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필터
경제
[성명] 산업부문 온실가스 감축을 11.4%로 낮춘, 정부의 계획안은 탄소중립 포기 선언으로 재수정해야 한다

산업부문 온실가스 감축을 11.4%로 낮춘, 정부의 계획안은 탄소중립 포기 선언으로 재수정해야 한다 - 중장기적 관점에서 산업전환에 대한 구체적 목표를 세워 이행해야 - 정부에서는 어제(21일) ‘제1차 국가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 계획안’을 발표했다. 정부가 수정 제시한 2030년까지 산업부문별 탄소 감축목표의 총량은 변함이 없지만, 부문별 탄소감축 목표를 조정했다. 특히 산업부문의 감축목표가 2021년 10월에는 14.5%였으나, 이번 2023년 3월 목표에서는 11.4%로 오히려 낮아져 우려스러운 점이 크다. 현재 우리나라는 주력산업들이 탄소를 가장 많이 배출하고 있다. 여전히 제조업이 GDP의 26% 정도를 차지할 만큼 비중이 높고, 주력 제조업 또한 1970년대 이후부터 이어져온 중화학공업 중심이기 때문이다. 재벌그룹들의 주력 산업군들 역시 중화학공업들이 차지하고 있다. 탄소중립을 위해서는 이러한 중화학공업 중심의 산업구조를 탄소생산성이 높은 산업구조조 바꾸는 산업전환이 필수적이고 시급하다. 결국 2050 탄소중립을 위해서 산업부문에서 80% 정도의 감축이 필요하지만 이러한 내용들이 NDC에는 반영이 되지 않았다. 2021년에 발표한 14.4%도 부족한 상황에서 11.4%로 낮췄다는 것은 사실상 탄소중립 포기선언이라고 밖에 볼 수 없다. 정부는 수정한 NDC 목표 이행을 위해 원전과 재생에너지 보급을 가속화하고, 화석연료 비중을 줄인다고 하지만, 근본적인 산업전환 없이 가능할지 의문이다. 이번 정부의 발표에서 알 수 있는 점은 정부가 산업전환을 염두에 두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정부는 산업전환 대신 기존 중화학공업 생산 공정에서 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기술개발과 이를 위한 R&D 지원 등을 생각하고 있는지 몰라도 이는 근본적인 해법도 아니며, 차선책도 아니다. 산업전환을 미룬 채 효과도 없는 정책을 추진하는 사이, 세계로부터 탄소중립의 압박을 받는 기업들은 더욱 늘어나게 되고, 재벌대기업들은 공장을 미국 또는 RE100이 가능한 지...

발행일 2023.03.22.

부동산
온실가스 감축·녹색성장 지원, 에너지관련 세제 개혁 시급

  온실가스감축 및 친환경에너지세제개편을 위한 국회- 경실련 공동주최, 연속기획 5차 종합토론회   -  온실가스 감축 및 녹색성장 지원, 에너지관련 세제 개혁 시급 -  4차례 논의결과, 「에너지 세제개편 7대 원칙과 3대 과제」도출       -  9일(목) 2시, 국회도서관 소회의실, 최종 의견수렴 예정    온실가스 감축 및 녹색성장 지원을 위해서 에너지관련 세입 및 세출 구조의 개혁이 필요하며 환경세의 도입은 낮은 세율의 신규도입이나 세수부담의 증가 없는 기존 세수의 내부 조정 등 다양한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데 정부, 산업계, 소비자 단체, 전문가 등이 포괄적인 공감대를 도출했다. 1. 경실련 (사) 갈등해소센터는 8일 온실가스감축 및 친환경에너지세제개편을 위한 5차 종합토론회를 앞두고 그동안 4차례 논의 결과를 정리하여 친환경에너지세제개편 2011컨센서스 - 에너지세제 개편 7대 원칙과 3대 과제를 발표했다.   에너지세제개편과 관련해서 정부, 산업계, 소비자단체, 환경단체, 전문가 내에서 공감대를 도출한 7대 사항은 ▲온실가스 감축 및 녹색 성장을 지원하기 위한 환경세 개혁(Environmental Tax Reform) 논의가 필요함. ▲세입의 측면에서 환경세(탄소세)의 도입은 국민경제의 충격과 일반국민의 부담을 최소화하는 방식이어야 함. ▲세출의 측면에서 에너지와 환경과 관련된 재정지출의 증대가 필요함. ▲환경세 논의를 계기로 기존 에너지세제 구조를 재평가하되, 국가 온실가스 감축과 국가에너지 믹스까지 고려해야 함. ▲수송용 유류를 포함하여 에너지소비가 유발하는 사회적 비용을 객관적으로 재평가하고, 수송용 연료간 과세형평성을 도모해야 함. ▲난방용 세제의 경우 당분간 전기요금과 통합적 관점하에서 가능한 낮은 세율로 운용되어야 함. ▲에너지 보조금 문제를 점진적으로 해결해야 함. 등이다.   2. 반면에 환경세의 도입방식 문제, 환경세 도입과 유류세의 인하 문제, 유가보조금의 축소방안 등 3...

발행일 2011.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