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스토리

필터
칼럼
[시사포커스] “지금, 학교폭력으로부터 안전한가요?”

[월간경실련 2023년 3,4월호] [시사포커스(2)] “지금, 학교폭력으로부터 안전한가요?” 이종익 푸른나무재단 사무총장 최근 심각한 수준의 학교폭력 사안이 우리사회를 뒤흔들고 있다 유명 운동선수로부터 시작된 과거 학교폭력 피해 폭로 현상이 연예계 및 일반인을 비롯한 공직자 자녀까지 전방위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집요한 따돌림과 괴롭힘으로 인해 피해학생이 자살을 하고, 일면식도 없는 학생들 간 사이버상의 다툼이 실제 집단 구타로 이어져 피해학생이 의식을 잃고 병원으로 실려 가기도 했다. 또한 기숙학교에서는 동급생 간 성폭력 사건이 일어나는 등 상상하기 힘든 심각한 사건들이 연이어 발생하고 있다. 이처럼 학교폭력은 개인과 가정, 학교와 지역사회의 각 단위에서 상호 간의 개연성 없이 발생하는 사회현상이 아니라 각 요인들의 상호 작용으로 나타나는 사회문제이다. 학교폭력 제도는 그 실태와 양상, 사회적인 여론에 맞추어 2004년 관련법제정 이후 여러 차례 제·개정을 통해 보완되고 재정비되어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빠르게 변화하는 학교폭력의 대응에는 여전히 한계가 있다. 특히 사이버폭력의 경우 급증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디지털 플랫폼마다 독특한 피해 양상을 보이고 있다. 최근 들어 학교폭력 피해학생이 극단적인 선택을 하는 사건이 연이어 발생했고, 자녀를 잃은 고통으로 그 가정이 무너지는 등 이러한 학교폭력의 고통은 개인을 넘어 학교와 가정으로 확대되고 나아가 우리 사회 전반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 근래에는 광주의 한 지역에서는 학교에 간다던 학생이 인근 야산에서 사체로 발견되었고, 강원의 한 지역에서는 사이버폭력을 당하던 학생이 재학 중인 학교 옥상에서 투신하는 사건이 있었다. 광주지역 사안의 경우 장례식 도중 아들이 폭행당하는 영상을 제보받았는데, 시신 운구를 맡기로 한 학생들이 가해자였음이 뒤늦게 알려지며 가해자 엄벌을 요구하는 국민청원이 21만 여명의 동의를 받기도 했다. 강원지역 사안 또한 사건 발생 2주 전 피해학생의 자해 사실을 교사가...

발행일 2023.04.04.

스토리
[현장스케치] 2012년 또래조정시범학교 관계자 합동 워크숍

학교폭력 해결에 앞장 설 아이들 중심의 '또래조정'       지난 7월 3일, 코리아나 호텔에서 ‘또래조정 시범학교’ 관계자 합동 워크숍이 열렸다. 교육과학기술부가 주최하고 전라남도교육청,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경실련 갈등해소센터, 평화여성회 갈등해결센터가 공동으로 주관하는 이번 워크숍은 또래조정 시범사업의 취지와 전반적인 운영계획에 대한 설명과 함께 교육과학기술부 및 교육청 관계자와 시행을 담당하게 될 학교 현장의 교사들과의 대화를 통하여 시범사업을 성공적으로 진행하고자 마련됐다.             1부에서는 이강원 경실련(사)갈등해소센터 소장이 ‘또래조정사업을 왜 하는가?‘ 그리고 ’또래조정사업의 핵심은 무엇인가‘라는 두 가지 내용발표를 통해 이번 사업의 취지를 설명했다.         기존의 학교폭력 및 갈등문제의 해결방식은 당사자인 학생이 있고, 그 외부에 교사 및 학교, 학부모, 경찰 세 집단이 문제를 각각 해결하려는 타의적인 방식이라면, 또래조정시범사업은 구성원들이 자율적으로 문제를 해결해나가면서 안팎의 협력과 지원이 더해지는 새로운 접근법인 것이 대비됐다.      이어서 몇몇 지자체 단위에서 이미 시행되고 있는 또래상담과 또래조정의 차이점에 대해서 설명을 했다. ‘또래상담’이 상담을 받는 이의 말을 들어주고 공감해주는 ‘과정’에 포커스를 뒀다면, 또래조정은 아이들이 중심이 돼서 학교폭력과 갈등문제를 ‘해결’하는 것에 중심을 둔 것이 차이다. 이와 같은 ‘또래조정’의 여러 장점중 이강원 소장은 학교 내 갈등해소, 학생들의 자존감 강화 그리고 문제를 일으킨 당사자의 참여 이 세 가지를 가장 주목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래조정의 특징과 장점에 대한 설명이 끝난 후 이어서 이번 ‘또래조정’시범사업의 특징을 아래와 같이 설명했다. 첫째, 학교구성원의 지지와 참여가 반드시 필요하다. 둘째, 전국단위에서 일관성을 갖춰 진행한다. 셋째, 학교중심의 진행에 한국청소년정책연...

발행일 2012.0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