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필터
경제 국제
[공동토론회] 제4회 온라인 열린SDGs 포럼

      - 안내문:  210618_제4회 열린SDGs포럼 프로그램 안내 -프로그램 및 발제자료:  https://sdgforum.org/158  정호철. (2021). 코로나19 이후 주목해야할 디지털 경제 전환과 독점의 함정: 문재인 정부 경제 정책과 통계로 보는 디지털 전환. 경실련토론문. *URL:  https://www.miricanvas.com/v/1h4znw   문의: 국제팀 정호철 간사 02-766-5623

발행일 2021.07.01.

경제 국제
[토론회] 동북아 지속가능발전목표 대응 시민사회 온라인 토론회 개최

■ 프로그램(Program) 소개:  한국어  /  English  /  Монгол хэл  /  日本語  / 中文 (Download) ■ 발제문 (Documentation):  구글 드라이브 (Click)   ■ 일시 : 2020.10.20(화) 15:30~18:00 (서울시간) ■ 주최 : 아태 시민사회 참여체계(AP-RCEM) 동북아 지역그룹   ☞ 참가방법: (1) 아래 링크의 "구글독스"를 통해 사전에 참가 등록 https://docs.google.com/forms/d/e/1FAIpQLSfx3fIxp02bJ4mMwV3x2tKYYZESLAPYnr2YSdFwBLIz6tKX4Q/viewform (2) 참가 등록을 완료하시면, 아래 온라인 토론회 "링크"를 통해 접속 (PC접속)  https://us02web.zoom.us/j/81272077057?pwd=bG0yeXAxTU5zdEFraFpralNBblV3Zz09 (10/20 15:00 pm부터 접속 가능; Passcode: 368388) (아이폰 접속)  France: +33170950350,,81272077057#,,,,,,0#,,368388#  or +33186995831,,81272077057#,,,,,,0#,,368388# (전화 접속)  France: +33 1 7095 0350  or +33 1 8699 5831  or +33 1 7037 2246  or +33 1 7037 9729  or +33 1 7095 0103 Webinar ID: 812 7207 7057 Passcode: 368388 (기타 국제전화)  https://us02web.zoom.us/u/kcOQAWa8Kl   회원님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프로그램(Program) 소개:  한국어  /  English  /  Монгол хэл  /  日本語  / 中文 (Download) ■ 발제문 (Documentation):  구글 드라이브...

발행일 2020.10.14.

국제
[성명] 유엔 경제사회이사회 2020 고위급 정치포럼 및 분과토론 제출성명

  지속가능개발을 앞당기기 위한 지난 10 년간의 촉진과 변화시키는 과정, 행동, 실천, 그리고 코로나-19 긴급현안 대응 "Accelerated action and transformative pathways: realizing the decade of action and delivery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the current concerns regarding "COVID-19"   오는 7월 7-16일로 예정된  고위급정치포럼(HLPF 2020) 및 7월 14-16일 고위급분과토론(HLS 2020)를 앞두고, 위 주제에 대해 유엔 경제사회이사회에 경실련의 입장을 아래와 같이 각각 전달하였습니다. 200426 [Written Statement] by CCEJ, A New Vision for the Future in Our Society 200427 [Oral Statement] Remarks by CCEJ, Stop it!—the Methods of an Infodemic   【HLPF 2020 서면 성명】 Written Statement before ECOSOC High-Level Segment & Political Forum in 2020 A New Vision for the Future in Our Society Citizens’ Coalition for Economic Justice [i] Republic of Korea April 26, 2020   The last year fell on our 30th Anniversary, and we looked back on our historic movements over the last decades. Of significant importance to democratic and socioeconomic transformation with sustainable development in Korean society, have...

발행일 2020.04.27.

경제
[공동토론회] 코로나19 경제위기 대응 범대책위 준비모임

  [코로나19 경제위기 대응 범대책위 준비모임 전문가 토론회] 코로나-19 경제위기, 당면 정책 과제와 지속가능한 경제산업구조로의 전환 과제 ■ 일시/장소: 2020.4.24(금) 오후 1시 30분 / 참여연대 아름드리홀 ■ 주최: 코로나19 경제위기 대응 범대책위 준비모임 ■ 참가자 - 사회: 이정우 (한국장학재단 이사장) - 마중물 발제 1. 유종일 (한국개발연구원 교수) - 마중물 발제 2. 박상인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교수, 경실련 정책위원장) - 라운드테이블 패널: 김유선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이사장), 우석훈 (경제학 박사), 유종성 (가천대학교 교수), 이병희 (한국노동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이필상 (전 고려대학교 총장), 정세은 (충남대학교 교수), 홍기빈 (글로벌정치경제연구소 소장) ■ 자료집 [발제1] 유종일 (2020) 코로나19 대응 경제정책의 원칙과 과제 [발제2] 박상인 (2020) 지속가능한 산업경제구조로의 전환 과제 [발제3] 김유선 (2020) 코로나19 고용동향 [발제4] 이병희 (2020) 코로나19 대응 고용정책 모색   문의: 경제정책팀 02-3673-2143

발행일 2020.04.25.

경제
[예고] 코로나19-경제위기, 당면 정책과제와 지속가능한 경제산업구조로의 전환을 위한 전문가 토론회 개최

  코로나19-경제위기, 당면 정책과제와 지속가능한 경제산업구조로의 전환을 위한 전문가 토론회 개최   코로나19 Pandemic은 시민의 건강과 생명뿐만 아니라 국가 경제 여건, 시민의 일상 환경을 급속하게 악화시키고 있으며, 각국은 강력하고 빠른 회복을 위한 다양한 정책들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한국은 확장재정지출을 통해 기업지원, 고용유지, 긴급재난기금 지원 등을 추진하고 있지만 국민들의 기대에 미흡하며 규모, 시기, 방법 등 논란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시민사회단체들은 ‘코로나19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당면정책과 지속가능한 경제산업구조로의 재편을 위한 국민적 합의’ 필요성에 공감하였으며, 이를 위해 우선 합리적인 경제위기 극복을 방향을 모색하는 전문가 토론을 개최합니다.   - 일시 : 2020년 4월 24일(금), 13시 30분~ 17시 30분 - 장소 : 참여연대 2층 아름드리홀 - 주최 : 코로나19-경제위기 대응 범시민대책위 준비모임 (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경실련, 참여연대, YMCA, 한국진보연대, 민주노총 등) - 좌장 : 이정우 (한국장학재단 이사장) - 마중물 발제1. 유종일 (한국개발연구원 교수), 발제2. 박상인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교수) - 라운드토론자 김유선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이사장) 우석훈 (경제학 박사) 유종성 (가천대학교 교수) 이병희 (한국노동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이필상 (전 고려대학교 총장) 정세은 (충남대학교 교수) 홍기빈 (글로벌정치경제연구소 소장)   200424_[보도자료] 코로나19-경제위기, 당면 정책과제와 지속가능한 경제산업구조로의 전환을 위한 전문가 토론회 개최 문의: 경제정책국(02-36732143)

발행일 2020.04.24.

국제
[공동서한] 코로나19에 맞서 싸우는 한국정부의 헌신에 대한 국제시민사회의 요구사항

  국제시민사회 연명 공개서한 개발도상국 등지에서 전지구직인 코로나19 전염병에 맞서 싸우는 한국의 헌신에 대한 요구사항   문재인 대통령님께,   코로나19 유행병에 대항 한 전 세계적 투쟁에 대한 대한민국의 약속과 요청사항과 관련하여, 우리는 국제 시민 사회 단체 (CSO) / 비정부기구 (NGO)와 연합, 아시아 태평양, 아프리카, 남미, 북미, 중동 및 유럽 지역의 다른 국가의 개인을 대신하여 이 서한을 쓰고 있습니다.   지난 4 월 17 일에 시작된 청원은 4 월 23 일까지 일주일 동안 계속되어 전세계 시민사회단체와 시민들의 목소리를 반영했습니다.   우선, 코로나 19 팬데믹 사태 중에도 4.15 총선을 성공적으로 치뤘던 것에 대해 축하의 말을 전합니다. 코로나19 사태에 대한 한국의 신속하고 민주적인 대응에 세계가 깊은 인상을 받았다고 말하는 것은 결코 과언이 아닙니다. 주요 민주주의 가치인 언론의 자유, 정보 접근성, 투명성, 의료 테스트 및 모든 사람에 대한 관리에 우선순위를 뒀던 한국정부의 리더십을 통해 대한민국은 폐쇄조치를 통해 시민의 자유를 억누르지 않고 바이러스를 수용하는 모델이되었습니다. 이번 총선에 있어서도, 코로나 바이러스가 민주주의와 인권을 막을 수 없다는 것을 보여주는 또 다른 긍정적인 신호였습니다.   이 리더십 모델과 민주적 수단을 통해 이해관계를 떠나 시민들의 선호와 우선순위에 관한 결정은 사람들 사이의 연대와 신뢰의 감각을 조성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해왔으며 위기의 완화와 협력을 강화했습니다. 코로나19에 대한 한국의 성공적인 관리는 점진적인 정상화에 대한 희망이 있음을 증명했습니다. 국제사회는 한국의 경험을 통해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으며 모범 사례를 교환하는 데 더 많은 협력을 희망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제 협력의 중요성에 중점을두고 G20 정상회의(2020 년 3 월 26 일)과 ASEAN + 3...

발행일 2020.0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