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극으로 읽는 고전] 한계에서, 변방에서 새로운 색깔이 창조된다

관리자
발행일 2012.10.08. 조회수 490
칼럼


[연극으로 읽는 고전]



한계에서, 변방에서 새로운 색깔이 창조된다

셰익스피어 作 & 극단 여행자 <십이야>



김상혁 정치입법팀 간사 

noeul@ccej.or.kr


크기변환_십이야1.jpg



셰익스피어의 극본은 시적인 언어
자체에 음율과 감각이 살아있다. 때문에 번역가들의 끊임없는 노력에도 그 맛이 원서 그대로 살아있기 힘들고
어딘가 어색할 때가 있다. 헌데 <십이야>는 오래된 번역본이어도 상황의 구성이나 극중 인물들의 대사가 너무나 재미있다. 대본을 읽다보면 무대로 옮겨질 상상으로도 웃음이 나니 말이다. ‘십이야란 제목은 크리스마스로부터 12일 동안 축제기간을 갖는 영국의 풍습에서 12일째 되는 날을 일컫는 데서 비롯됐다. 이 날 이탈리아 공작을
환영하기 위해 만들어진 작품으로 추측이 된다고 하니 한마디로 극의 내용을 담은 의미가 아니라 기념일 자체를 뜻하는 것이다.



 



같은 내용, 다른 느낌



 



 <한 여름밤의 꿈>이 요정에 의해 남녀의
사랑이 뒤죽박죽 됐다가 해피엔딩으로 끝났다면, <십이 야>
이 보다는 더 현실적이다. 엄청 닮은 남매 쌍둥이가 일리리아 해안에서 난파되어 갈라진다. 오빠의 생사를 모르는 여동생 바이올라는 남자로 변장해 덕망 높은 오시노 공작의 하인으로 들어간다. 오시노 공작은 그 지역의 백작 딸 올리비아를 연모하나 아버지와 오빠까지 잃은 슬픔에 공작의 청혼은 거절당한다. 공작은 올리비아에 대한 마음을 접지 못하고, 바이올라(남자 이름 세사리오)에게 청혼 심부름을 맡긴다. 심부름을 맡은 세사리오는 무척이나 괴로워한다. 오시노 공작을 사랑하게
된 것이다. 그런데 더욱 큰 문제는 바이올라가 최선을 다해 공작의 청을 전달하는 과정에서, 올리비아는 정작 남장한 바이올라를 사랑하게 된다. 이 와중에 극적으로
목숨을 건진 바이올라의 쌍둥이오빠 세바스찬이 일리리아에 나타나고, 남장한 바이올라와 꼭 닮은 세바스찬을 만난
올리비아는 세사리오로 착각하고 결혼식을 올린다. 오시노 공작이 직접 올리비아에게 청혼을 하러 갔는데, 올리비아는 세사리오가 자기 남편이라 하자, 공작은 세사리오에게 화를
내고 이 때 세바스찬이 등장해 모든 오해가 풀리며 공작과 바이올라, 올리비아와 세바스찬 커플이 탄생한다. 해피엔딩이다.



 



 여기까지는 그 당시 이탈리아에서 전해지는 이야기와 흡사하다. 셰익스피어는 여기에 올리비아 집안의 숙부, 집사, 하인 그리고 올리비아를 소개시켜 주겠다는 숙부의 꾐에 넘어간 귀족을 추가하며 여러 상황에서 이들의 역할을 재미있게
묘사했다. 극단 여행자의 <십이야>는 내용에 대한 특별한 각색은 없다. 다만, 극의 묘사에 있어 훌륭한 각색의 묘미가 묻어나온다.


크기변환_십이야2.jpg


극단 여행자는 한국적 놀이와 유희를 섞은 마당극과 서사극을

적절히 사용했다. 원작에도 나오는 광대를 이용해

공간과 극의 흐름을 설명하지만 몰입이 안 되는 것이 아니라

마당극과 어우러져 오히려 점점 빠져들게 만들었다.



 




 한국적
멋을 내며 마당극과 서사극을 적절히 조화



 



 첫 장면에서 광대가 등장해셰익스피어의
십이야를 한국적으로 변형한 극이다” “극 중 이름들은 꽃의 우리말 이름으로 지었다”, “모두 남자들만 등장한다”, “극 중 쌍둥이 역할은 닮지는 않았지만
쌍둥이다”, “? 연극이니까!” 등 스포일러 날리듯 어떤 형식의 공연이라는 설명을 쫘악 깔아놓는다. 그런
후 등장인물 소개. 배우들 등장! 그런데 이게 웬걸. 정말 모두 남자다. 쌍둥이 남매도 정말 안 닮았다. 어여쁜 올리비아, 바이올라여야 할 배우는 사라진 것이다. 허나 사랑에 대한 표현을 맛깔나게 연기하니 각색의 맛을 잘 살렸다. 각색의
묘미는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등장 인물의 이름과 지명을 모두 우리말로 변형했다. ‘일리리아우산국’(울릉도의 옛이름), 인물들은 야생화의 우리말로 이름 지 었다. 남매 쌍둥이는홍가시청가시’. 홍가시의 남장 이름은
돌가시오시노 공 작은산자고’. 올리비아는섬초롱
정감 있는 우리말로 표현했다.


크기변환_십이야4.jpg



 



귀족적인 장소의 색깔을 상상력의
색깔로



 



원작에서는 특별히 무대를 나타내는 설명이 없다. 하지만
누가 봐도 귀족적인 색채가 물씬 난다. 원작을 고스란히 살려 표 현한 공연을 못 봐서 비교는 어렵겠지만, 셰익스피어 당시엔 고풍스런 무대와 귀족적인 의상에 신경을 많이 썼을 것이다.
극단 여행자의 십이야는 다르다. 특히 첫 장면에서 쌍둥이 남녀가 폭풍에 휩쓸려 헤어지게
되는 장면은 누가 봐도 아! 바다에 빠졌구나를 상상할 수 있었다. 배우들이
무대 뒤와 앞을 서로 번갈아 가며 움직이는 것으로요거 바다야라고
느낄 수 있도록 쉽게 공간을 표현했다. 바다뿐만이 아니다. 배우
세 명이 자기 키만한 나뭇가지를 들고 나와 서 있으니요거 울창한 숲이야’, 평행봉 하나 갖다 놓고 위에 올라가니요거 위험한 절벽이야라는 식이다. 물론 배우가 장소와 상황에 맞는 연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쉽게쉽게 풀어가는 연출력이 일품이다.



 



변방은 주변부가 아닌 창조의 공간



 



 극단
여행자의 <한 여름밤의 꿈>, <십이야>가 해외에서도 인기 있는 이유는 셰익스피어의 희극이라는 친근함 때문도 아니고, 전혀 알지 못한 한국의 매력이 참신하게 덧입혀져 있기 때문도 아닌 것 같다.
마당극과 서사극의 적절한 조화에서 만들어지는 극의 몰입도가 외국인들에게도 먹힌다는 것이다. 뮤지컬처럼
무대의 장대함과 배우들의 현란한 춤이 바탕이 되는 화려한 무대 연출력, 전형적인 연극처럼 철학적이고
관객이 몰입할 수 있는 배우의 진지한 연기와 내러티브 등과 같은 흔한 색깔이 아니다. 배우들의 움직임으로
무대를 상상하게 하는 것과 내러티브가 아니더라 도 짤막한 장면에서 보여줘야 할 핵심만 전달하는 것이 외국인들을 열광하게 하는 독창적인 색깔 이다. 그래서 극단 여행자의 극을 보면 「변방을 찾아서」의 저자 신영복 선생이 자주 하는 말이 떠 오른다. “한계에서, 변방에서 새로운 색깔이 나온다.”

첨부파일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