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계천 신교량 건설계획 중지하고 옛다리를 복원하라

관리자
발행일 2004.11.19. 조회수 2436
정치

  11월 17일자 언론보도에 따르면, 모전교와 하랑교 등 청계천에 있던 옛다리의 모습이 담긴 사진들이 무더기로 발견되었다고 한다. 기사에 따르면 한겨레 취재진은 국립중앙도서관에서 1937년 일본인 스기야마 노부조가 월간지 ‘사적과 미술’에 쓴 글에서 청계천 본류 및 지류에 있던 17개 다리의 모습이 담긴 35장의 사진을 확인했다고 한다.



  특히 이번에 사진으로 확인된 모전교는 그 주변에서 호안 석축이 발견되었던 곳이고, 하랑교와 효경교, 마전교 역시도 지난 청계천 문화유적에 대한 발굴 조사에서 기초석과 석재 등 많은 양의 유구가 발견되었던 곳이다. 발굴된 다량의 유적에도 불구하고 이들 다리들은 그 원형을 알 수 없다는 이유로 복원계획에서 배제되어 왔다.



  올바른청계천복원을위한연대회의(이하 청계천연대)는 이번에 발견된 자료가 청계천의 옛다리를 복원하는 데 있어서 매우 귀중한 가치를 지닌다고 판단하며, 더불어 이 자료로 인해 그동안 청계천의 옛다리 복원을 가로막던 커다란 걸림돌이 해소되었다고 판단한다. 따라서 청계천복원공사를 책임지고 있는 서울시는 현재 진행중인 신교량 건설 계획을 지금 즉시 중단하고 이번에 발견된 자료를 기초로 하여 옛다리 복원과 새 다리 복원계획을 다시 수립해야 할 것이다.



  또한 광통교의 유적은 그대로 보존해야 한다. 광통교가 있었던 자리에는 서울시가 그렇게 자랑하는 청계천의 물줄기가 흐르지 않고 유적지터를 보존하기로 되어있다. 그렇다면 발견된 광통교 석재유구들을 그대로 보존해야한다. 150m 상류로 이전하는 것은 광통교의 역사적 문화적 가치를 또다시 파괴하는 행위이다. 광통교가 발견된 터를 보존하고 물줄기를 흐르지 않게 설계가 되었다면 발견된 당시의 모습으로 그대로 두고 교통여건이나 복원기술, 사회적 합의가 성숙한 뒤에 복원을 해도 늦지 않은 것이다.


청계천을 복원하는 것은 단순히 도심내 하천 하나를 만드는 일에 그치는 것이 결코 아니다. 또한 청계천복원의 의미가 단순히 주변경관을 정비하여 깨끗한 도시 이미지를 만드는 일에 그쳐서는 절대로 안 된다.



  청계천을 복원하는 일은 수십년 동안 끊어져 있던 물줄기를 복원하여 그곳에 살고 있던 생명을 되살리는 일이며, 감춰지고 파괴되어 온 우리 조상의 문화와 삶을 다시 우리 곁에 되살리는 역사적인 사업이다. 이는 그동안 서울시가 청계천복원 공사를 하며 시민들에게 홍보해 온 내용과 조금도 다르지 않다.



  그러나 서울시는 겉으로는 청계천복원이 역사와 환경을 복원하는 것이라 주장하면서도 실제 복원과정에 있어서는 오직 공기단축이란 목표만을 위해 발굴된 호안석축을 훼손하는 등 오히려 문화재를 파괴하는 일까지 서슴지 않아왔다.



  청계천연대는 서울시가 이번 기회를 계기로 청계천 역사문화 유적의 복원에 있어서 그동안의 과오를 만회하기를 바란다. 이명박 시장이 역사와 생명이 살아있는 청계천을 시민에게 돌려주겠다던 약속을 지키기를 촉구한다.



  청계천연대는 서울시와 이명박 시장이 더 이상 청계천의 역사와 생명 앞에, 1천만 서울시민 앞에, 그리고 복원된 청계천을 물려받을 우리의 후손들 앞에서 더 이상 죄인이 되지 않기를 희망하며, 청계천 옛 다리에 대한 충실한 복원을 통해 서울시와 이명박 시장이 청계천 복원의 진정한 의미를 되살릴 것을 다시 한번 강력히 촉구한다.



[문의 : 서울팀 766-9736]

첨부파일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