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필터
정치 사법
[경실련_총선기획⑬] 검찰‧사법부 신뢰 흔드는 법복 국회의원들

경실련 총선기획, 가라!UP자 ⑬ 검찰‧사법부 신뢰 흔드는 법복 국회의원들 - 판검사출신 국회의원, 3권분립 훼손하고 검찰‧사법부 국민신뢰 흔들어 - 거창한 이력 보다 국민 위해 일할 능력 갖춘 후보자가 당선되어야 지난해 한 여론조사 기관이 진행한 ‘사회통합 실태조사 기관별 신뢰정도’에 따르면 검찰은 신뢰도 점수 2.1점, 법원은 2.2점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7개 기관 중 검찰, 법원보다 신뢰도가 낮은 기관은 1.9점의 국회 밖에 없어 사법체계에 대한 국민적 신뢰가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법원판결과 검찰수사에 있어 국민의 신뢰는 가장 중요한 전제조건입니다. 하지만 판검사 출신의 일부 국회의원들의 행태는 가뜩이나 낮은 법원과 검찰의 신뢰도에 찬물을 끼얹고 있습니다. 국회 법제사법위원회는 대검찰청과 대법원, 군사법원, 헌법재판소를 피감기관으로 합니다. 국회의원이 법원과 검찰을 제대로 견제하지 못한다면 국가권력의 핵심원칙인 삼권분립은 크게 흔들릴 수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판검사 출신 국회의원들이 국회의 견제기능을 무력화시키면서 국민의 불신을 키웠습니다. 여상규 의원은 판사 출신으로 법제사법위원회의 위원장을 맡았습니다. 여상규 의원은 양승태 전 대법원장이 법관들을 사찰하고, 재판에 개입하는 등 이른바 사법농단 사태로 기소되자 적극 옹호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여상규 의원은 사법농단 사태가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일축하였으며, 사법농단 사태에 연루된 법관의 탄핵, 특별재판부 설치 등을 저지하여 국회의 사법부 견제기능을 훼손시켰습니다. 마찬가지로 전직판사인 나경원 의원도 사법농단사태의 엄단을 막는데 큰 기여를 하였습니다. 당시 자유한국당(현 미래통합당)의 원내대표로 있었던 나경원 의원은 검찰이 사법농단에 가담한 혐의로 전·현직 판사들을 추가 기소하자 “자유한국당은 의회에서 법관 탄핵에 대해 온몸으로 막겠다"고 발언하는 등 사법농단 사태를 적극 방어했습니다. 여상규 의원은 총선 불출마를 선언한 반면 나경원 의원은 5선에 도전하고...

발행일 2020.03.30.

정치
경실련 최근 검찰의 부패·비리에 대한 입장

권재진 법무장관과 한상대 검찰총장은 즉각 사퇴하라 - 검찰 스스로 비리의 온상임을 자인 -이명박 정부하에서 검찰을 망친 책임자들 사퇴해야 역대 최고액의 뇌물검사로 알려진 서울고검 김광준 검사가 구속되더니, 검사실에서 피의자와 성행위를 한 ‘성추문 검사 사건’과 급기야는 검찰총수인 한상대 검찰총장의 최태원 SK그룹 회장 구형 개입 의혹까지 하루가 멀다 하고 검찰의 부패와 비리가 터져 나오고 있다.  검찰은 민간인 불법사찰 부실수사, 내곡동 은폐·부실 수사 등 정치편향성을 드러내는 수사로 국민의 신뢰를 잃은 것도 모자라, ‘떡값 검사’, ‘스폰서 검사’, ‘그랜저 검사’, ‘벤츠 여검사’ 등에 이은 이번 비리·엽기 사건은 검찰 스스로 비리의 온상임을 자인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수사권·기소권·영장청구권을 독점한 무소불위의 권력’에 안주하면서 자신들의 비리에는 눈감고, 권력기관에는 아부하는 검찰의 만연한 행태에서 비롯되었으며, 견제 받지 않는 권력은 반드시 부패한다는 것을 여실히 보여준 행태에 지나지 않는다.  검찰은 그동안 내부 비리가 적발되면 대국민 사과와 대책 발표에 급급했지만 끊임없이 비리·부패사건이 반복되는 것은 검찰 스스로 자정능력이 없음을 보여주고 있다. 무엇보다 환골탈퇴라는 정치적인 수사만으로는 개혁이 요원할 뿐이며, 검찰 수뇌부가 물러나는 인적 쇄신부터가 검찰개혁의 출발임을 깊이 각인해야 할 것이다. 검찰 내부에서까지 자성과 비판의 목소리가 잇따르고 있는 상황에서 정작 이를 책임져야 할 사람들이 자리 지키기에 연연한다면 환골탈퇴의 의지는 언어도단에 지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명박 정부하에서 검찰을 망쳐온 권재진 법무장관과 ‘뇌물 검사’, ‘성추문 검사’ 등 검찰 전체가 조직적으로 휘청거리는 와중에도 자신의 테니스 친구를 먼저 챙긴 한상대 검찰총장은 모든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음을 자성하고 국민과 검찰을 위해 즉각 사퇴하기를 촉구한다. 또한 검찰 스스로가 자정능력이 없는 상황에서 검찰이 국민적 신뢰를 회복할 ...

발행일 2012.11.27.

정치
특별검사제 도입을 통해 스폰서 검사 수사하라

부산지역의 스폰서 검사 사건과 관련하여 검찰은 외부 민간인이 2/3가 참여한 ‘진상규명위원회’를 구성하여 진상규명 활동을 통해 진실을 밝히겠다고 주장하며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하고 있다. 그러나 경실련은 검찰의 이러한 태도는 결국 과거 삼성 떡값 검사 등의 처리를 통해 드러났듯이 철저한 실체 규명 보다는 시간끌기를 통한 ‘흐지부지’ 혹은 ‘축소 은폐’의 여지가 있음을 지적하고자 한다. 검찰의 자체 진상규명이 아닌, 특별검사제 도입을 통해 정식 수사로써 이 사건에 대한 철저한 진실 규명을 통해 관련 검사를 의법 처리할 것을 촉구한다.  첫째, 이번 사건은 단순한 진상규명의 대상이 아니라 정식 입건하여 수사를 통해 의법처리 해야 하는 대상임이 명백하다. PD수첩 방송을 통해 이 사건은 단순히 근거 없는 주장이 아니라 명백한 증거와 관련자의 증언을 통해 검사들이 수십 년 동안 향응, 성 접대, 뇌물을 수수해 왔음이 구체적으로 드러났다. 따라서 이 사건은 진상규명이 아닌 뇌물사건으로 정식 입건하여 수사를 통해 의법 처리해야하는 것으로 그 성격이 명확하다. 이러함에도 불구하고 검찰은 진상규명위원회 구성을 통한 단순한 진상규명을 주장하고 있다. 결국 검찰 태도 자체가 스스로 수사기관으로서 자기역할을 부정하고 있는 셈이며 사실상 철저한 규명을 통한 의법처리 의사가 없음을 간접적으로 드러낸 셈이다. 이번 건과 유사한 일이 검찰이 아닌 다른 영역에서 벌어졌다면 그때도 검찰이 진상규명을 주장했을지 묻고 싶다.   둘째, 과연 이 사건의 성격상 검찰 스스로 철저한 진상규명이 가능하겠냐는 점이다. 굳이 삼성의 떡값 검사 처리를 거론하지 않더라도 지금껏 검찰은 내부비리에 대해 원칙적 처리를 하지 못했다. 조직 이기주의에 따라 덮기에 급급했지 스스로 썩은 부위를 도려내지 못했다. 특히 이번에 드러난 ‘스폰서 검사’는 일부 검사의 문제가 아니라 검찰 조직에 광범위하게 관행적으로 일반화 되어 있음은 법조주변의 보통의 인식이다. 따라서 스폰서 검사는 검찰 상층부에서 하층부까지...

발행일 2010.0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