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산책] 달, 이상 그리고 고갱

관리자
발행일 2013.07.23. 조회수 830
칼럼



[문화산책] 달, 이상 그리고 고갱

‘낙원을 그린 화가 고갱 그리고 그 이후’를 다녀와서

 

  

박지호 소비자정의센터 간사

jhpark@ccej.or.kr

    고갱1.jpg

 

선물을 준비해야하는 지인의 생일, 연말모임 때마다 서점으로 가곤 했다. 그리고 별다른 고민도 하지 않고 서머짓 몸의 ‘달과 6펜스’를 집어 들었다. 받는 사람들은 별 감흥을 느끼지 못할지도 모르지만, 늘 ‘달과 6펜스’의 맨 앞장에 넌지시 마음을 전하는 짧은 글귀를 적어 선물했다. 언제나 그랬다.

 

‘달과 6펜스’는 나에게 큰 의미가 있는 책이다. ‘태백산맥’이 이데올로기에 대한 고뇌와 다양성에 대한 인식을 심어줬다면, ‘달과 6펜스’는 이상의 추구와 그를 위한 노력의 시작을 가져다 준 책이다. 물질에 대한 성찰이 담겨있는 책 제목부터 매력적이지 않은가, 달과 6펜스.

이 책은 다음 세계로 연결된다. 바로 고갱(외젠 앙리 폴 고갱, Euge‵ne Henri Paul Gauguin, 1848년 6월7일 ~ 1903년 5월8일)이다. ‘달과 6펜스’의 스트릭랜드는 고갱을 모티브로 하고 있다. 물론 모델만 폴 고갱이고 소설은 소설이다. 대부분 허구다. 하지만 그런건 중요치 않다. 고갱으로의 연결이 더욱 중요한 것이다.

 

고갱의 작품을 처음 만나본 곳은 오르셰 미술관이었다. 하지만 그 당시엔 드가에 빠져있어서였는지 솔직히 고갱의 작품이 생각이 나질 않는다. ‘타히티의 여인들(Tahiti Women or on the Beach)’ 정도만 기억한다. 고갱의 대표작이기는 하나 그리 큰 인상을 주지 못했었다. 엽서도 사지 않을 정도였으니 말이다.

 

그런 고갱이 한국에 왔다. 세계 곳곳에서 다작을 하다 보니 어느 한 곳에 모여 있지 않은 그의 작품을 모아서 서울시립미술관이 ‘낙원을 그린 화가 고갱 그리고 그 이후’라는 제목으로 전시회를 시작한 것이다. 허세와 낭만을 즐기는 내가, 방앗간을 그냥 지나갈 수는 없었다. 남산을 걸어 내려와 들어간 서울시립미술관, 그곳에서 예술에 대한 안목의 비루함을 깨닫게 되었다.

 

그의 작품은 ‘낭만’이다. 항상 입에 닳도록 담고 다니는 낭만이 그의 작품 속에 가득하다. 강렬하다가도 농염하고, 농염하면서도 진중하며, 진중하면서도 날아갈 듯 가벼운 것이 고갱의 작품이다. 그의 작품 곳곳에 이상의 추구가 묻어있다. 원시에 대해, 인간의 삶 전체를 관통하는 성찰에 대해, 마지막으로 갖지 못하는 것에 대한 추구가 담겨있다.

 

그의 작품 중 그의 대표작인 ‘우리는 어디서 왔는가, 우리는 무엇인가, 우리는 어디로 가는가(What Are We? Where Are We Going?, 1897, Museum of Fine Arts, Boston)’보다도 나의 눈을 사로잡은 것은 ‘황색 그리스도가 있는 자화상’(Self-Portrait with Yellow Christ, 1889, Musee d'Orsay, Paris)이다. 바로 ‘달과 6펜스’(민음사, 2000)의 표지로 쓰인 그림이다.

 

화가들이 자화상을 그리는 이유는 자신을 알고 싶은 마음에서 비롯된다고 한다. 고흐는 자화상을 그리는 것은 화가의 영혼을 담는 것이라고 말했다 전해진다. 이 자화상은 ‘달과 6펜스’의 느낌과 합쳐져서 고갱의 영혼을 보여주고 있는 듯 한 기분이다.

 

그는 이상을 추구한 삶을 살아온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하지만 이 그림은 이상을 추구하는 인간의 고뇌가 보여 진다. 자신의 그린 황색 그리스도를 배경삼아 앉아있는 고갱은 단호해 보이지만, 어딘가 불안해 보인다. 자신의 역작이라고 생각했던 ‘황색 그리스도’로도 그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예술적 갈증을 해소하지 못했던 것 같다.

 

그는 이 자화상을 그리기 1년 전인 1888년, 동료화가 슈페네커에게 "이 세상에서 우리를 달래주는 건 자신에 대한 신념과 내 능력에 대한 믿음뿐"이라고 이야기했다고 한다. 해석이 분분하지만 이상의 추구는 자기 위안이라고 자위하는 고갱의 쓸쓸함이 느껴진다.

 

이상을 추구하는 것은 우매한 짓으로 평가될 수도 있다. 또한 물질만능주의가 팽배한 요즘 시대에는 이상의 추구는 현실회피와 같이 비춰질 수도 있다. 부정할 수는 없다. 하지만 필자는 이상을 중시한다. 현실은 이상의 단계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행동의 목적(이상)이 없이 진보가 가능한지는 의문이다. 당연히 이상은 존재해야만 하는 필수불가결의 가치이다.

 

‘달과 6펜스’가 책 속에 갇혀있던 나의 안일함에 넌지시 노크를 했다면, 직접 대면한 ‘황색 그리스도가 있는 자화상’은 이상에 대한 상기를 가져다 준 것 같다. 그렇다. 존재하고 있었지만 잊혀 질 뻔했던 자신의 이상에 대한 상기.

 

황색 그리스도가 있는 자화상.jpg

 

‘낙원을 그린 화가 고갱 그리고 그 이후’ 전시회는 2013년 9월 29일까지 계속된다. 6시 이후에 가면 할인도 해준다. 우리 일생에 다시 찾아오지 않을 수도 있는 고갱이다. 어쩜 우린 죽을 때까지 가보지도 보지도 못할 낙원을 간접적으로 볼 수 있는 기회일지도 모른다. 그리고 어쩌면 ‘낙원은 타히티 같은 먼 곳에, 혹은 역사발전 과정 중 원시공동체까지 거슬러가야만 있는 것이 아니다’ 라고 말하는 고갱의 목소리를 듣게 될지도 모른다. 가까운 곳에 존재하고 있을 자신의 이상과 대면하기 위해 서울시립미술관으로 발길을 옮기기를 적극 추천한다.

 

 

 

첨부파일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