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스토리

필터
칼럼
[스포츠이야기] 독이 든 성배, 지자체의 국제대회 유치

독이 든 성배, 지자체의 국제대회 유치   김건호 국책사업감시팀 부장   지난달 대구에서 열린 세계육상선수권대회가 막을 내렸다. 몇 가지 해프닝도 있었고 조직위원회의 실수도 있었지만 무난하게 진행되었다는 게 중론이다. 언론에서는 이로써 우리나라가 3대 국제스포츠 이벤트, 즉 올림픽과 월드컵 그리고 세계육상대회를 모두 성공적으로 치러낸 스포츠 강국임을 강조하고 나서는 모양새다. 그리고 화룡정점격인 평창 동계올림픽 성공적 개최의 주문 또한 잊지 않는다.   이렇게 규모가 큰 국제대회를 유치하거나 개최할 때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것이 하나 있다. 바로 막대한 경제효과다. 이번 대구 세계육상대회도 대회 개최 전 생산유발효과와 부가가치를 합치면 8조원의 경제효과를 낳는다는 분석이 발표된 바 있다. 평창 동계올림픽은 최대 64조원까지 나왔다. 이를 다루는 언론보도를 보고 있노라면 지금까지 개최되었고, 앞으로 줄줄이 열릴 국제경기대회는 끊임없이 황금알을 낳고 있는 거위처럼 보인다. 과연 그럴까.   막대한 적자, 무모한 유치 경쟁의 악순환   이번에 끝난 대구 세계육상대회를 위해 대구시가 투입한 비용은 3,084억원. 반면 입장료, 선수촌 임대료 등 수입은 924억 원이다. 단순 계산으로는 2,160억원 적자다. 대구 세계육상대회뿐만 아니라 이전에 열렸던 모든 국제대회는 대회가 끝나면 적자였다. 단기간에 열리는 국제대회를 통해 기반시설 등 인프라 구축에 들어간 비용을 당장 뽑아낼 수는 없는 터. 적자가 당연해 보인다. 이 때 등장하는 것이 단순히 금액으로만 환산할 수 없다는 경제효과다. 대회를 운영하는 주최 측은 국가브랜드 가치제고, 지역홍보, 고용유발효과 등 눈에 보이지 않는 이익들을 감안해야 한다는 주장을 잊지 않는다. 대구시의 경우도 홍보효과 등 여러 요소를 감안할 때 사실상 흑자 대회라는 설명을 내놓았다.    이제 막 끝난 대구 세계육상대회를 평가하기 어렵다면 이전에 열렸던 대회들의 손익계산은 어떻게 남았을까. 결론부터...

발행일 2012.0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