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5년 시민입법을 위한 국회법 개정

관리자
발행일 1999.10.11. 조회수 3231
정치

시민입법을 위한 국회법 개정


 

I. 국회의 정치형성력 복원과 시민입법


 

   헌법규정상 국회의 임무는 법제정과 재정권 그리고 이를 위한 행정감 사권 등으로 나타난다. 하지만 보다 더 실질적인 의의는 그 과정을 통하여 주권자인 국민의 역동적 의사가 구체화되고 공동체 구성원들 의 정당성이 형성된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때문에 그러한 국회를 구성하는 의원들을 어떻게 뽑을 것이며(국회의 원선거법), 선출된 의원들로 구성된 국회의 활동기준을 제시하고 평 가하는 형식(국회법)이라든지 이들 의원들의 자금상황에 대한 국민들 의 지원과 감시체제(정치자금에 관한 법률)야 말로 국회의 정치형성 기능을 뒷받침해 주는 기반이 된다. 그러한 여러가지 전제에 의해서 민주정은 비로소 그 구체성을 지니게 된다. 국민은 그럼으로써 주권 자이자 공동체 구성원으로서의 자격에 기해서 사회공동체를 정치적 일원체로 통합하는 과정을 주도해 나갈 수 있게 된다.


한국의회정의 문제는 따라서 바로 지금의 국회가 국민의 올바른 대표 자인가 그리고 그러한 대표자로서의 권능을 어느 정도로 수행하고 있 는가를 검토하는 데서 출발해야 한다.


  

   의회제도 자체에 대한 개선점의 제도적 측면으로서 본회의와 상임위 원회의 운영과정에서 나타나는 사항들을 둘러 싸고 많은 방안이 제시 (예컨대 박재창의 최근:92년 7월의 논단)될 수 있다. 그러나 여기서 는 그것을 운영하는 국회의원의 행태, 즉 의회정의 성패를 그들의 정 치적 윤리에 방임하는 것이 아니라,주권자인 국민이 의원선출 이후에 도 지속적인 주권적 통제를 행하는 것을 중심으로, 시민이 입법과정 에 참여할 수 있는 한국의회정의 개혁을 위한 헌법논리를 생각해 본 다.


 

II. 시민의 입법 등 참여와 통제를 위한 국회법 개정


 

1. 시민의 입법 등 참여를 위한 개정점

시민이 입법과정에 직접적으로 참여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입법의 주 체인 국회의 구성원을 선정하는 것 즉 국회의원을 선출(헌법 41조 1 항)하는 길이 아마도 유일한 길일 정도로 제한되어 있다. 국민대표제도 하에서 입법권을 국회에 귀속(헌법 제40조)시키고 있는 의회주의 하에서 당연한 일일지도 모르겠다. 법률안의 제출을 국민에게 인정한 국민발안권이 헌법상 규정되지 않았을 뿐 아니라, 국민에 의한 법률 제정 국민투표권도 헌법 제72조의 국민투표의 범주에 속하지 않는다 고 보는 것이 통설인 이상, 국회의 입법과정에 국민이 간접적으로나 마 어느 정도 참여하도록 하는 국회법의 개정이 필요하다고 할 것 이다. 그것은 우리 헌법상의 국민주권(헌법 제1조 2항)이 형식적인 것이 아니라,국민이 실제에 있어서 현실적으로 국가의 최고의사를 결 정함으로써 이루어지는 실질적 능동적 국민주권(헌법재판소 1989.9.8.선고,88헌가6결정)이기 때문에 더욱 타당한 지향점이기도 하다.

 


(1) 목적 조항의 명확화 (제1조)
(개정) 이 법은 국회의 권한행사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국회 의 권한행사 과정에 국민의 의사를 최대한 반영할 수 있게 하는 정식 성을 목적으로 한다.
(이유) 정부조직법이나 법원조직법과 같은 명칭과는 달리 국회조직법 이 아닌 국회법에도 헌법상의 국회의 권한 조직 의사 등이 모두 구체 화되어야 한다.


 

(2) 국회와 국민 또는 행정기관과의 관계(제 10장 제 120 - 122조)
(개정) 제 128조 제 1항 국회의원은 헌법 및 다른 법률에 위배되는 경우 외에 사안에 대한 보고나 서류제출을 정부행정기관 기타에 대하 여 요구할 수 있다를 추가
(이유) 국회의원은 각자가 헌법기관으로서 그 권한행사 큭히 입법등 의 과정에서 능동적인 역할을 할 수 있어야 한다. 정보공개법의 제정 여부와 관계없이 국민의 위임한 입법권 등의 행사를 보다 명확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할 것이다. 이는 재정에 관한 권한이나 국정감사, 조 사권 등의 행사에 대해서는 마찬가지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국회에서의 증언 감정 등에 관한 법률 제4조 제1항에 서는 제출할 서류의 내용이 직무상 비밀에 속한다는 이유로 서류제출 을 거부할 수 없지만, 군사 외교,대북관계의 국가비밀에 관한 사항으 로서 그발표로 말미암아 국가안위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주무부 장관(대통령 및 국무총리 소속기관에서는 당해 고나서의장)의 소명이 있는 경우 그 거부를 가능하게 하며, 제2항에서는 국회가 이 소명을 수락하지 아니할 수 경우에는 본회의 의결로, 개회중에는 해당 위원 회 의결로 국회가 요구한 서류의 제출이 국가의 중대한 이익을 해친 다는 취지의 국무총리 성명서 하나만으로 자료제출이 거부될 수 있 다. 
  

   문제는 국가비밀에 관해서 이미 대법원은 법령에 의하거나 인위적으 로 비밀로 분류된 것 뿐만 아니라 정치적 군사적 필요에 따라 비밀 로 된 사항과 정부와 공공기관 또는 국민의 객관적이고도 일반적인 입장에서 외부에 알려지는 것이 상당한 이익이 되는 사항을 비밀로 간주되어야 한다고 할 정도로, 국가기밀의 범위를 넓게 잡기대문에 실제로 직무상 비밀정도에만 해당되어서 자료를 제출해야만 되는 경 우는 거의 없게 된다. 더군다나 국가의 중대한 이익을 해친다고 하는 행정기관의 성명발표,즉 불가선언만으로 서류제출이 배제(4조3항의 반대해석)된다면, 그 다툴 수 있는 방법은 없다. 성명서 발표 여부는 행정기관의 재량행위에 속하고 이를 규제할 수 있는 법적 판단은 사 실상 없기 때문이다. 
  

   국무총리 성명서의 존재로 인하여 행정기관이 제시하는 국가비밀의 존재는 강한 추정을 받아서 그 제출강제에 대한 국회나 법원의 실효 성있는 강제수단은 찾기 어렵다. 때문에 행정부의 비밀지정체제의 확 립과 통제,비밀지정권자의 엄격한 선정 등의 제도를 통하여 국회의 문서에의 접근 이용을 증가시켜야 한다. 이를 위한 국회법의 개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예컨대 정부의 비밀 지정활동에 대하여 통계적 실증적으로 정리되고 보고서가 매년 국회 에 제출되도록 하는 규정이 삽입되어야 한다.


 

(3) 국정조사권 발동요건 및 증인 감정인 참고인 출석요구권의 완화
(개정) 국정조사 및 감사에 관한 법률 제3조--국회의 특정사안에 대 한 조사는 국회 재적의원 '4분의 1이상의' 요구가 있으면 가능하다.
[개정] [국회법 129조] ① 본회의 또는 위원회는 그 출석 4분의 1의 찬성에 의하여 증인 감정인 또는 참고인의 출석을 요구할 수 있다. (이유)역시 국민의 입법 등의 과정에 대한 참여의 용이함을위해서이 다.


 

(4) 국회 [지역사무소] 설치
(신설) [국회법 129조 다음에] 국회의원은 그 이법활동 등의 보좌를 위하여 각 지역구마다 설치된 국회소속 지역사무소를 관리한다. 지역 사무소 보좌관은 국회가 시행하는 시험 등에 합격한 자 또는 국회규 칙이 정하는 일정 자격자에 한하여 당해 지역구 국회의원이 추천하 다.
(이유) 이는 국회의원의 개인(국회소속이 아닌) 지역구 사무실이 아 니다. 그런 점에서 지역주민과 국회의원의 활동을 공적으로 매개시켜 주며, 국민 대표성의 구체화에 이바지한다. 또한 정치자금의 수요가 급격히 감소한다. 이로써 국회의 위상이 확산될 수 있다.

 


(5) 청원[국회법 제9장 : 123조 - 129조]
(개정) [제123조 제1항] 국회에 청원을 하려고 하는 자는 직접 ('의 원의 소개를 얻어'라는 규정의 삭제) 청원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제125조 제3항] 청원을 행한 자는('소개한 의원'은 삭제)... 청원의 취지를 설명하여야 한다.
(신설) [제126조 제3항] 입법청원을 다루기 위한 입법청원심사소위원 회를 상설로 둔다.
(이유) 청원에는 여러 종류가 있겠지만 특히 입법청원을 적극적으로 보호하고 청원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청원권은 국민의 헌 법(26조)상 권리이기에 국회에 대한 청원은 보다 실질적인 것이 되어 야 한다. 청원대상이 국가기관의 권한에 속하는 거의 모든 사항(청원 법 14조 5호)이라면 청원권은 국민과 대표자 사이에 자유위임, 즉 구속위임의 관계(헌법 45조 등 참조)만 있는 우리의 현실상 그 대표관계의 실질 을 보정하도록 하는 실질적 국민주권에 기초한 준대표권(또는 준직 접 민주정)의 방식임과 동시에 국민공동체 형성기능이 본질적인 의의 로 될 것이다. 청원을 받은 기관의 청원에 대한 응답의무는 청원을 민주적 의사결정과정의 참여수단으로서 해주는 본질적인 것이다. 청 원은 단순한 표상적 권리가 아니다.
   특히 국회에 대한 청원일 때에는 입법적 응답까지도 요한다. 즉 법률 제정에 대한 청원자들의 희망은 심사숙고와 가변성(adjudicative)을 요구하여 의회의 입법적 책임을 깨닫게 한다. 이미 우리의 청원법(4 조)에서도 법규범의 통제에 해당되는, 법률․명령․규칙의 제정, 개 정 및 폐지의 청원이 규정되어 있다.

 


(6) 공청회.청문회의 필수화
(개정) [제46조] ① 위원회는 ...공청회를 열고 ...의견을 '들어야 한다'. ('들을 수 있다'는 임의규정의 삭제) [제65조] ① 위원회는 ...청문회를 '열어야 한다'.('열 수 있다'라는 임의규정의 삭제)
(이유) 국민의 입법과정에의 참여는 공청회와 청문회를 통해서 보다 가능하고 활성화 될 수 있다. 각종 사회단체의 의견개진은 물론, 무 기속위임이라는 대표제 하에서 선거후 의원에 대한 통제를 입법과정 을 통해서 행할 수도 있게 된다. 법안의 심의에 있어서 국민이 간접 적이나마 참여할 수 있는 통로가 열림으로써 졸속입법을 방지하는 국 회법의 개정이 될 것이다.

 


2. 시민의 입법 등 통제를 위한 개정점


(1) 당적변경 의원에 대한 자격심사나 징계


(개정) [제138조](추가) 의원이 소속정당을 탈당한 때에도 자격심사 의 대상이 될 수 있다. [제155조제2항](추가) 10. 의원이 소속정당을 탈당한 때 [164조] 징계로 제명된 자중 '그 사유가 소속정당의 탈당으로 인한 것인 때에는'(추가) ...보궐선거에 있어서의 후보자가 될 수 없다.
(이유) 의원직을 상실함이 없이 임기중 정당이나 교섭단체를 바꾸는 것이 가능한가? 이 점에 대해서, 우리의 학설은 (국민대표에 입각한) 대의제와 정당 국가적 헌법질서가 서로 조화될 수 있다고 하면서 라이프홀쯔식의 과 도한 정당국가를 비판하고 따라서 정당국가적 경향에도 불구하고 정 당 내지 교섭단체구속보다는 (국민에게 구속받는) 자유위임관계에 우 선적인 효력을 인정하는 것이 국내 헌법학자들의 일반적 견해이다. 즉 의원자격은 상실되지 않는다고 한다. 마음대로 당적변경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문제도 실질적 국민주권과 대표이론에 의한 설명 으로서 해결할 수 있다고 본다.
   우리 헌법상 의원이 국민과 관계없이 만들어지는 법정대표가 될 수 없음은 당연하다.또 국민으로부터 형성된다 하더라도 법적으로 구속 을 받아서 강제위임의 관계를 지니게 된다는 대표관념은 의회제의 기 본구조상 인정되기가 어렵다. 의원은 주권자인 [국민](제1조 제2항) 에 의해서 직접으로만 선출될뿐이다.
(제41조 제1항) 비례대표제도 이러한 직접성에서 벗어날 수 없으며, 이 점에서 현행 전국구의원제도는 위헌적 요소가 있다.
무구속위임의 원칙 또 강제위임의 금지(의원특권 규정인 제45조에서 시사), 즉 자유위임의 원리에 의하여 의원은 추상적 공동체인 국민만 을 염무에 두면서 행동하면 된다. 국가이익에 우선하여 그 양심에 따 른 책무(제46조 제2항)만 주어지는 것은 그 때문이다. 그런데 이러한 의원의 자유위임성은 선거구민이나 정당, 기타 사회세력으로부터의 무구속성을 나타내어 그 직무수행을 원활하게 하려는 것이지 국민으 로부터의 통제로부터 자유롭다는 의미는 아니다. 따라서 의원은 그 자주적 행위에 민의반영을 행하고 그 책임도 주권자인 국민에 대하여 져야 한다. 의원은 그러면 어느 정도의 책임을 지는가?


   실질적 주권론을 전제로 한다면 정치적 대표이론을 채택하더라도 그 것이 우선은 자유위임을 그 본질로 하는 만큼, 비록 의원이 당적을 변경했다 하더라도 의원자격이 당연히는 상실되지 않게 될 것이다. 여하간 법적 책임은 지지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정치적 책임은 진다. 물론 지역구선거민에 의한 재선거부는 당연히 가능하다. 그 이상으로 헌법정책상 가능한 것은 실질적 국민주권을 구체화시키기 위한 방안 으로서 유권자인 인민의 주권적 불신감이 완화될 수 있도록 하는 안 정기간을 두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임기중 3분지 1의 기간동 안 출석을 정지시킨다든지, 임기단축, 차기선거에서의 정당추천에 의 한 피선자격을 박탈하는 등의 방식이 의회정을 가능케 하는 자유위임 과 상충되지 않는 책임추궁수단이 될 것이다.


   실질적 국민주권에 있어서는 선거이후에도 유권자에 의한 지속적인 통제가 가능하며 이는 국민대표 특히 자유위임과 상충되는 것이 아니 다. 자유위임은 오로지 순수국민 즉 국가의 이익만을 염두에 두면서 행동하라는 것이고 그를 위한 면책특권과 불 보특권은 그래서 인정되 는 것이다. 물론 그를 선출한 선거구민의 명령위임은 인정되지 않으 나 선출의원의 행위에 대한 책임추궁은 헌법정책적으로도 가능하리라 고 본다.
의원의 개인적인 윤리만으로 한국의원의회제의 혁신을 바라기는 어렵 다. 민주당이 지난 7월 12일 의원과 지구당위원장 전체가 참여하는 '깨끗한 정치' 선언을 채택하고 당운영비를 공개하기로 한 것은 의미 있는 일이나 역시 당사자들의 실천의지에 맡겨져 있기 때문에 이를 담보해내기 위한 유권자의 감시의 눈이 필요하다. 이 정에 민주당초 선의원 12인의 선언에 대해서도 같은 지적이 가능하다. 그것은 결국 유권자의 지속적인 통제에 따르겠다는 의미로 볼 수 있다. 물론 평가 대상에는 지역구활동보다는 의정활동이 주가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한 정치자금법의 개선, 선거공영제, 국회회기를 늘리고 회의의 TV중계, 유권자에 의한 공약평가를 가능케 하는 TV유세의 확대는 특히 정보사 회에서의 바람직한 국민대표의 실질확부를 위한 담보책이 될 것이다. 오늘날 권력이상으로 검은 돈에 의한 의원의 자유위임의 방해는 선거 구민의 지속적인 통제없이는 막아내기 어렵다. 자본제사회에서 실효 성 있는 대표부담보방책이 요구되는 때이다.


(2) 절차적하자 있는 입법의 통제
(신설) <제 98조 다음에> 국회법등에 규정된 위배된 입법은 헌법제판 소에 의한 심사를 거친후가 아니면 그 효력을 발생할 수 없다.
(이유) 1990년의 제 151회 정기국회는 폐회 3주를 남겨 놓고 정상회 되었다. 즉 헌법과 국회법이 정한 100일의 회기에서 70여일을 공전시 켰다. 그 원인은 3당합당이었지만 直因은 90년 7월 14일 임시국회 당 시 국군조직법 통과와 관련한 국방위원회의 날치기 처리 즉 절차적 하자있는 입법 때문이었다. 이 때문에 당시 평민당 의원(79명)은 그 졸속입법이 헌법과 법률이 정한 입법권한으로서의 질의,토론, 표결권 을 명백히 침해한 것으로서의 위헌,무효라며 {국회의원으로 이루어진 원내 교섭단체와 국회의장간의 권한 쟁의}로서 심판을 청구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회의장은 "지난 임시국회때 처리된 법률안에 이 견이 있을 때에 는 교섭단체간 협의해주기 바란다"고 했지만,바로 국방위원회에서는 위원장 사과와 재발방지 보장정도만을 요구하고 실제 사과표명으로 일단락시키고 있다.


이미 평민당이 날치기 법안에 의한 기본권 침해로 인한 헌법소원과 국회의장을 상대로 한 권한쟁의 심판을 헌법재판소에 제기했다는 사 실을 생각할 때, 그런 정도로의 해결시도는 옳은 길이 아닐 뿐만 아 니라 일종의 주권적 허탈감을 짙게 하는 대목이다. 따라서 이를 막기 위한 국회법의 개정이 필요하다.

 

Ⅲ. 시민의 알 권리보장을 위한 국회법 개정


1. 의안 심의 일정에 대한 알 권리를 위한 개정점


(1) 회기일시의 고정 및 상설화


(가)개원 일시의 지정
(개정) <제 5조 제 2항> 국회의원 총선거 후 최초의 임시회는 국회의 원 임기 개시일로 부터 '도래하는 첫번째 월요일 오전 10시로'한다.
(이유)박재창(1992)의 글 참조(16--19면) 그런데 국회 임시회 등의 본 회의 상설화는 헌법 제 47조 제1항에서 대통령이나 국회 재적의원 4분의 1 이상의 요구에 의하여 집회된다고 규정하고 있기 때문에 국회법 개정에 의해서는 어렵다고 생각된다. 또한 그런 점에서 볼 때 현행 국회법 제 5조 제2항에서 최초의 임시 회를 국회의원 임기 개시일로 부터 30일 이내에 집회한다고 한 규정 도 훈시규정에 해당될 수 있게 된다. 똑같은 이유로 개원일시를 특정 화하는 위 개정안도 마찬가지 일 수 있으며, 나아가 의회주의라든지 헌법 제 47조 제1항에 위배된다는 지적도 나올 수 있다.

 


(나) 상임위원회 및 소 위원회의 상설화
(개정) <제 53조 제 1항> 상임위원회는 월 1회 정례적으로 개최한다 ('폐회중'을 삭제 하여 개회나 폐회여부에 관계없이 상설화 한다) <제 157조 제 2항> 위원회는 .... 소위원회를 '둔다'(종래 둘수있다 라는 임의규정을 강행규정의로 바꿈) <제 157조 제 2항> 상임위원회는 ....상설소위원회를 '둔다'. <제 157조 제5항> 소위원회는 주 1회 정례적으로 개최한다(...'폐회 중에도 활동할 수 있으며'의 삭제)
(이유) 박재창(1992)의 글,38--39면, 50면 참조

 


(2)회의일정 공시를 위한 개정안
(개정) <제76조 제1항> 의장은 ... 의사일정을 '안건도착 순서에 따 라 일련 번호를 부여한 의안목록에 따라 ' 작성하고... (추가) <제76조 제1항> 의사일정의 작성에 있어서 '특히 긴급하거나 간략한 심사철차에도 불구하고 특별 의안목록을 작성할 수 있다.'
(이유) 박재창 (1992)의 글, 19~22면 참조


(3)회의내용 알 권리를 위한 개정안


(가) 소위회 회의록 작성 및 공개
(개정) <제69조 제4항> 단서조항 삭제 (단서-소위원회의 위원장이 필 요하다고 인정 할 경우에는 의사에 관하여 속기방법에 의하지 아니하 고 그 요지를 기록할 수 있다) <제55조 제1항> 위원회에서는 의원이 아닌 자라도 방청을 할 수 있 다. 다만 소위원회의 의결로 그 제한을 할수있다.

(방청에 있어서의 의장 허가권 삭제)
(이유) 법안심의가 대체로 의안 발의 - 의원에의 인쇄배부 - 본회- 본회의 보고-소관 상임위원회에의 회부(또는 특별위원회 내지 관개위 원회 회부)-본회의 부의. 의결의 과정을 밟는 과정에서 (법 제6장) 상임위원회 중심주의를 택하고 있는 우리의 현실상 중요한 몫을 차지 하는 상임위원회에서의 회부.심사에 관한 규범적 내용이 대단히 상세 (법33조~71조)함에도 불구하고, 심의의 첫번째 단계이면서 폐회중에 도 활동할 수 있는(법 57조 5항) 소위원회(법57조) 에서의 심사 경 과를 알 수있도록 하는 회의록의작성에 대해서는 11가지사항(개강일 시나 의사일정,출석의원 성명,심사안건명이라든지 의사. 표결수. 위 원장의 보고, 위원회에서 중검되거나 본희의에 부의할 필요가 없다고 결정된 안건명과 그내용등) (법69조 4항1문) 에 대해서 소위원회 위 원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할 경우에는 의사에 관한 속기없이 요지기록 만 할 수 있도록(법 69조 4항 단서) 하며 심지어는 아예 기록 자체를 의결로 생략(69조 2항)하기도 할 수 있다고 하여 그 비정식성이 확 영히 드러나고 있다.


   이를 시정하고 회의가 정식성을 띄어서 밀실에서의 *회 라든지 의안 심의의 권위부여에 적합하지 아니한 시정잡담식 언설에서 벗어나 주 권적 국민의 일반의사가 적절히 표출될 수 있도록 하려면 의회 공개 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에 대해서 헌법상 국회회의는 공개(50조 1항) 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국회법도 이에 따라(법 75조 1항 1문, 71 조) 본회의와 위원회의 회의는 공개를 원칙으로 하며 소위원회에 있 어서도 (법 57조 6항) 마찬가지로 공개된다. 다만 비공개의 요건에 국가안전보장이라는 기준을들고 있어 광범할 뿐만 아니라 보호 등을 고려할 때 좀 더 명확한 기준이 요구된다.

   그런 점에서 국회를 포괄하는 행저위원회 등 각종 회의의 공개에 관 련한 상세한 정식성의 내용을 정하는 의회공개법의 제정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그럴때 국회의 의사활동이 투명해져서 자기의 발언에 책 임을 지어, 헌법 제46조의 청렴의무나 국가이익 우선의무, 양심에 따 른 직무 수행의무 그리고 지위남용이나 담합방지가 구체적으로 실현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결국 열린사회를 실현시킬 수 있는 정보공 개법의 제정과도 관련하여 의미가 있게 된다.

 


(나) T.V 중계 및 점호투표제 도입
(개정) <제112조 제1항> 표결할 때에는 '... 의원 각자의 성명을 호 명하여 그 투표에 의한 결과로' 가부를 결정한다.(기립투표제의 삭 제)

 


IV.국회자율권 신장을 위한 국회법개정


1. 의장의 당적보유문제 의장으로 선출된 경우 당적을 이탈해야 하느냐는 그 실제적 효과여부 를 기준으로 볼때 일장일단이 있기 때문에 좀 더 논을를 해야 할 것 이다. 의장의 당적이 없다고 해서 항상 중립적이고 투명한 의사진행 을 한다고는 단언하기 어렵다. 오히려 다수당의 힘에 의거해서 그 권 위를 적절히 행사할 경우 좋은 진행(예컨대 이만섭 의장의 의사진 행)이 될수도 있기 때문이다. 또한 당적이탈이나 변경의원에 대한 시민적 통제 등을 인정하면서, 의장만에 한해서 오히려, 그 당적이탈 을 요구하는 것은 모순이 될 것이다.


2. 회의에 있어서 발언** 의 개혁이라든지, 의안심의에서의 본회의 의회제도 ,상임위원회의 분화, 의사규칙의 정교화등은 박재창(1992) 의 논단에서 제시한 것과 동지이므로 거기에 맡기고 상론을 피한다. ##

첨부파일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