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기 반부패실천학교

관리자
발행일 2000.06.09. 조회수 2966
정치

  부패문제는 구조화, 만연화, 대형화되어 우리사회 어느 문제보다 심각한 것이 현실입니다. 역대 정부들은 이러한 부패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 양한 정책을 시행했지만 그것은 모두 한낱 일회성 구호에 지나지 않았습 니다. 부패 문제를 더 이상 이대로 방치할 수 없습니다. 이제, 시민이 나서야 합니다.


 

  「반부패실천학교」는 ▲부패문제의 심각성과 폐해를 깊이 인식하고 ▲투명성 선진국으로부터 생생한 부패추방사례를 전해듣고 배워 서 ▲시민 스스로 부패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을 마련해 보고 ▲시민 스스로가 부패추방의 주체로 서고자 하는 실천의 장입니다. 투명사회를 바라는 모든 분들의 참여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지금 참여 하십시오.



Ⅰ. 목 적
부패문제의 실상과 폐해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
투명성 선진국으로부터 부패추방의 선례를 배운다
부패추방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 및 실천 모색
시민참여의 부패추방운동 전개



Ⅱ. 행사 개요
▶ 기 간 : 2000년 6월 14일 (수) ∼ 7월 12일 (수)
▶ 진 행 : 매주 수, 금요일 저녁 7:00∼9:00 총 6강 진행 (강의 80분, 질의 및 토론 40분), Work-Shop 2 회, 집담회 1회
▶ 장 소 : 경실련 강당 (중구 정동 소재)
▶ 대 상 : 투명사회 만들기와 부패문제에 관심있는 일반 시민, 학생, 시민단체 회원
▶ 회 비 : 일반 3만원, 학생·시민단체 회원 2만원
▶ 예상 참석인원 : 50여명
▶ 문의·접수 : 02) 7 7 1 - 0 3 7 7



Ⅲ. 강좌 내용
◈ 1부 : 부끄러운 우리들의 자화상 / 부패 현실에 대한 인식
제 1 강 (6/14) 대형사고, 왜 끊이지 않는가? - 인현동 호프화재 사건 을 중심으로
(김종성/서울대 행정대학원 특별연구원)
- 부재 : 공무원과 민간의 부패고리 - 공공부문 부패문제에 대한 현실 인식

제 2 강 (6/16) 부패공화국 리포트 (이규연/중앙일보 기자)
- 우리 사회 각 분야-경찰,건축,의료 등-의 부패사례를 통해 본 한국 사회의 실상
- 민간부문 부패문제에 대한 현실 인식

Work-Shop Ⅰ (6/21) 한 사람의 작은 실천
- 각 분야별로 일상생활에서 겪게 되는 갖가지 부정부패 사례 토의
- 건축, 세무, 경찰 등의 분야로 나누어 진행
- 그에 따른 해결방안 모색



◈ 2부 : 희망 만들기 / 부정부패와의 전쟁
제 3 강 (6/23) 호각을 부는 사람들 (whistleblower) (이문옥/前 감사원 감사관)
- 내부고발 문제 : 이문옥 전 감사관
- 부패문제와 싸우는 것이 얼마나 어렵고 힘들인지에 대한 인식
- 그럼에도 불구하고 부정부패와 싸워야 하는 것에 대한 인식



제 4 강 (6/28) 투명성 선진국, 이렇게 성공했다 - 외국 부패추방 사례 를 중심으로 (박기관/건국대 강사)
- 부패추방에 성공한 나라들의 예 : 홍콩, 싱가폴, 대만 등
- 부정부패를 추방할 수 있다는 가능성, 희망, 대안 제시

Work-Shop Ⅱ (6/30) : 투명사회 만들기
- 시민이 부패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대안을 마련, 모색
- 시민 스스로가 만드는 부패방지 방안



◈ 3부 : 그러면 우리는 어떻게 할 것인가 / 실천 대안 만들기
제 5 강 (7/5) 우리에겐 부패방지통합법이 필요하다 (윤태범/부경대 행정학과 교수)
- 부패방지통합법 제정의 중요성
- 역대 정부의 부패정책에 대한 평가
- 향후 부패정책의 방향

제 6 강 (7/7) 투명사회를 만들기 위한 시민단체의 역할 (김태룡/상지대 행정학과 교수)
- 시민단체의 반부패활동 소개
- 시민 참여 부패추방운동

집 담 회 (7/12) 부패추방, 이제 시민이 나서야 한다
- 강사들이 패널로 참여하여 수강생들과 부패추방과 관련한 집담회 진행
- 함께 실천할 수 있는 구체적인 부패추방 실천방안 모색

첨부파일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