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동가가 주목하는 이슈] 당신은 무엇을 혐오하십니까?

관리자
발행일 2021.10.06. 조회수 5381
스토리

[월간경실련 2021년 9,10월호-우리들이야기(2)][활동가가 주목하는 이슈]

당신은 무엇을 혐오하십니까?


- 혐오라는 이름의 폭력에 대하여 -


 

이성윤 회원미디어국 간사



올림픽이 한창이던 지난 7월, 한 선수의 머리 길이를 둔 논란이 벌어졌습니다. 어딘가에서 ‘숏컷을 했으니 페미가 아니냐’는 여성혐오의 목소리가 있었고, 그에 대해 반대편에서는 그 선수가 남성혐오 표현을 쓴 것이 문제라는 식의 반박이었습니다. 올림픽과 전혀 관련이 없는 이 논란은 최근 몇 년간 우리 사회에서 지속되어온 젠더 갈등의 한 단면을 보여주었습니다. 이 글에서는 젠더 갈등이 아닌 그 안에 담겨있는 ‘혐오’에 대해서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언젠가부터 ‘혐오’라는 단어는 우리의 일상에서 매우 익숙하고, 흔한 표현이 되었습니다. 여러 매체와 방송에서도 ‘극혐’과 같은 표현을 어렵지 않게 들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갑자기 우리 사회에서 혐오할 대상이 많아지기라도 한 것처럼 혐오는 점점 넓고, 다양한 방식으로 퍼져나갔고, 그것은 여전히 진행 중입니다.

사람들은 인종, 성별, 나이, 직업, 출생지역, 외모 등등 다양한 이유로 누군가를 거침없이 비하하고, 그것이 잘못이라는 인식도 없이 혐오 표현을 내뱉습니다. 장난으로 던진 돌에 개구리가 죽는다는 말이 있는 것처럼 누군가에게 던진 혐오 표현은 역시 그 사람에게는 씻을 수 없는 상처가 됩니다. 실제로 익명성에 기대어 혐오 표현이 넘쳐나는 온라인 공간, 특히 댓글창 같은 곳에 있는 표현들은 그 수위가 상상을 초월합니다. 흔히 악플이라고 부르는 이 말들에 누군가는 죽음을 선택하기도 했습니다.

예전에는 이러한 말들을 농담이라고 던지고, 화를 내는 사람이 오히려 옹졸하고 속이 좁은 사람으로 취급받던 때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그것들은 정말 웃으면서 넘어갈 수 있는 농담이었을까요? ‘여자는 이래서 안 돼’, ‘남자는 그러면 안 돼’, ‘이래서 어디 출신들은 안돼’ 등 등 반복된 혐오 표현들은 생각보다 많은 것들을 망가뜨 렸습니다. 이처럼 아무렇지 않게 이어지던 말들은 시간이 흘러 고정관념을 만들었고, 차별을 키웠으며, 다시 그 말은 문제가 없는 말처럼 되풀이되었습니다.

이러한 표현들이 지금은 더욱 쓰기도 쉽게(?) OO충 같은 표현들로 단순화되기도 했습니다. 사람을 벌레에 비유하는 이 표현이 혐오하고 싶은 모든 대상에게 붙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그것은 특정집단 전체를 비하하는 표현이 되었고, 한 사람의 잘못을 그 집단 모두에게 적용해버리는 극단적인 일반화를 만들기도 했습니다. 일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만 쓰이던 말들이 이렇게 퍼져나간 것을 보면 혐오가 우리 사회 전반에 얼마나 빠르게 퍼져 나가고 있는지 느낄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왜 누군가를 혐오하고, 이러한 표현들을 만들어 내는 것일까요. 예전보다 경쟁이 치열해져서? 이전보다 사람들 사이에 정이 없어져서? 다들 먹고 살기가 어려워서? 전문가가 아닌 입장에서 이유는 뭐라고 단정 지을 수는 없지만, 앞에 나열한 것처럼 여러가 지 이유를 생각해볼 수는 있을 것입니다.

그런데 혐오가 늘어나는 이유보다 중요한 것은 혐오의 대상이 누구냐 하는 것입니다. 사람들은 누구를 혐오하고 있을까요? 앞에 언급했던 인종, 성별, 나이, 직업, 출생지역, 외모 등을 이유로 혐오 표현을 내뱉는 대상은 결국 본인보다 약한 누군가입니다. 우리 사회에서 약한 소수자는 주요한 혐오의 대상이 되고 있습니다. 이것은 이전에도 그랬고, 지금도 그렇습니다. 장애인, 성소수자, 여성, 특정 지역 출신의 외국인 등 어딘가 자신보다 약해 보이고, 소수인 이들에게 혐오는 집중되고 있습니다. 강자에 대한 혐오? 부자에 대한 혐오? 백인에 대한 혐오? 우리 사회에서 이런 것들을 찾아보기는 어렵습니다. 그렇다고 이들도 혐오하자는 이야기를 하려는 것은 아닙니다. 지금처럼 자신보다 약한 이들에게 가해지는 혐오 표현을 막아야 한다는 이야기를 꼭 하고 싶었습니다. 강자가 약자에 퍼붓는 혐오 표현은 명백한 폭력입니다. 내가 강하다는 것을 이용해서 던지는 그 말들은 농담도 아니고, 당연히 권리도 아닙니다.

우리가 육체적 폭력에 대해 죄를 묻는 것처럼 혐오 표현도 잘못임을 알아야 합니다. 몇 년 전 나온 ‘선량한 차별주의자’라는 책의 제목처럼 누군가는 자신이 잘못한 줄도 모르는 ‘선량한 혐오주의자’가 될 수도 있습니다. 지금 국회에 발의되어있는 차별금지법 같은 것들도 혐오 표현을 막는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우리 사회에서 소수자, 약자에게 가해지는 혐오가 폭력이라는 것을 모두가 인식하는 것입니다. 이제 폭력을 멈춰주세요. 혐오는 당신의 당연한 권리가 아닙니다.

첨부파일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