통일을 하는 과정과 통일 이후의 우리 사회에서 무엇이 필요할까 생각하다. 만든 직..
[현장스케치] 남북경협 진단과 해법모색을 위한 연속토론회2 개성공단 국제화와 3통문제 해결 ○ 사 회 : 백 학 순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 발 제 : 이 상 만 (중앙대 경제학과 교수) ○ 토 론 : 유 창 근 (개성공단기업인협..
“남북경협비용은 평화와 통일을 위한 비용” 김 영 윤 ((사)남북물류포럼 회장) Ⅰ. 역대 한국정부 대북한 지출규모 o 김대중 정부(1998년부터)에서 이명박 정부 임기 중반인 2010년 6월까지의 대북 총 송금액 – 김대중 정부:..
“동북아 국제정치의 변화와 ‘한반도 문제’의 해결” 백 학 순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1. 서 론한반도와 동북아 국제정치가 큰 전환기에 들어서 있다. 우선 동북아 지역의 강국인 중국은 G2 지위로의 부상을 배경으로 시..
남북경협 진단과 해법모색을 위한 연속토론회①] –금강산관광 법, 제도 변경과 공동위원회 구성- – 일 시 : 2013년 11월 13일(수) 오후 2시– 장 소 : 경실련 강당– 주 최 : (사)경실련통일협회– 프로그램(안) ○ 사..
정부는 더 이상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 행사에 침묵하지 말라!일본의 집단적 자위권, 남북관계와 동북아 정세에 심대한 악영향박근혜 정부, 다자간 평화협정으로 나아가야 지난 3일 미국과 일본은 외교국방장관 연석회의(2+2 회..
통일, 지역의 역할은 무엇인가? 전 현 준(동북아평화협력연구원 원장) 1. 통일은 왜 해야 하는가? 남북통일은 우리민족의 꿈입니다. 남북한은 5,000여년 동안 하나의 국가를 이루고 살아왔습니다. 그런데 우리의 의지와는 상관..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의 미망(迷妄) 김 성 훈 경실련통일협회 고문 박근혜정부의 대북정책은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라는 용어에 축약되어 있다. 북한이 지금이라도 핵을 포기하고 올바른 선택을 한다면 ..
[16차 열린좌담회] “전작권 환수 연기와 MD체제 편입 어떻게 볼 것인가?” -남북관계와 한반도 주변정세를 중심으로- 한-미 간 전작권 환수 재연기와 MD체제 편입 논의가 이루어지면서 남북관계를 비롯한 한반도 주변정세가 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