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스토리

필터
칼럼
[전문가칼럼] 장애는 비용이 아니다!

[월간경실련 2022년 5,6월호-전문가칼럼] 장애는 비용이 아니다! 박만규 아주대 불어불문학과 교수   5월 21일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전장연)은 지난해 말부터 진행해온 지하철 시위를 재개했다. 이에 대해서 울경찰청은 이 시위가 비록 사회적 약자 단체의 의사표현이라고 하더라도 시민의 권리를 과도하게 침해하는 것이라며 경찰의 강제권을 행사하겠다고 밝혔다. 그동안 출근길 지하철 '휠체어' 시위는 장애인 이동권에 대한 사회적 논쟁을 불러일으켰으며, 여론은 이에 대한 옹호론과 비판론으로 갈려 팽팽하게 맞서고 있다. 그렇다면 장애인 ‘이동권’ 요구의 근거는 무엇인가? 영어에서는 ‘장애’를 handicap(핸디캡)이라고 하는데 이의 어원을 살펴보면 답을 얻을 수 있다. ‘handicap’은 ‘hand in cap’(모자 속 손)이라고 불리는 1650년대에 시작한 게임에서 유래했다. 이 게임에서는 한 사람이 상대방이 갖고 있는 물건 중 하나를 소유하고 싶을 때 비슷한 가치의 자기 물건을 내놓으면서 거래를 시도한다. 이때 심판이 판단할 때 두 물건의 가치가 불균형할 경우 값이 덜 나가는 물건의 소유주에게 물건을 더 내놓으라고 한다. 그 사람이 물건을 더 내게 되면 이제 두 교환자는 손을 모자 속에 넣는다. 모자에서 손을 뺐을 때 손이 펴져 있느냐 혹은 주먹을 쥐고 있느냐로 각자 거래에 대한 동의와 거부 의사를 표시하며 진행하는 게임이었다. 이로부터 가치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더 부담하는 행위나 조처를 이 게임의 이름인 ‘hand in cap’이라 부르기 시작했는데, 발음이 변하여 handicap이 된 것이다. 이는 이후 경마에도 영향을 미쳤다. 1754년에 최초의 기록이 나오는 ‘핸디캡 경기’(Handy-Cap Match)가 그것이다. 당시 경마가 인기가 있었지만 1등마가 계속해서 1등을 하는 문제가 노정되었다. 잘 훈련되고 근육이 많은 말이 유리하므로 너무나 뻔히 예측이 되어 내기가 성립이 안 되는 것이었다. 그래서 사람들은 더 젊고 더 강해서 ...

발행일 2022.06.02.

스토리
[인터뷰] 박경석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상임공동대표

[월간경실련 2022년 3,4월호-인터뷰] “환경을 먼저 바꿔 놓고, 자주 만날 수 있어야 인식도 바뀝니다” - 박경석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상임공동대표 인터뷰 - 이성윤 회원미디어국 간사   지난 대선 토론에서 한 후보가 장애인 이동권 시위를 하고 있다는 한 시민의 이야기를 했습니 다. 이후 후보가 현장을 방문하기도 했었죠. 이번 호에서는 바로 그 시민,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박경석 상임공동대표를 만나서 장애인의 권리에 대해서 이야기를 들어보았습니다. ▲ 3월 22일,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사무실에서 박경석 대표를 만났습니다. Q.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소개를 부탁드립니다. A. 2001년에 장애인이동권연대라는 곳이 있었어요. 여기가 이동권이라는 주제 하나만 가지고 활동했는데 지역사회에서 함께 살아갈 수 있는 여러 의제, 차별에 대한 문제, 그리고 복지서비스와 관련된 의제들로 확장하면서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로 변화했습니다. 그리고 하나의 특징은 지금까지의 장애인 단체들이 여러 가지 방식으로 자신들의 문제들을 알려왔다면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는 투쟁을 중심으로 상설적으로 같이 투쟁하자는 것을 통해서 연합했고, 이런 정신과 방향을 가지고 싸우기 시작한 게 2007년도입니다. Q. 대선을 앞두고 지하철 타기 캠페인을 진행하셨습니다. 이를 두고 비판의 목소리를 내는 사람들도 있었는데요. 이 캠페인을 하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요? A. 저희가 지하철이라는 공간에서 직접적으로 부딪히게 된 건 2001년으로 거슬러 올라가요. 2001년 1월 22일에 오이도역에서 지하철 리프트를 이용하다가 장애인이 떨어져 죽는 사고가 있었습니다. 그리고 2002년도에 발산역에서 또 장애인이 떨어져 죽어요. 이런 참사가 두 개만 있었던 게 아니라, 장애인이 지하철 리프트를 타면서 죽고 다치는 일들이 반복됐어요. 결국은 대중교통의 이용에서 장애인의 이동권을 보장하지 않는 문제였던 거죠. 그래서 2001년도 오이도역 사고 이후에 장애인들의 이동권을 보장하라고 만들어진 법...

발행일 2022.0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