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스토리

필터
스토리
[당신과 나를 이어줄 ㅊㅊㅊ] 매일 밤 평화를 꿈꾸며 온라인에 집회의 등을 답니다. 여러분을 기다리며.

[월간경실련 2022년 3,4월호-당신과 나를 이어줄 ㅊㅊㅊ] 매일 밤 평화를 꿈꾸며 온라인에 집회의 등을 답니다. 여러분을 기다리며. 조진석 나와우리+책방이음 대표   매일매일 전쟁을 치르고 있습니다. 지난 2월 24일, 푸틴이 대통령인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3월 10일부터 일상이 전쟁터가 되어버렸습니다. 그날부터 매일 밤마다 우크라이나의 평화를 기원하는 ‘온라인’ 집회를 조직해서, 평화의 노래를 듣고 우크라이나 상황을 공유하고 평화 정착을 위한 강의를 구성하고 있습니다. 집회를 준비하는 것이 하루에 가장 중요한 일이기에, 식사도 청소도 책방운영도 뒷전으로 밀려났습니다. 전쟁을 온몸으로 겪는 이를 떠올리면 책 읽기조차 사치스럽게 느껴집니다. 전쟁과 우리 삶이 결코 떨어진 것이 아닙니다. 우크라이나의 주요 수출품인 밀과 옥수수는 물론이고 러시아가 수출하는 원유와 천연가스와 명태가 한국과 직접적인 연관을 맺고 있습니다. 이 전쟁이 국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대단히 광범위하고 큽니다. 이뿐만 아니라 그렇지 않아도 기후위기로 인해서 농수산물의 생산과 유통이 유례없는 영향을 받는 중에, 이번 침공이 장바구니 물가에 악재로 등장한 점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1ℓ에 1,700원 하던 휘발유 가격이 2,100원으로 불과 두 달 사이 20% 넘게 올랐습니다. 기름값 인상은 다른 물품 가격의 연쇄 상승을 불러올 것이기에, 예의주시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멀고 먼 우크라이나에서 일어난 전쟁이지만, 우리의 생활에 미치는 영향이 클 뿐만 아니라 전쟁의 부조리와 비윤리적인 면을 생각지 않을 수 없습니다. 지난달부터 내 집에 불이 나지 않았다고 해서, 화마에 갇힌 사람들이 가족을 잃고 피난민이 되어서 떠돌고 있는데, 과연 단잠을 자고 전쟁의 피해에 대해서 무관심해도 되는가 싶은 윤리적인 질문이 제 머릿속을 떠나지 않습니다. 이 부분은 『내가 라면을 먹을 때』를 읽은 이후 내내 떠나지 않는 질문입니다. 이야기는 이렇습니다. “내가 라면을 먹을 때, 옆에서...

발행일 2022.0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