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스토리

필터
칼럼
[연극으로 읽는 고전] 죽은 햄릿의 영혼을 노래하다

죽은 햄릿의 영혼을 노래하다 셰익스피어 <햄릿> & 극단 뛰다 <노래하듯이 햄릿>   김상혁 정치입법팀 간사 noeul@ccej.or.kr       수많은 연극고전 중 햄릿을 다루지 않는다는 것은 왠지 찝찝하다. 이 찝찝함을 조금 구체화하자면 마치 계란 넣지 않은 라면을 먹는 심심함과 장시간 외출 시 핸드폰을 휴대하지 않은 불안감, 무슨 말인지 하나도 모르는 책을 읽어야 하는 답답함을 섞은 것과 같다. 그렇다면 왜 여태껏 햄릿을 다루지 않았는지는 원작과 함께 보게 될 각색작을 위해서라도 굳이 변명을 해야겠다. 최근 1년 동안 햄릿을 다룬 연극이 별로 없었다(많이 다뤘지만 게을러서 찾지 못했을 수도 있다). 거기에 더해 ‘햄릿이야 뭐 뻔하지’ 하는 오만과 ‘언젠가 쓸 기회가 있겠지’하는 안일함으로 지금껏 미뤄왔다. 어느 날 우연한 기회가 찾아와 극단 ‘뛰다’의 <노래하듯 이 햄릿>을 접하게 됐다. 이 작품을 통해 햄릿은 살아있는 작품이며 고전중의 고전이라고 반성하며, 개운치 않은 마음을 해소하고자 이번 호의 주제를 햄릿으로 정했다.     비극을 희극적 애도로 노래하다   원작 <햄릿>의 내용은 너무나 유명해 길게 썰을 풀지 않겠다. 셰익스피어의 비극 중 하나로 햄릿의 아버지인 덴마크 왕의 죽음에서 시작해 모든 주요 등장인물이 죽음으로 막을 내린다. 모두가 죽는다고 비극이라 말할 수 없지만, 극적 상황에서 비롯된 햄릿의 잔인한 고뇌를 통해 한 인생을 밑으로 쭉 끌어 당기는 중력을 느낄 수 있다. 이 무게가 관객들을 집중시키고 있어 오랫동안 사랑받으며 수많은 각색 이 이뤄졌고 지금도 진행 중이다. 그런데 <노래하듯이 햄릿>(이하 노·햄)은 다른 각색작과는 다른 주 인공 햄릿을 등장시킨다. 왕자로 자란 아이, 생각이 많아도 너무 많은 귀찮은 중생 같은 어린아이로 설정하며 햄릿을 희극적 인물로 만들었다. 그리고는 죽은 햄릿의 얘기를 듣는다. 얼마나 한이 많으면 이승과 저승의 중간쯤 ...

발행일 2013.0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