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들, 지하철 안전수준 59.4 점 평가

관리자
발행일 2005.02.16. 조회수 2399
부동산

 


-대구지하철사고 2년이후...여전히 지하철안전에 불안감 느껴-



 


경실련도시개혁센터와 광주경실련, 대구경실련, 부산경실련, 인천경실련은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 2주기를 맞아 지하철 소재 도시인 서울, 광주, 대구, 부산 인천 4개 도시 지하철 이용자 1096명을 대상으로 안전의식조사를 실시하였고, 후속작업으로 이용객이 많은 전국의 주요 역을 중심으로 지하철 역사의 안전시설물 실태조사를 실시하였다.



 


「전국지하철 이용객 안전의식 조사」는 경실련 홈페이지를 통한 인터넷 응답설문과 면접설문 형식으로 2005년 1월 24일부터 2월 14일 사이에 진행되었고,「지하철 역사 안전 시설물 실태조사」는 현장에서 조사표에 의한 세부사항을 점검 사진 기록하였다.



 


 '전국지하철 이용객 안전의식 조사' 결과 지하철을 안전하다고 느끼지 못하는 이용자가 45.1%로 절반 가까운 시민이 응답하였으며, 대구지하철사고 이후에 안전문제가 개선되지 못하고 있다고 느끼는 응답자도 71.4%로 높게 나타났다.



 


현재의 안전수준에 대한 점수는 100점을 가장 안전하다고 보았을 때 59.4점으로 평가 하여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지하철 이용시 위험요인으로는 화재와 선로로의 추락을 매우 위험하다고 응답하였으며, 화재시 대응요령을 모른다는 응답자가 47.0%, 탈출경로를 모른다는 응답자가 70.4%로 나타나 작년과 비슷한 숫치를 보였으며 이에 대한 홍보와 교육의 강화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에 이어 진행된 「지하철 역사 안전 시설물 실태조사」결과, 일부 개선된 사항도 있었으나 여전히 지하철 역사에서 안전 관련 안내문이 없거나 임시로 게시되어 있어 훼손되거나 이용객들의 눈에 쉽게 띄지 않고 있었다. 시설물 설치의 효과의 문제와 함께 관리자의 안전에 대한 낮은 인식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안전 관련 시설물인 비상구 유도등은 오래된 역사 일수록 조도가 낮아 시인성이 떨어지며 각종 표지판과 기둥으로 인해 제기능을 발휘할 수 없는 역이 상당수 존재하였다.


 


소화기․소화전 등은 광고판이나 가판대 등의 다른 역내 시설물에 의해 사용이나 인지가 방해 받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만 안전 관련 안내문 중 비상시 피난 안내도는 일부 역에서 역이용 안내도를 피난안내도와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다소 개선된 역이 있었다. 또한 대규모 예산과 인력이 필요한 장기적 시설교체에 비해 세심한 점검과 보완으로도 안전시설이 개선된 사례를 확인할 수 있었다.



 


대구 지하철 참사 이후 지난해에 이어 2회째 진행된 이번 지하철이용자 안전의식조사와 지하철실태조사 결과 여전히 시민들은 지하철안전에 대한 불안감을 느끼고 있으며 화재시 어디로 어떤 행동요령으로 어떤 경로로 대피해야 하는지 모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실태점검에서 나타난 결과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시민 눈높이에 맞는 시설물의 설치와 관리는 상대적으로 미흡하기 때문으로 유추할 수 있다.


 


차량의 불연화와 최근 계속되는 지하철 역사 내 실족이나 자살 방지를 위한 슬라이딩 도어 설치 등 장기적인 지하철 안전 계획은 수립되어 진행되고 있다고 하지만 이번 조사결과,  안전 관련 게시판(탈출경로와 안전시설물 배치도) 설치 등, 시민들 스스로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는 시설물에 대한 대비책은 미흡한 것으로 밝혀졌다. 승강장 한복판에서 현란하게 돌아가고 있는 광고판을 설치할 공간은 마련되어도 지하철 이용자들이 안전을 위한 행동요령을 인지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는 매우 어려운 것이 우리의 안전수준의 현주소이다.



 


경실련도시개혁센터, 광주경실련, 대구경실련, 부산경실련, 인천경실련은 향후 이러한 시설물에 대한 모니터와 지속적인 개선을 요구할 것이다. 아울러 시설물에 대한 계속적인 점검뿐 만 아니라 지하철 관리자들의 대응시스템(대응매뉴얼과 교육)에 대한 모니터를 실시할 계획이다.



 


[문의 : 도시개혁센터 02-766-5627]



 


* 지하철이용자안전의식조사결과 및 지하철 안전실태조사결과 자료는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첨부파일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