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스토리

필터
스토리
[같이 연뮤 볼래요?] 시대를 초월하는 고전의 매력, 연극 <오만과 편견>

[월간경실련 2021년 5,6월호-우리들이야기(4)] 시대를 초월하는 고전의 매력, 연극 <오만과 편견> 효겸  어느새 여덟 번째 이야기에 접어드는 ‘같이 연뮤볼래요’ 입니다. 이번에는 앞선 일곱 번의 이야기에서 다루지 못했던 연극을 다뤄볼까 합니다. 필자가 작년에 여러 번 관극할 정도로 애정했던 연극으로 제인 오스틴의 대표적인 작품을 원작으로 한 연극 <오만과 편견>입니다.  연극 <오만과 편견>은 원작 소설 출판 200주년을 기념하여 영국에서 초연되었던 작품으로 한국에서는 2019년에 초연, 2020년에 재연되었습니다. 영국에서 제작 당시 무대 위 배우에게 집중할 수 있는 극으로 만들고자 무대를 꽉 채우기보다 비워 내는 디자인을 구성했다고 하는데 실제로 극장에 들어서면 단출해 보이기까지 하는 미니멀한 무대가 먼저 눈에 띕니다. 천장의 샹들리에 하나, 조각난 듯한 액자와 의자 몇 세트, 약간 허전하지 않을까 하는 염려는 극이 시작하자마자 필자의 기우였음을 깨닫게 됩니다.  극이 시작하면서 무대에는 배우 두 사람이 등장하는데요. 놀랍게도 연극 <오만과 편견>은 2인극입니다. 원작 소설이나 동명의 영화를 보신 분들이라면 고개를 갸우뚱하실 정도로 많은 등장인물들이 기억나실 텐데요. 연극 <오만과 편견>에서는 두 명의 배우가 총 21개의 캐릭터를 연기합니다. 필자의 글로는 ‘도대체 그게 어떻게 가능하지’라고 생각하실 것 같은데요. 배우들이 활용하는 오브제(소품)와 대사의 톤, 말투, 표정으로도 캐릭터 간 구분이 정확하게 가능합니다. 여자 배우인 A1은 주인공인 베넷가 둘째 딸인 엘리자베스(리지) 베넷과 그녀의 어머니인 미세즈 베넷, 막내동생인 리디아뿐 아니라 빙리남매, 엘리자베스의 친구인 샬롯 루카스, 캐서린 남작 부인 등을 연기합니다. 남자 배우인 A2는 마찬가지로 주인공인 미스터 다아시, 미스터 콜린스, 위컴, 자매들의 아버지인 미스터 베넷, 베넷가 첫째 딸인 제인 베넷과 넷째 딸인 키티, 하녀...

발행일 2021.05.28.

칼럼
[연극으로 읽는 고전] 죽은 햄릿의 영혼을 노래하다

죽은 햄릿의 영혼을 노래하다 셰익스피어 <햄릿> & 극단 뛰다 <노래하듯이 햄릿>   김상혁 정치입법팀 간사 noeul@ccej.or.kr       수많은 연극고전 중 햄릿을 다루지 않는다는 것은 왠지 찝찝하다. 이 찝찝함을 조금 구체화하자면 마치 계란 넣지 않은 라면을 먹는 심심함과 장시간 외출 시 핸드폰을 휴대하지 않은 불안감, 무슨 말인지 하나도 모르는 책을 읽어야 하는 답답함을 섞은 것과 같다. 그렇다면 왜 여태껏 햄릿을 다루지 않았는지는 원작과 함께 보게 될 각색작을 위해서라도 굳이 변명을 해야겠다. 최근 1년 동안 햄릿을 다룬 연극이 별로 없었다(많이 다뤘지만 게을러서 찾지 못했을 수도 있다). 거기에 더해 ‘햄릿이야 뭐 뻔하지’ 하는 오만과 ‘언젠가 쓸 기회가 있겠지’하는 안일함으로 지금껏 미뤄왔다. 어느 날 우연한 기회가 찾아와 극단 ‘뛰다’의 <노래하듯 이 햄릿>을 접하게 됐다. 이 작품을 통해 햄릿은 살아있는 작품이며 고전중의 고전이라고 반성하며, 개운치 않은 마음을 해소하고자 이번 호의 주제를 햄릿으로 정했다.     비극을 희극적 애도로 노래하다   원작 <햄릿>의 내용은 너무나 유명해 길게 썰을 풀지 않겠다. 셰익스피어의 비극 중 하나로 햄릿의 아버지인 덴마크 왕의 죽음에서 시작해 모든 주요 등장인물이 죽음으로 막을 내린다. 모두가 죽는다고 비극이라 말할 수 없지만, 극적 상황에서 비롯된 햄릿의 잔인한 고뇌를 통해 한 인생을 밑으로 쭉 끌어 당기는 중력을 느낄 수 있다. 이 무게가 관객들을 집중시키고 있어 오랫동안 사랑받으며 수많은 각색 이 이뤄졌고 지금도 진행 중이다. 그런데 <노래하듯이 햄릿>(이하 노·햄)은 다른 각색작과는 다른 주 인공 햄릿을 등장시킨다. 왕자로 자란 아이, 생각이 많아도 너무 많은 귀찮은 중생 같은 어린아이로 설정하며 햄릿을 희극적 인물로 만들었다. 그리고는 죽은 햄릿의 얘기를 듣는다. 얼마나 한이 많으면 이승과 저승의 중간쯤 ...

발행일 2013.0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