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대 대선 시민인터뷰_1.청년]"노동 강도 조정으로 일자리가 늘어났으면 좋겠어요"

관리자
발행일 2017.04.26. 조회수 1762
칼럼

정의가 시작되는 5월

후보선택도우미 19대 대선 시민인터뷰


1.청년

이번 19대 대선은 어느때보다 ‘개혁’에 대한 목소리가 높은 선거입니다. 국정농단 사건으로 대통령이 탄핵되면서 앞당겨진 대선인만큼 우리 사회가 더 이상은 이대로 가서는 안 된다는 생각을 대부분의 시민이 공유하고 있습니다. <경실련>은 가장 시급하게 해결되어야 할 핵심 개혁 의제에 대해 시민들의 생생한 이야기를 담는 자리를 마련했습니다. 우리 사회에서 가장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이번 대선을 통해 후보들이 어떤 정책을 가져야 하는지 당사자들의 목소리를 직접 들어봅니다.


첫 번째로 만난 시민은 청년 김유니씨(23세, 성신여대 3학년)입니다.






Q. 나이와 학년을 보면, 비교적 휴학하지 않고 학교를 다닌 것 같습니다.


A. 네, 휴학은 안 했어요. 주변에 보면 친구들과 선배들 중에 휴학을 많이 하긴 해요. 대부분 등록금 문제이거나 스펙 쌓기를 위한 휴학이죠. 저는 부모님께서 등록금을 감당해주실 수 있을 때 빨리 다니고 졸업하자는 생각으로 휴학없이 다니고 있지만, 저도 내년에는 공무원 시험 준비로 휴학을 할 예정이예요.









Q. 취업이 아닌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는 이유가 있나요?


A. 아무래도 복지나 안정성이 큰 이유예요. 살면서 일을 계속 하고 싶은데, 일반 기업에서는 그럴 수 없는 여러 가지 경우가 있잖아요. 그런 안정성 면에서 공무원을 택했어요. 채용과정이 비교적 공정하다는 것도 있구요. 무엇보다 야근문화 같은 것이 사기업보다는 비교적 낫지 않을까 싶은 이유도 있어요. 우리 나라 기업들이 노동 강도가 엄청 세잖아요. 저는 기업처럼 많은 돈을 받지 못하더라도 밤 늦게까지 일만 하며 살고 싶지는 않더라구요. 그런 복지나 근무환경 차원에서 선택한 이유가 커요.








Q. 공무원 시험 경쟁률이 나날이 높아진다는 보도를 많이 봤습니다. 주변에 실제로 공무원 시험을 선택하는 청년들이 많나요?


A. 꽤 많아요. 이미 노량진에서 수험 준비를 시작한 친구도 있고, 같이 아르바이트하는 사람 중에서 두 명도 공시생(공무원 시험 준비생)이예요. 요즘은 청년들 중에 공시생이 워낙 많아서 생소한 일은 아니예요. 공무원 시험을 준비한다고 하면 “내 주변에 누구누구도 시험 준비 하고 있다”는 얘기를 많이 들어요.

주) 2017년 9급 공무원 공채에는 역대 최대인 17만2천여명 응시해, 35: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Q. 흔히 얘기되는 청년문제가 크게 ①일자리문제(취업) ②등록금 ③청년주거 문제 정도가 있는 것 같아요. 실제 청년으로서 가장 힘든 일이나 문제가 있다면 무엇인가요?


A. 저는 아무래도 첫 번째는 취업, 두 번째는 등록금인 것 같아요.








Q. 청년 취업 문제는 수치로도 드러나지만 느낌으로도 예전에 비해 매년 취업이 더 힘들어지는 것 같습니다. 실제 청년으로서 체감하는 현실이 어떨지 궁금해요.


A. 청년들이 취업하기 너무 어렵다는 건 이제 대부분 아는 사실인 것 같아요. 일단 취업 자체가 너무 힘들기도 하고, 대우나 복지 그리고 근무 강도 등을 생각하면 소규모 기업에 선뜻 가는 것도 쉽지 않은 것 같아요. 대기업은 상대적으로 대우나 복지가 좋긴 하지만, 들어가기도 어렵고 근무 강도도 세구요. 결국 청년 입장에선 취업과 관련해서는 이래도 저래도 힘든 상황인 것 같아요. 취업이 힘들다, 실업률이 높다 해도 사실 어렸을 때는 별 생각이 없었어요. 그런데 실제 취업할 시기가 다가오니까 확실히 느껴져요. 갈수록 더 어려워진다는 느낌도 들구요. 요즘 워낙 청년들이 다들 고스펙인데도 취업이 어렵잖아요. 평균적으로 고스펙이 되더보니 스펙이 의미가 없어지는 것 같기도 해요. 그렇다고 남들 다 있는 스펙을 안 쌓을 수도 없고, 도대체 어디까지 스펙을 쌓아야 하는지도 모르겠다는 딜레마에도 빠지는 것 같아요.








Q. 등록금 문제는 어떤가요?


주변에 보면 등록금 때문에 고민하는 친구들이 많아요. 저는 다행히 부모님께서 부담해주고 계시지만, 사실 저희 집도 이번에 제 동생이 대학생이 됐거든요. 지원이 가능하신 상황인데도 두 명이 대학생이 되니까 버거워하시더라구요. 점점 더 부담이 많아지는 것 같아요. 학생 입장에서는 사실 학교 다니면서 이 정도까지 큰 금액을 들여야 하는 것인가 싶기도 하고, 정확히 어떻게 쓰이는 지도 알기 어려운데 부담이 너무 큰 것 같아요. 등록금을 감당하려면 결국 대부분의 청년들은 알바를 안할 수 없고, 대학생활을 다 누리기도 어려운 것 같아요.








Q. 생활하면서 실제 정책이나 공약이 청년으로서 피부에 와닿는 변화를 준 적이 있나요? 있다는 어떤 것인가요?


A. 사실 전혀 없어요. 청년 자금 마련을 위한 제도 같은 것들이 있긴 하던데, 이런 저런 조건이나 제약으로 실제로는 해당이 안 되는 것들이 많더라구요. 뭔가 여러 가지 이야기가 되는 것 같긴 한데, 실제로 혜택을 보거나 실생활에서 변화를 느낀 적은 없어요.








Q. 이번 대선만큼 청년이라는 존재가 화두가 되었던 대선은 거의 없었던 것 같습니다. 실제로 느끼기에는 어떤가요?


A. 다른 때보다 선거에 대해 자세히 보고, 많이 봐서 그런지 모르겠지만 이번 대선에서 청년 얘기가 그래도 많이 나오는 거 같긴 해요. 그만큼 청년들의 불만이 높아져서가 아닐까 싶어요. 워낙 문제가 심각하고, 얘기가 많이 나오니까 정치권에서도 신경을 쓸 수밖에 없는 것 아닐까요? 그렇지만 청년에 대한 이야기는 많은데 정작 대선 후보들의 정책이나 공약 중에 생각나는 정책은 거의 없어요. 청년이라는 이름을 이용하기만 하고 끝나는 게 아닌지 걱정이 돼요.








Q. 마지막으로, 후보들이 청년들을 위해 이런 공약을 내고 이행해줬으면 좋겠다 하는 공약이 있으신가요?


A. 노동 환경을 개선해서 일자리를 많이 늘려줬으면 좋겠어요. 지금 우리 사회는 일자리를 늘리지 않고 적은 사람으로 모든 일을 해나가려고 하는 구조잖아요. 업무는 많은데 사람은 늘리지 않고 있는 사람들을 굴리는 구조이다보니 일자리는 늘지 않고 업무 강도는 강해지는, 모두에게 안 좋은 상황이 되는 거 같아요. 청년들을 위해서도, 모든 사람을 위해서도 노동 강도를 조정해서 일자리를 창출했으면 좋겠습니다. 그렇게 되면 모두에게 좋은 사회가 될 것 같아요. 취업문제도 해결되고, 사람들에게도 저녁이 있는 삶이 오는 거잖아요. 그럼 결국 저출산 문제도 어느 정도 해결이 되리라고 생각해요. 지금은 아이를 낳고 싶어도 아이를 키우거나 케어할 수가 없으니 낳기도 어려운 거잖아요. 노동 환경 개선을 통한 일자리 창출이 결국 서로 연결되어있는 문제들을 해결하는 근본적인 방안이라고 생각해요.








#후보선택도우미로 후보 정책 알아보기 vote.ccej.or.kr



첨부파일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