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산책] 그녀, 사랑으로 달리다

관리자
발행일 2012.10.08. 조회수 559
칼럼

그녀, 사랑으로 달리다
사랑이라는 정체성으로 이야기하는 영화


박진호
사회정책팀 간사
gino8429@ccej.or.kr


크기변환_poster.jpg


광화문의 한 귀퉁이에 작은 극장이
하나 있다. 100석 정도의 좌석이 있는 그 극장은 우리가 도심의 큰 극장들에서 볼 수 있는 영화들이
아닌 독립영화 또는 예술영화 중심의 영화들을 상영한다. 그래서 보통 친구들에게너 그 영화 봤니?” 라고 묻는다면, 십중팔구 모른다라는 이야기를 듣는다. 그럴 때마다 다른 사람은 모르는, 그리고 나만 알고 있는 영화에 대한 애정이 약간의 희열감을 느끼게 해 준다.



 그 날은 아무런 일정 없이 서울의 거리를 거닐고 있었다. 그리고 발길이 멈춘 곳에 영화
포스터가 걸려 있었다. 4명의 배우 중, 틸다 스윈튼의 얼
굴만 비추고 있는 포스터를 바라보며 어떤 영화일까라는 호기심이 일어 극장에 들어섰다. 아무리 작은 극장이라고
하더라도, 남자 혼자서 표를 구매하는 모습은 이상하게만 보이나보다. 아르바이트생은
갸우뚱한 표정을 지으며, “혼자세요?” 라고 묻는다. 난 당당하게 답한다. “! 혼자예요그렇게 영화는 시작되었다
.



 

크기변환_아이엠러브 (1).jpg




밀라노에서 버려진 사랑



 



영화는 어두운 이탈리아의 밀라노를 배경으로 시작된다. 어두운
배경 속에서 시작부터 지루함이 밀려오는 듯하다. 그리고 엠마가 등장한다. 엠마, 그녀는 한 재벌가문의 며느리이자, 한 남자의 아내로서 그리고 자녀들의 어머니로서 살아가고 있다. 누구나
부러워할 고위층의 삶은 그 녀의 옷과 음식들 속에서 그대로 드러난다. 하지만 그것들이 그녀의 전부는
아니었다. 그녀의 색색의 옷을 밝게 비쳐주는 치장된 보석들은 타인의 눈을 부시게 만들 뿐이며, 맛있는 음식들은 타인의 입맛에 맞도록 만들어지고 있었다. 그녀는
철저하게 타인의 삶 속에서 살아가고 있었다. 그 속에서 그녀가 잃어버린 것은 바로 하나의 사실, 그녀가여성이라는
사실이었다. 타인의 일상에 맞추어져버린 그녀의 삶, 그 속에서
사랑이라는 그녀의 본능은 처참히 무너지고 있었다. 어 두운 밀라노의 배경과 창백한 엠마의 얼굴이 대비된다. 마치 엠마의 삶은 밀라노의 어두운 배경 속으로 빨려 들어가는 듯하다.



 



 산레모에서 시작된 사랑



 



 사랑은
처음부터 이해할 수 없는 인연으로 시작 된다. 엠마는 아들의 친구인 요리사 안토니오를 만나게 된다. 어두운 일상의 허무함을 느끼게 되던 순간, 그녀는 안토니오의 음식을
먹게 된다. 어두운 영화의 배경이 순간 밝아지기 시작한다. 그녀에게
사랑이 시작된 것이다. 사랑이 시작되면서, 그녀의 고민도
깊어지게 된다. 그녀의 내면은 일상 속의 가족들과 아들의 친구를 사랑하게 된 것에 대한 시선으로부터
자유로울 수가 있었던 것이다. 가족으로부터 느끼는 공허함과 안토니오로부터 느끼는 사랑, 이 두 감정의 갈랫길에서 그녀의 사랑은 갈망과 욕망으로 변화되기 시작한다. 그녀는
결국 사랑을 선택했고, 그를 따라서 산레모로 향했다. 산레모의
자연은 타인 이 아닌 오직 두 사람만을 위해 존재했다. 두 사람은 서로의 감정을 확인하며, 바로 그 자연 속에 몸을 맡기게 된다. 두 사람이 사랑을 나누는
어두운 골방마저도 산레모는 밝은 햇빛을 선사하며, 두 사람의 몸을 비추고 있다. 찰나의 사랑을 뒤로 하고 그녀는 다시 밀라노로 향한다. 하지만 이미
그녀는 사랑이다.



 

크기변환_아이엠러브.jpg




그녀, 사랑으로 달리다



 



 영화를 보는 내내 눈 속에 들어온 것은 빛과 어두움의 대비였다. 밀라노의 일상은 길고도 어두웠지만, 산레모의 사 랑은 짧지만 밝게
빛났다. 엠마가 입고 있던 원색의 원피스는 바로 그 빛과 어둠의 대비에 따라 달라 보인다. 일상의 어두 움은 태양을 가리는 구름이 원인이다. 그렇기 때문에
엠마의 사랑도 결국 그 빛을 가리는 구름의 문제였다. 그녀는 빛, 사랑을
향해 달려가야만 했다. 결국 그녀는 가족으로서의모든것을 잃었지만, 여성으로서의모든것을 얻었다.



 



 영화가 끝나고 난 뒤, 카페에 앉아 엠마를
떠올리며사랑이라는 주제에 대해 잠시 고민했다. 일상적인 만남 속에서 사람들은 사랑이라는감 정보다 어쩌면 사랑이라는정의에만
집착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사랑의 감정을 느끼는 유통기한이 존재할까?
그렇게 사랑이라는 주제에 대해서만 생각이 들다가, 문득
사랑만이 아냐!”라고 외쳤다. 우리들의 인생은
정해진 시나리오 없이 수많은 주연과 조연 그리고 연출자들이 한데 뒤섞인 하나의 필름이다. 영화는 다시
되풀이해서 볼 수는 있지만, 우리의 인생은 그 필름이 다하는 순간을 향해 달려갈 뿐이다. 그렇기 때문에, 매순간 우리는 선택의 고민에 빠지는 상황 에 직면한다. 영화 속에서 엠마는 선택의 상황에 서 여성으로서의 삶, 본능을 선택했다. 그 선택 은 그녀가 여성이기 때문이 아니라인간으로서 선택하고 누려야 할 삶의 가장 자연스러운 모습 속으로 들어간 것이었다.
이제 엠마가 아닌 나를 돌아볼 때이다.



 



 . “나는…. 나는?” 영화 속에서 엠마는 자신을 사랑이라는 정체성으로 이야기하고
있다. 하지만 나라는 사람은 주어만 있었다. 그 다음의 단어가
떠오르지 않는다. 이것이 어떻게 된 일인지 순간 공황상태에 빠지고 만다. 그래도 나름 운동을 고민하고, 실천한다는 이의 정체성을 어떤 단어로
표현해야 할지를 모르고 있었던 것이다. 영화를 눈으로 보기만 한다는 것 그리고 우리 사회에 대해서 바라보기만
한다는 것, 그 자체가 나 자신이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다. 나는
분명히 하나의 또는 여러 가지의 선택을 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해 있다. 지금 현재 시민단체에서 시민운동을
하는 나의 모습 속에서 그 선택은 언제나 진행형이다. 밀라노의 어둠 속에서 버려질 것인지, 산레모의 빛을 향해 달려갈 것인지 그것은 선택에 달려 있다.

첨부파일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