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스토리

필터
칼럼
나는 아직 잊지 않아요. 창립 당시 우리에게 물밀듯이 밀려들었던 소외된 이웃들의 소리를

  변형윤 경실련 초대 공동대표 <경실련은 창립 20주년을 맞이하여, 경실련 역대 공동대표들의 인터뷰를 기획하였다. 그 첫 번째로 변형윤 경실련 초대 공동대표를 5월 29일 경복궁 앞에 위치한 사무실에서 강철규 공동대표, 정미화 상집위원장, 양혁승 정책위원장, 위정희 기획실장과 함께 만났다.> 변형윤 전 공동대표로부터 경실련 창립에서부터 20주년이 되기까지의 감회를 들어보자. ‘경실련 창립, 정부와 재야 모두 반가워 하진 않았다’ 89년 경실련 창립 시 첫 공동대표를 맡게 되었다. 사실 그때 당시 나 또한 경실련의 단체 특성을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한 상태에서 공동대표 요청을 수락했었다. 시민운동의 상이 명확치 않았던 때였다. 그래서인지 내가 경실련 초대공동대표를 맞는 다고 하니 내 주변의 많은 사람들이 '왜 그런 것을 하느냐'며 이상하게 봤었다.  사회의 이러한 곱지 않은 시선은 경실련 공동대표에게만 국한되진 않았다. 당시 정부담당자들 역시, 조직 안에서 ‘왜 경실련과 같은 단체와 만나는가?’라는 질문을 받는 등 곱지 않은 시선을 받았다고 한다.(민정당 김용환 정책의장의 말에 의하면 당시 경실련과 간담회를 준비하는데 주변에서 왜 그런걸 하냐고 물었었다고 했다.) 여당인 민정당(이후 신한국당)과 공안당국에서는 나를 만나는 것을 꺼려했던 시절이었다. 그런 일이 바로 20년 전의 일이었다. “난 지금도 잊지 않는다.  그때 경실련 사무국을 찾았던 수 많은 소리들을” 경실련 창립 당시의 한국사회는 지금과 많이 다른 모습이었다. 사회 모든 분야에 제도적으로 개혁해야할 과제들이 많았었고 특히 민생부분이 그랬다. 관심과 배려로부터 소외된 이웃, 보호받지 못하는  경제적 약자들의 한 맺힌 목소리가 들리던 때였다. 나는 지금도 잊지 않는다. 그때는 세상의 가장 밑바닥에서 소리가 다 들리고 있었으며, 그 소리를 듣는 것은 경실련뿐이었다. 경실련 존재의 필요성이 절실히 느껴졌고, 또 창립시 활동이었던 '토지공개념 도입'운동을 할땐 많은 시...

발행일 2009.06.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