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산책] 숙명과 어긋난 욕망에 갇힌 인간들의 삶

관리자
발행일 2013.02.06. 조회수 1325
칼럼
숙명과 어긋난 욕망에 갇힌 
인간들의 삶


노트르담드파리1.jpg           뮤지컬 <노트르담 드 파리>

정지영 경제정책팀 간사
ji500@ccej.or.kr


  1330년대에 지어진 건축물로 건축학도에게는 꼭 한번 가 봐야할 순례지이며 유럽 여행 패키지에 빠지지 않고 꼭 들어있는 노트르담 대성당. 성당 자체로도 유명하지만 빅토르 위고의 소설과 뮤지컬 ‘노트르담 드 파리’의 배경으로 더 유명하다.
  빅토르 위고는 노트르담 대성당 성벽에 새겨진 ‘ANArKH(아나키아)’라는 글자를 발견하게 되는데 ‘ANArKH(아나키아)’는 그리스어로 ‘숙명’을 뜻한다고 한다. 빅토르 위고는 이 단어를 돌벽에 새긴 이의 고통을 생각하며, 노트르담 대성당을 무대로 ‘숙명’이라는 틀 안에서 중세시대를 살아간 인물들을 소설로 풀어냈다. 뮤지컬은 빅토르 위고의 소설을 토대로 노트르담 대성당을 나타내는 거대한 성벽을 무대에 옮겨왔다.리카르도 코치안테(Riccardo Cocciante)의 감동적인 멜로디에 뤽 플라몽동(Luc Plarmondon)의 문학적인 가사가 입혀진 노래가 더해져 작품의 몰입도를 높여준다. 이는 지극히 예민하지 못해 꺼내 보이기 민망한 내 수줍은 감성마저 절로 머리를 숙이게 만들었다. 

  지난 해 오리지널 공연팀의 내한공연 소식을 접하고 모든 일을 제쳐둔 채 한 달 점심값을 웃도는 비용을 감내하면서 서둘러 ‘노트르담 드 파리’ 공연을 예매했다. 매달 들어오는 ‘뻔한’ 월급에서 결코 만만치 않은 대형 뮤지컬 공연비를 빼고 남은 돈으로 한 달을 버텨내야 했기에 이런 문화를 즐기는 것 자체가 그 당시 내겐 나름대로 큰 희생이었다. 
  공연은 무대위의 노트르담 대성당 거대한 성벽을 타고 오르내리거나 바닥에 힘없이 누워있는 집시와 부랑자들 속에서 음유시인 그랭구아르(Gringoire)가 나타나 새로운 천년이 도래했음을 알리는 ‘대성당들의 시대(Le Temps des Cathedrales)’로 시작한다. 국내에서 가장 많이 알려진 ‘대성당들의 시대’는 모든 이야기와 주제가 집약적으로 나타나 있는 이 뮤지컬의 처음이자 끝이다. 이 곡은 종교가 세상의 중심이고 전부였던 1482년 중세, 신에게 더 가까이 다가가려는 소수 기득권층의 욕망과, 신을 섬기는 이들의 배타적인 이기심 속에서 소외받는 하층민과 집시들의 비참한 삶 등을 대비시켜 보여주며 새로운 시대를 알린다. 
  높고 거대한 노트르담 대성당은 대다수의 하층민과 서민, 집시들을 마구 짓밟은 땅 위에 세워졌다. 그 앞에서는 정작 신의 보호를 받아야 할 약자들이 성당으로 들어가지 못하는 아이러니한 상황이 벌어진다. 집시, 하층민들을 이교도라 칭하며, 이들의 성당 출입을 막는데 열정적인 이는 다름 아닌 노트르담 대성당 주교인 프롤로(Frollo)이다. 프롤로는 어렸을 때 버려진 꼽추 콰지모도를 성당의 종지기로 키운 인물로 신에 대한 종교적인 숙명과 집시 여인 에스메랄다에 대한 욕정사이에서 방황하다가 신의 이름으로 에스메랄다를 죽음으로 내몬 장본인이다.
  자유로운 영혼의 소유자로 매력적인 집시 여인인 에스메랄다는 성당 종지기 콰지모도, 신부 프롤로, 근위대장 페뷔스 등 3명의 남자로부터 사랑을 받게 되는데 이 3명의 남자가 에스메랄다에 대한 세레나데로 부르는 ‘Belle(아름답다)’는 3명의 각기 다른 개성 있는 목소리가 어울려져 환상적인 하모니를 만들어낸다. ‘Belle’는 프랑스 음악차트에서 44주간 1위를 기록, ‘대성당들의 시대’와 함께 노트르담 드 파리를 대표하는 여전히 많은 사랑을 받는 노래이다. 


노트르담드파리2.jpg


애틋한 사랑, 욕망의 사랑, 불같은 사랑

  콰지모도, 프롤로, 페뷔스 3명 남자의 사랑 중에서 가장 진실된 사랑 하나를 꼽는다면 난 주저하지 않고 콰지모도의 사랑이다. 콰지모도는 일그러진 얼굴과 굽은 등으로 사람들의 멸시를 받지만 성당 종지기를 천직으로 생각하는 누구보다 맑은 영혼을 지닌 인물이다. 에스메랄다로부터 난생 처음 받아보는 친절에 따뜻함을 느끼며 사랑을 키우지만 정작 에스메랄다에게 고백을 못한 채 주변을 맴돌며 그녀에 대한 일그러진 욕망을 채우려는 프롤로의 명령을 묵묵히 수행할 뿐이다. 프롤로의 사랑은 종교인으로서 지켜야 할 금욕을 넘어선 정욕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며, 근위대장 페뷔스의 사랑 역시 잠시 스쳐지나가는, 한 순간의 불장난과 같은 미숙한 것이었다. 
  이 복잡한 사랑의 중심에 있는 에스메랄다는 근위대장 페뷔스를 사랑했지만, 이미 귀족가문 출신에 어여쁜 약혼자가 있는 페뷔스는 에스메랄다와 약혼자 사이에서 고민과 갈등을 거듭하다 결국 약혼자에게 돌아갔다. 반면에 에스메랄다는 이런 페뷔스의 변심을 모른 채 그와의 사랑을 지키려다 자신에 대한 욕정에 눈 먼 프롤로에 의해 교수형에 처해져 죽음을 맞이하게 된다. 
  프롤로의 명령에 의해 에스메랄다를 납치하는 등 음모에 가담한 콰지모도는 에스메랄다에 대한 죄책감과 변함없는 사랑으로 싸늘하게 식어 죽은 그녀를 부둥켜안은 채 ‘Dance, my Esmeralda(춤을 춰요, 나의 에스메랄다)’를 절절하게 부르며 그녀와 함께 눈을 감는다.

  공연 내내 불려진 노래는 공연이 끝난 뒤에도 한 동안 귓가에 계속 맴돌면서 짧지 않은 공연 시간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아쉬움을 남게 했다. 솔직한 심정은 저 배우들을 주머니에 넣고 다니며 틈나는 대로 꺼내 그들의 연기와 노래를 실시간으로 듣고 보고 싶을 정도였다. 
  다른 관객들의 마음도 다르지 않았는지 모든 배우들의 인사가 끝났음에도 박수는 계속 이어졌다. 이에 그랭구아르(Gringoire)역을 맡은 데니스 텐 베르헤르트가 ‘대성당들의 시대’를 부르며 관객들 박수에 답했다. 객석에서 누군가 ‘대박’이라는 탄성을 자아냈다. 대작의 굵직한 감동과 아름다운 선율이 가슴에 여전히 남아있는 채 공연은 진짜 막을 내렸다. 

첨부파일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