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필터
부동산
재건축 승인권한의 환수는 집값 상승의 근본 해결책 될 수 없어

  건교부가 지난 95년 지방자치 실시와 함께 지방으로 이양된 ‘재건축사업의 계획승인 권한’을 중앙정부로 환수하거나 광역지자체에 재배치하는 등의 방안을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 주요한 이유는 재건축아파트의 용적률 및 층고제한을 높여주는 지방자치단체의 정책으로 집값이 오르고 있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보인다. <경실련 도시개혁센터>는 물론 재건축의 용적율과 고도제한이 집값 상승의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부인하지 않지만, 보다 근본적으로는 재건축 정책에 대한 일관성 없는 널뛰기 정책과 재건축 과정에서 발생하는 막대한 개발이익이 공공으로 귀속되지 못하고 사유화되면서 투기 유발 및 공공성이 강조된 계획도시가 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정부와 여당이 검토하고 있는 ‘재건축사업의 계획승인 권한’을 중앙정부로 환수하거나 광역지자체에 재배치는 집값 상승의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없으며, 중앙정부가 권한을 돌려받는다 해도 집값을 잡을 수 있다는 어떠한 보장도 없다. 현재 논란중인 ‘재건축 관련 권한의 환수’와 재건축 사업의 정상화를 위해 다음과 같이 입장을 밝힌다.   1. 재건축사업의 개발이익환수 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   재건축아파트단지의 가격이 불안정한 이유는 계획수립과정에서 결정되는 용적률, 층수에 따라 발생하는 개발이익의 규모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최근 서울시가 재건축사업의 기본계획을 수립하면서 일부 단지의 기준용적률을 상향조정할 것을 검토하면서 해당 단지의 아파트가격이 급격하게 상승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현행 개발이익환수체계 내에서는 계획변경에 따른 개발이익을 환수할 수 있는 장치가 없기 때문에 모두 사업주체에게 귀속된다. 결국 이러한 개발이익이 해당 아파트가격을 올리고, 주변지역 아파트가격과 분양가 상승을 부추기게 되는 것이다. 즉 발생하는 개발이익이만 철저하게 환수된다면 계획내용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주택가격이 상승하는 현상은 막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렇게 확보된 재원은 계획의 공공성 ...

발행일 2006.01.24.

부동산
집값상승의 악순환은 이제 그만!

  결혼 4년차 주부입니다. 아이도 하나 있구요. 결혼할 당시 빚을 지고 시작하기 싫어서 전세로 시작하였습니다. 지금은 그것을 땅을 치고 후회하고 있습니다. 집값이요..너무나 올라 버려서 하늘만 쳐다 보고 눈물 짓고 가슴을 치고 있답니다. (중략) 말도 안되는 분양가를 공개하십시오. 분양가 인상과 주변 집값인상의 악순환. 제발 멈춰 주셔요. 우리나라 여자들의 출산율이 왜 낮은지 정부 정책자들은 정말 알고 계시기나 한건지요? 지금 젊은 사람들이 아이를 낳고 키운 다는 것이 얼마나 힘든일인지요. 그 이유 중 집값이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고 봅니다. 서민들을..젊은 사람들을 좌절로 눈물짓게 만드는 나라... 이런 나라에서 아이를 낳는다는 것은 정말 힘든 일입니다. 서민들의 눈물이 마르지 않게 하는 정부, 정치인들...언젠가 분명히 그 댓가를 치를 날이 올겁니다. 제발 서민들의 마음을 아프게 하지 마셔요!!! ("분양원가 공개하십시요", ID : 새내기주부)     2월11일, 아파트 분양원가 공개를 요구하는 네티즌들의 함성이 재정경제부와 건설교통부 게시판에서 울려퍼졌다. 오후 4시 현재, 경실련이 제안한 '아파트값 거품 빼기 온라인행동'에 참여한 400여명의 네티즌들은 한 목소리로 분양원가를 공개할 수 없다는 재경부와 건교부를 비판하고, 분양원가를 조속히 공개하여 아파트값의 거품을 뺄 것을 요구하였다.   "희망이 없는 삶은 정말 견디기 어렵습니다."   많은 네티즌들은 게시판에 폭등하는 집값에 절망하고 있는 서민의 절절한 목소리를 그대로 담아내었다.두아이의 아빠이며 결혼 4년차라는 ID'최찬용'은 "대학원 졸업해서, 열심히 재산을 모았지만, 아직 평당 1,000만원하는 아파트 6평밖에 사지 못했다"며 "아파트는 상품이 아니라 삶의 원천입니다. 분양원가 공개를 촉구합니다"라고 말했다. ID'이기태'는 "아파트 거품에 대다수의 서민들은 꿈과 희망을 잃어버렸다"라고 말하고 "열심히 일하면 가족이 쉴 수 있는 작은 집이라...

발행일 2004.0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