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스토리

필터
스토리
[당신과 나를 이어줄 ㅊㅊㅊ] 책방이음 폐점합니다

[월간경실련 2020년 9,10월호 – 우리들이야기(4)] ‘삼시 세끼’보다 ‘함께 한 끼’를 하자!   조진석 나와우리+책방이음 대표 책방이음 폐점을 앞두고서, 처음 책방 문을 열 때가 생각납니다. 2005년 가을 서울 종로구 혜화동에 40평 남짓의 자그마한 책방이 생겼습니다. 퇴직금에, 지인들의 돈을 빌려서, 인문 분야와 예술 분야에 특화된 서점을 꿈꾸면서 문을 열었답니다. 엘피(LP)판을 팔고, 때론 중고 책도 팔고, 나중엔 전시장 대관으로 서점을 유지하려는 몸부림을 쳤지만, 결국 2009년을 넘기지 못했습니다. 그렇게 서점 하나가 사라진 자리에, 다시 서점이 생겼습니다. 이번에는 비영리 공익서점을 표방했습니다. 책방이 상품 판매를 통해 수익을 만들고, 영업이익을 창출해야 운영 가능한 영리사업인 걸 모르는 이는 없지요. 그런데 ‘비영리’를 내세웠습니다. 이유는 간단합니다. 서점에서 책을 팔아서 이익을 낼 수 없기 때문입니다. 왜냐면 서점에 들어오는 가격으로는 수익을 낼 수 있는 것이 아니기에 비영리일 수밖에 없었습니다. 조금 더 구체적으로 이야기하자면, 책 저자에게 주는 비용이 대체로 책값의 10%이고, 여기에 종이값과 인쇄비와 편집비 등 포함하면 책값의 40~60% 비용이 듭니다. 이 책이 도매상을 거쳐 책값의 평균 70% 금액으로 동네책방으로 옵니다. 온라인서점과 대형서점은 현행 유통구조에서 도매상을 거치지 않습니다. 대체로 출판사에서 바로 책을 받습니다. 예를 들어서, 한 달에 하루도 안 쉬고 22명이 매일 책을 사서 매달 1천만 원 수익을 내는 동네서점이 있다면, 이 중 700만 원은 책값으로 지출해야 한다는 뜻입니다. 그러고서 남은 300만 원을 유지비로 써야 합니다. 임대료, 인건비, 카드 수수료와 세금을 포함한 기타 비용까지 이 금액으로 해결해야 합니다. 임대료가 싸고, 최저임금을 받고, 마른 수건을 짜는 심정으로 비용을 줄이고 줄이면 운영할 수 있을지 모릅니다. 물론 도서를 정가로 판다는 전제에서 출발한다면 이렇습니다. ...

발행일 2020.09.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