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극으로 읽는 고전] 죽은 햄릿의 영혼을 노래하다

관리자
발행일 2013.01.04. 조회수 1047
칼럼



죽은 햄릿의 영혼을 노래하다

셰익스피어 <햄릿> & 극단 뛰다 <노래하듯이 햄릿>

 

김상혁 정치입법팀 간사

noeul@ccej.or.kr

 

햄릿1.jpg

 

  수많은 연극고전 중 햄릿을 다루지 않는다는 것은 왠지 찝찝하다. 이 찝찝함을 조금 구체화하자면 마치 계란 넣지 않은 라면을 먹는 심심함과 장시간 외출 시 핸드폰을 휴대하지 않은 불안감, 무슨 말인지 하나도 모르는 책을 읽어야 하는 답답함을 섞은 것과 같다. 그렇다면 왜 여태껏 햄릿을 다루지 않았는지는 원작과 함께 보게 될 각색작을 위해서라도 굳이 변명을 해야겠다. 최근 1년 동안 햄릿을 다룬 연극이 별로 없었다(많이 다뤘지만 게을러서 찾지 못했을 수도 있다). 거기에 더해 ‘햄릿이야 뭐 뻔하지’ 하는 오만과 ‘언젠가 쓸 기회가 있겠지’하는 안일함으로 지금껏 미뤄왔다. 어느 날 우연한 기회가 찾아와 극단 ‘뛰다’의 <노래하듯 이 햄릿>을 접하게 됐다. 이 작품을 통해 햄릿은 살아있는 작품이며 고전중의 고전이라고 반성하며, 개운치 않은 마음을 해소하고자 이번 호의 주제를 햄릿으로 정했다.

 

 

비극을 희극적 애도로 노래하다


  원작 <햄릿>의 내용은 너무나 유명해 길게 썰을 풀지 않겠다. 셰익스피어의 비극 중 하나로 햄릿의 아버지인 덴마크 왕의 죽음에서 시작해 모든 주요 등장인물이 죽음으로 막을 내린다. 모두가 죽는다고 비극이라 말할 수 없지만, 극적 상황에서 비롯된 햄릿의 잔인한 고뇌를 통해 한 인생을 밑으로 쭉 끌어 당기는 중력을 느낄 수 있다. 이 무게가 관객들을 집중시키고 있어 오랫동안 사랑받으며 수많은 각색 이 이뤄졌고 지금도 진행 중이다. 그런데 <노래하듯이 햄릿>(이하 노·햄)은 다른 각색작과는 다른 주 인공 햄릿을 등장시킨다. 왕자로 자란 아이, 생각이 많아도 너무 많은 귀찮은 중생 같은 어린아이로 설정하며 햄릿을 희극적 인물로 만들었다. 그리고는 죽은 햄릿의 얘기를 듣는다. 얼마나 한이 많으면 이승과 저승의 중간쯤 있는 곳에서 떠돌며 그 한을 풀지 못하고 있을까. 이런 설정 하에 원작을 바탕으로 한 햄릿의 이야기를 풀어내며 희극적으로 햄릿을 애도한다. 이는 마치 죽은 자, 망자의 넋을 위로하여 저승길 잘 가라는 한국의 정서를 햄릿에 투여한 듯하다. 정서가 맞아서일까. 다른 요인이 있어서일까. 이내 관객은 마치 굿판 주변에 사람들이 몰려와 무당을 구경하듯 햄릿의 영혼을 고이 보내는 배우들의 굿에 시선을 모은다.


“죽느냐 사느냐 그것이 문제로다”
죽음과 삶에 대한 고민은 한 인간의 영원한 숙제이다.
주변인의 죽음을 통해 삶에 대한 의미 혹은 죽음에 대한 비정함이 감싸져
한 인간의 삶을 옥죄는데, 원작 햄릿은 이를 사실적으로 표현하며
인간 본연의 비극적 카타르시스를 느끼게 한다.

 

 

노햄1.gif


엑스트라인 광대가 주연으로 변신


  원작 <햄릿>에서는 광대가 나 온다. 오필리어의 무덤을 파며 다 른 무덤에 있던 해골을 가지고 노 는 광대 둘이 있는데, 이들 광대와 햄릿이 만나 대화를 나누는 장면이 짧게 등장한다. 누구의 무덤인지 도 모른 채 햄릿은 친구 호레이쇼의 죽음으로 인한 비정함과 인생의 무상함을 느끼고, 광대 둘은 평소 무덤을 파며 나눴을 대화들을 주저리주저리 떠드는 정도다. 원작의 무덤지기를 맡았던 단역이나 될까 한 광대가 <노·햄>에서는 주연이 되어 무대를 누빈다. 다섯 명의 광대는 무당처럼, 재연배우처럼 햄릿을 조롱하듯 얘기한다. 모든 것이 유희이자 재미일 뿐 심각하진 않다. 이와 같은 조롱을 통해 음모와 사랑, 욕망으로 얼룩진 비극적 햄릿의 이야기는 일상성과 보편성을 얻게 된다. 오랫동안 조연을 맡다가 첫 주연을 한 작품에서 대중적으로 많은 인기를 누리기란 힘들다. 하지만 <노·햄>은 원작 <햄릿>의 광대에게 있어 탁월한 주연 데뷔작이다.

 

 

흔히 보는 소품이 햄릿으로


  그런데 5명의 광대가 햄릿을 어떻게 재연했을까? 바로 인형과 음악이다. 제목에 ‘노래하듯이’가 있 듯이 <노·햄>에서는 따라부르기 쉬운 멜로디의 노랫가락이 작품 내내 들려진다. 또한 극단 ‘뛰다’만 의 형태로 사람 같지 않지만, 사람 같은(?!) 인형으로 등장인물들을 표현했다. 인형이 나온다고 해서 어린이극을 상상하면 큰 오산이다. 얼굴만 인형의 탈로 제작하고 나머지 의자, 우산, 부채, 냄비, 상 자 등의 소품을 가지고 자유자재로 등장인물들을 그려낸다. 어린애 장난감 다루듯 이런 소품들을 활용하는 모습이 배우들이 공연을 준비할 때 광경을 상상하게 하며 또 하나의 재미를 주었다. 특히 햄릿과 오필리어의 인형 크기는 거투르드(엄 마,왕비)와 클로디어스(숙부,왕)의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너무 작았다. 햄릿이 강한 캐릭터는 아니지만 이토록 나약하고 왜소한 인간이었나 싶다. 그저 유희를 위해 움직이며 보잘 것 없는 소품과 함께하지만, 감정이 무르익는 장면에서는 마치 실제 등장인물이 인형에 빙의라도 된 듯하여 소름이 돋았다.

 

 

노햄3.jpg

 

 

훠이훠이 떠나보내다


  이렇게 광대들은 처음부터 끝까지 쉴 새 없이 뛰어다니고 노래하며 떠도는 영혼으로 설정된 원작의 주인공 햄릿을 조롱하고 놀이 삼다가 마침내 죽은 자의 넋을 위로하며 아름답게 떠나보낸다.
  “안녕~ 이젠 편히 가~”
  손을 저으며 ‘훠이훠이’ 라는 표현으로 밖에 설명할 길이 없는 그 장면에서 필자도 그 넋을 위로하며 어느 순간 스스로 위로 받고 있었다.
  “죽느냐 사느냐 그것이 문제로다.”
  죽음과 삶에 대한 고민은 한 인간의 영원한 숙제이다. 주변인의 죽음을 통해 삶에 대한 의미 혹은 죽음에 대한 비정함이 감싸져 한 인간의 삶을 옥죄는데, 원작 햄릿은 이를 사실적으로 표현하며 인간 본연의 비극적 카타르시스를 느끼게 한다. 반면 <노·햄>은 보고 있는 내내 삶과 죽음이 경계에 있음을 깨닫게 되며 양쪽을 휙휙 마주치게 한다. 죽음을 바라보며 삶 쪽으로 밀려나는 기분이랄까. 누군가를 떠나보내며 이에 대한 반작용으로 나는 삶으로 파고든다.

 

 

마치며…


  그동안 연극공연을 가지고 원작과 각색작을 비교하거나 원작과 이를 스크린으로 옮긴 영화를 비교 하며 고전을 다뤄봤다. 사실 칼럼 이름이 필자가 기고하는 글의 내용과 정확히 들어맞는지는 쓰면서도 계속 의문이 들었다. 연극으로 고전을 보게 되는 것이 아니라 고전을 새롭게 해석하거나 변형된 극을 원작과 비교하는 글을 썼기 때문이다. 고전을 깊이 있게 이해하기 보다는 오히려 고전을 더 이해하지 못하게 하지 않았나라는 생각도 든다.
  “세상은 변하지만 인간은 이전 세대가 했던 고민을 여전히 떨치지 못하고 있다.”
  뜬금없지만 그저 이러한 말로 짧은 소회를 털어놓는다. 그간 고생시킨 편집자님께 심심한 감사를 보내며 다른 좋은 기획으로 다시 만날 수 있는 기회를 얻었으면 한다. 훠이훠이~

첨부파일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