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스토리

필터
칼럼
[문화산책] '그래도…?'라는 물음에 대답은 늘 뻔하다

‘그래도…?’라는 물음에 대답은 늘 뻔하다 사랑의 변태(變態)를 여자의 눈으로 그려낸 영화 ‘우리도 사랑일까?’ 안세영 회원홍보팀 간사 sy@ccej.or.kr     ‘우리도 사랑일까?’, 이 촌스러운 제목의 영화를 한마디로 정의한다면, 영화 ‘봄날의 간다’에서 “사랑이 어떻게 변하니?”는 상우(유지태 분)의 물음에 대한 여자의 담담한 대답이다. 영화 속 미셸 윌리엄스는 “사랑이 이렇게도 변하더라. 그리고 사랑은 그렇게 계속 변하는 것”이라고 조용하지만 분명하게 일러주고 있다.       예쁘지 않아  귀엽고 사랑스러운 여자, 마고(미셸 윌리 엄스 분)는 낯 설고 주의를 요하는 환경을 무 척이나 두려워한다. 낯선 공항에서 비행기를 갈아타야 할 때, 실수가 있어서는 안 될 긴박한 상황에서 그녀는 엉뚱하게도 몸이 불편하다는 ‘거짓말’로 휠체어를 타고 누군가가 이끌어주는 대로 공항 대기실까지 이동한다. 그녀가 두 다리로 걷는데 아무 문제가 없는 사실을 알고 있는 대니 얼(루크 커비 분)은 호기로운 눈빛으로 비행기 옆 좌석에 앉은 그녀에게 말을 건다.   사랑은 늘 설렘과 끌림에서 시작된다. 새로운 것에서 오는 호기심, 그리고 알아가면서 느끼는 희열, 정복하고자 하는 욕구까지 오래된 것과는 극명하게 대비되는 이러한 감정들을 영화에서는 여체(女體)를 통해 사실적으로, 그리고 일상적으로 그려내고 있다. 마고가 친지들과 함께 간 수영장 샤워실에서 ‘오래된 것’을 대표하는 나이 든 여성의 몸과 ‘새로운 것’을 상징하는 젊은 여성의 탄탄한 몸을 뚜렷하게 비교하며 보여준다. 사실 여자의 눈으로 보는 여성의 몸이라는 것은 ‘삶의 일부분’으로 지극히 자연스러운 것이지만, 영화에 비춰지는 여성의 몸은 ‘늘’ 일상과는 거리가 멀다. 시간이 지나면 사랑이, 또는 사랑하는 대상이 빛을 바래듯이 여성의 몸도 시간이 지나고 나이를 먹어가면서 살이 늘어지고 주름이 생기고 생기를 잃어가는 것이 자연스러운 일이다. 영화에 등장하는 봉긋한 가슴과 쭉 뻗은 다리를 지닌 여...

발행일 2013.0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