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스토리

필터
칼럼
[동숭동칼럼] 창립 25주년을 맞는 경실련 혁신 방향

경실련이 처한 환경 이명박, 박근혜 정부를 지나며 우리사회는 민주적 기본가치들이 붕괴하고 과거 권위주의 체제에서 횡행했던 국가기관의 공안몰이와 정치적 비판세력에 대한 배제가 노골화되고 있다. 특히 사실에 근거한 정론으로 사회 통합에 기여해야 할 주류언론은 권력의 영향력에 장악되거나 연합되어 건전한 담론과 여론 형성을 왜곡하고 있다. 통합보다는 갈등이, 혁신과 쇄신보다는 과거로의 회귀가 일반화되어 국가발전을 더 이상 기대할 수 없는 상황이다.   경제사회적 측면에서도 양극화는 심화되고 있다. 경제민주화는 사실상 실종되고 전통적인 경제기득권 세력인 재벌중심 체제는 더욱 기승을 부리고 있다. 복지사회는 구호로만 그쳐 빈곤계층으로 전락한 개인은 경제시장으로의 재진입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이로써 경제주체들의 공정한 참여와 경쟁이 사라져 산업간 격차는 물론이고 비정규직 문제 심화, 가계부채 급증 등으로 개인간 격차도 더욱 심화되어 균형적 경제성장은 더욱 요원한 상황이다.   이러한 때 한국의 시민사회는 지난 시기 정치의제의 과잉, 운동가들의 정치참여 등으로 기존 정당과 같은 정치세력과 동일하게 인식됨으로써 시민적 기대와 신뢰를 얻지 못하며 우리 사회 문제의 해결주체로 나서지 못하고 있다. 해결주체가 되기는커녕 오히려 조직의 지속성 여부를 고민해야 하는 우울한 상태이다.   경실련은 다행히 시민단체 활동의 기본원칙인 공익(Public Interest), 정파적 중립(Nonpartisan)을 철저히 유지하여 시민단체로서 순수성과 독립성을 크게 의심받지 않고 있다. 사회적 이슈에 대해 경실련이 어떤 위치를 갖느냐에 따라 시민 사회 지형이 변화하는 상황으로, 경실련의 행보는 시민사회의 주목을 한 몸에 받고 있다.   그러나 유감스럽게도 경실련에 대한 기대와 요구가 그 어느 때 보다 높아지고 있고,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초기 경실련의 신뢰와 영향력을 회복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가 오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수행할 경실련 내부 역량은 참으로 허약하기 그지없는 상...

발행일 2014.0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