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스토리

필터
칼럼
통일이 되면 가장 하고 싶은 일_박경화 환경운동가 겸 작가

통일이 되면 가장 하고 싶은 일 박경화 환경운동가, 작가 로저 셰퍼드, 전직 뉴질랜드 경찰관인 40대 후반의 이 사나이는 내가 가장 부러워하고 질투하는 사람이다. 아마 2012년 어느 날이었을 게다. 경복궁역에서 지하철을 타려다가 우연히 로저 셰퍼드의 사진전을 보게 되었다. 남쪽 백두대간뿐 아니라 북쪽 백두대간까지 종주를 하고, 그 사진을 모아 산림청 주최로 사진전을 열고 있었다. 강원도의 산보다 더 높고 장쾌하게 펼쳐진 개마고원 풍경과 인가 가까운 곳에는 나무 한 그루조차 없는 민둥산, 다양한 표정을 가진 금강산까지…, 우리에게는 미지의 세계 같은 북녘의 웅장한 산줄기들이 큰 액자 속에 담겨 있었다. 가고 싶어도 가지 못하는 우리 땅을 남반구 출신 사나이가 먼저 걸었다는 것이 몹시 부럽고도 배가 아팠다. 우리는 기껏해야 반쪽 백두대간만 볼 수 있는데, 남북 백두대간을 온전히 걸은 이가 우리 민족도 아닌 뉴질랜드 사람이 될 줄이야. 몇 달 후 로저 셰퍼드가 걸었던 북쪽 백두대간 종주는 텔레비전 다큐로도 방영되었다. 탐방로가 제대로 나 있지 않은 진흙탕길을 달리다가 낡은 차가 고장이 나고, 코펠과 버너가 아닌 냄비에 모닥불을 피워서 밥을 해 먹고, 빨치산 대원 같은 후줄근한 가이드 사내와 함께 종주하는 모습은 못내 안쓰러울 정도였지만 언젠가 나도 저 길을 걷고 말리라. 통일이여, 어서 오라! 욕망이 불타올랐다. 도라전망대에서 망원경으로 본 개성공단은 손에 잡힐 듯 가까웠다. 개성공단 뒤로는 아파트 여러 채가 우뚝 솟아 있는 개성시가 보였다. 그 마을에 살면 세금도 내지 않고 군대면제라는 말에 남자들이 매우 부러워하는 대성동도 보이고 판문점도 어렴풋하게 보였다. 정말 이렇게 가까울 줄이야. 10월 18일 경실련통일협회 민족화해아카데미 프로그램의 일환인 현장기행을 따라갔다. 제3땅굴과 도라전망대, 도라산역, 임진각을 간다는 말에 두 번 고민할 틈도 없이 냉큼 같이 가겠다고 했다. 신라의 마지막왕인 경순왕릉과 연천군에 있는 북한...

발행일 2014.11.06.

칼럼
[칼럼]횡사(橫死)를 불러온 황사

김성훈 상지대 총장·경실련 공동대표 마침내 환경부가 황사 문제를 들고 나왔다. 철ㆍ망간ㆍ카드늄 등 중금속이 평시보다 12배나 더 많이 코팅된 노란 먼지가 며칠째 연달아 대한민국의 하늘을 뒤덮고 나서야 조야가 대기오염의 심각성을 깨닫기 시작한 것 같다. 그래서인지 환경운동가 출신의 이치범 환경부 장관이 무언가 해낼 것 같은 예감이다. 이제 대한민국의 어느 누구도 황사 피해와 대기오염에서 자유롭지 못한 지경에 이르렀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는 지금 황사(黃砂)와 미세먼지, 다이옥신 등 대기오염 현상으로 해마다 수많은 사람이 죽어가고 있다. 대기오염으로 수도권에서만 연간 1만1,000여명이 조기(早期)사망한 것으로 조사됐다. 그중 두드러지게 눈에 띄는 현상은 황사이다. 해마다 꽃이 피는 봄이 오면 어김없이 황사가 찾아와 기승을 부리며 비명횡사(非命橫死)를 부채질하고 있다. 지난 4월 초의 황사는 미세먼지 농도가 치명(致命)적 수준인 300을 훨씬 넘어 지역별로 500~650㎍/㎥을 오르내렸다. 그 발생횟수와 농도도 최근에는 부쩍 심해지고 있다. 연간 100일에 달하는 황사 피해 때문만으로 조기사망하는 사람이 평균 2,310명, 폐와 호흡기 계통 질환자 수는 18만6,000명에 달한다고 한다. 황사 피해 말고도 대기 중에 만연한 다이옥신, 사흘에 이틀 꼴로 자욱하게 서울 하늘을 뒤덮는 살인적인 공해성 미세먼지, 그리고 연간 100회에 달하는 오존의 피해 규모가 시나브로 대한민국 수도권에서 정상적인 생명유지 및 경제사회 활력을 크게 잠식하고 있다. 서울 도심의 대기오염도가 이제 울산ㆍ안산 등 어지간한 공단 지역 수준과 맞먹을 정도이다. 이는 1,500만 서울시민이 일시에 담배연기를 뿜어댄다고 해도 위해도(危害度)면에서 대기오염의 피해 수준을 넘지 않는다는 우스갯소리가 나올 정도이다. 실제 서울에서는 새벽 조깅이 더 이상 건강 향상에 보탬이 되지 않는다. 오히려 더 해롭다는 판정이다. 비염과 폐질환, 그리고 우리 국민들에 가장 높은 폐암 ...

발행일 2006.05.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