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경협 & 통일운동단체 5.24조치 해제촉구 성명 및 제안서 우리의 미래인 남북교류협력을 위하여 이제는 5.24조치를 해제할 때다 경실련통일협회를 비롯한 7개 단체(경실련통일협회, 남북경제협력포럼, 남북경협국민운동본..
5.24조치 관련 전문가 설문조사 결과 발표전문가 73%, 5.24조치로 북한제재효과 없어압도적 다수(91%), 5.24조치 해제·완화로 전향적 남북관계 열어가야 I. 조사 목적 ○ (사)경실련통일협회는 2010년 천안함 사건에 대한 이명박 정부..
오바마 한일 순방: 문제 해결보다 문제 확인에 그쳐 김근식 경남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일본과 한국을 순방했다. 미일정상회담과 한미정상회담 한번으로 동북아 정세와 한반도 문제가 일거에 해결되..
한·미, 제재와 압박에서 벗어나 북핵문제 해법 제시해야비핵화 대안 없는 실망스러운 회담에 그쳐대북압박 위주의 군사협력 강화로 한반도 긴장 지속될 듯 박근혜 대통령과 오바마 대통령은 지난 25일 정상회담을 갖고 ‘한미..
창립20주년 연속토론회 대안적 통일론과 새로운 통일운동①통일이념 무엇으로 할 것인가? – 민족주의 VS 보편주의 – 남북이 분단된 지 70여 년이 지났지만, 우리사회 안팎에서 합리적 관점으로 남북관계에 이념적 잣대를..
드레스덴 선언 이후 남북관계와 대북정책의 방향은? -북한붕괴론, 흡수통일의 공허한 통일구호에서 벗어나야– 박근혜 대통령이 신년기자회견에서 통일대박을 언급한지 100일이 되었다. 통일대박 발언 이후 통일준비위원..
공허한 그들만의 통일 구호 정 재 림 경실련통일협회 회원 분단 된지 70여 년을 앞두고 있다. 곧 통일할 수 있다는 기대가 어느덧 반세기를 넘어 69년이라는 시간이 흘렀다. 이제는 통일의 기대보다는 체념과 순응이 더 가까운..
금강산관광 재개 없는 통일대박은 불가능하다.-금강산관광 중단 6년, 열린좌담회- 금강산관광은남북한 주민들이 직접 만나 상호 이질감을 줄여나가며 남북화해와 협력을이끌어 나아가는 핵심적인 경협사업이었다. 그러나 지..
-창립20주년 특별 기획 열린좌담회- 드레스덴 제안 이후 남북관계와 대북정책 방향 Ⅰ. 취 지 ○ 박근혜 대통령의 “통일대박” 발언 이후 100일이 지났습니다. 통일대박 발언 이후 통일준비위원회 구성 등 조직적 변화와 남북..
지난연말, 국가기관 선거개입 의혹과 철도민영화 문제가 큰 반향을 일으킨 데 이어 ‘안녕들하십니까’라는 질문에 한국사회는 뜨겁게 대답했다. 하지만 올해 지방선거를 앞두고 정치는 구태를 벗지 못하고 있고, 경제활성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