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스케치] 조심조심 비무장 지대_홍유현(우림초 3학년)

관리자
발행일 2015.11.19. 조회수 2077
통일
조심조심 비무장 지대

홍유현(전주 우림초등학교 3학년 6반)

사본 -홍유현01.jpg


엄마아빠가 비무장지대에 가자고 하셨다. 남한과 북한 사이에 있는 비무장지대는 총이나 대포 같은 무기들로 무장을 하지 않은 곳이란다. 엄마아빠는 우리끼리 가기 힘든 곳이라며 멀지만 한번 가보자고 하셨다. 이렇게 해서 우리 가족은 경실련통일협회에서 마련한 평화기행(10월24일~25일)을 통해 강원도 비무장지대를 직접 다녀왔다.

전주에서 서울까지, 다시 서울에서 강원도까지 가는 길은 멀었다. 아침 일찍 출발하여 처음 도착한 곳은 강원도 화천에 있는 ‘평화의 댐’이었다. ‘평화의 댐’은 북한군이 살수대첩처럼 임남댐에 물을 모아 터트려 남한을 공격하려고 해서 그것을 대비하기 위해 만들어졌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평화의 댐’은 물이 없는 댐이다. 물이 없는 댐도 있다니 신기하다. 

평화의 댐에는 노벨 평화상 수상자들의 말씀과 손 모형이 있다. 남과 북이 평화롭게 살기를 바라면서 이곳에 만들었다고 한다. 실제 손의 모형을 떠서 만들었다는데, 나도 그곳에 있는 모든 수상자들의 모형 손과 악수를 해봤다. 노벨 수상자들이 정말 많았다. 나도 이 분들처럼 훌륭한 사람이 되어 노벨 평화상을 받고 싶어 졌다.

주변에는 ‘평화의 종’도 있었는데 북쪽을 바라보는 비둘기의 한쪽 날개만 없었다. 북한과 통일이 된 후에 비둘기의 날개를 붙이려고 다른 곳에 보관해 두었다고 한다. 나도 비둘기의 날개를 붙이는 광경을 하루 빨리 보고 싶다. 비둘기의 날개는 언제쯤 붙여질까? ‘평화의 종’에는 데이지 꽃을 새겨 넣었는데 어디서든 잘 자라는 꽃이라 이 꽃을 넣었다고 한다. 또 세계 각국에서 보낸 탄피들을 모아서 녹여 만들었다고 하는데 아마도 무기들이 사라져서 전쟁이 없어졌으면 하는 바람으로 만든 게 아닐까 생각해 봤다. 평화의 종을 타종하고 온몸으로 울림을 느꼈다. 나는 세계평화가 빨리 되라고 소원을 빌었다. 우리 가족을 위해서도 소원을 빌어볼 걸….

홍유현4.png


다음은 강원도 양구의 ‘두타연’으로 갔다. 두타연은 북한에 있는 금강산에서 흐르는 물로 특급수라고 한다. 이끼가 끼지 않는 아주 맑은 물이라고 해서 한번 먹어보고 싶었다. 손을 담가보니 시원하고 다슬기도 물속에 많았다. 두타연의 아름다운 산책로 바로 옆에는 지뢰밭이 있었다. 지뢰표시가 곳곳에 붙어 있었는데 너무 무서웠다. 장난꾸러기도 여기에 와서는 모범생처럼 말 잘 듣는 아이가 될 것 같았다.

첫날 마지막 장소였던 박수근 미술관에서 6억짜리 ‘굴비’ 그림을 보았다. 한 마리에 3억씩이라고 해설가 선생님이 농담을 해 주셨다. 나는 굴비를 좋아하지도 않는데 왠지 맛있어 보였다. 아기를 업고 있는 소녀그림도 있었는데, 그 모습이 너무 가난해 보였다. 옛날 여자들의 생활이 얼마나 힘들었을지 상상이 되었다. 나도 그림 그리기를 좋아하는데 박수근 선생님처럼 멋진 그림을 그려보고 싶다. 역시 화가는 뭔가 다르다.  박수근 선생님의 아내가 피난 중에 큰 항아리에 그림을 넣고 땅에 묻어두었다는데 아직 찾지 못했다고 한다. 비무장지대 어딘가에 아직 그림이 있다는 말에 엄마의 눈이 반짝였다.

다음날에는 양구의 ‘을지전망대’와 ‘제4땅굴’을 다녀왔다. 이곳은 둥그렇게 파인 그릇 같다고 해서 펀치볼이라고 이름 붙여진 곳에 있다. 힘든 고갯길을 돌고 돌아 올라간 ‘을지전망대’에서는 북한군의 생활을 직접 볼 수 있었다. 북한군이 햇볕에 옷을 말리고, 우물 옆에 앉아서 담배를 피우는 것처럼 보였다. 담배는 건강에 나쁜데…. 

홍유현3.jpg
 

제4땅굴은 북한이 남침을 위해 다이너마이트로 터뜨려 만든 땅굴이다. 그 땅굴을 발견하고 통로를 만들기 위해 남한은 제일 단단한 다이아몬드로 동그랗게 또 다른 터널을 만들었다. 전동차를 타고 땅굴을 조금 들어가 보았다. 땅속이라 시원하고 물이 뚝뚝 떨어졌다. 사실 전동차를 타고 북한까지 가는 줄 알고 기대했는데 조금 들어가다 멈추었다. 너무 시시했다. 북한군들이 판 땅굴은 작았다. 그 먼길을 작은 땅굴로 내려오다보면 허리가 아플 것 같다는 생각을 했다.

제 4땅굴 발견 당시 북한군이 설치 해 놓은 지뢰를 밟아 사망한 헌트라는 탐색견은 동물로서는 유일하게 소위로 추서되었다고 한다. 어제도 두타연에서 지뢰 때문에 무서웠는데, 여기서도 지뢰 때문에 많이 무서웠다. 특히 나무로 만든 지뢰나 플라스틱 지뢰는 사람의 목숨을 뺏어가지는 않지만 지뢰탐지기로도 발견되지 않고 빗물에 쓸려가서 흙으로 덮이면 모두에게 위험하다고 한다. 사람들을 다치게 하는 무기들은 너무 무섭다. 

사본 -홍유현04.jpg


이번 체험을 하기 전에는 북한은 가난하고 발전이 덜 된 나라, 남한을 늘 공격하려는 나라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비무장지대를 돌아보면서 전쟁으로 지금도 많은 피해를 보고 있는 것 같아 다시는 전쟁이 일어나면 안 된다는 것을 깨달았다. 남한과 북한이 서로 사이좋게 지냈으면 좋겠다. 내 동생 민기가 군인이 되기 전에 빨리 통일이 되었으면 좋겠다. 전쟁이 날 것 같아 무섭다. 우리를 위해 희생을 해 주시는 군인 아저씨들께 감사하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