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스토리

필터
칼럼
[경제기사 다시읽기]바닥 친 부동산, 빚내서 집 사라는데…과연 그럴까?

 ② DTI와 LTV 부동산전문가와 일부 금융업계에서는 부동산 활성화를 위해 LTV와 DTI 규제를 완화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이미 주택담보대출을 통해 부동산을 구입한 분들은 잘 알 수도 있지만, 대다수의 집 없는 세입자들은 잘 모르고 있는 LTV·DTI 정책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가계부채 대책…부동산 전문가들 “DTI·LTV 손질해야” 2014.02.28 아시아경제 http://view.asiae.co.kr/news/view.htm?idxno=2014022810121952374   정부가 가계부채 총량을 관리하고 고액 전세 대출 수요를 매매로 돌려 전세쏠림 현상을 완화하겠다는 대책을 내놓은 것과 관련, 전문가들은 대체적으로 장기적인 방향성은 맞다고 봤다. 과도한 가계부채를 줄이고 장기적으로 자산·부채 관리를 안정적으로 할 수 있다는 점에서다. 하지만 부동산 불씨를 살려낼 주택담보인정비율(LTV)과 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 완화가 빠져 시장 영향은 미미할 것이라며 아쉬움을 드러냈다. (중략) 보다 강력한 대책이 뒤따라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이남수 신한은행 부동산팀장은 "하우스 푸어 등의 문제는 정부에서 인위적으로 개입한다고 해결되는 것이 아니다"라며 "LTV, DTI 규제를 완화해줘야 비로소 주택 시장이 살아날 것"이라고 지적했다.   1. LTV·DTI 규제의 정의와 목적 LTV는 ‘Loan To Value ratio’의 약자로, 담보가치(주택가격) 대비 대출비율을 뜻합니다. 예를 들어 1억원 주택을 구입할 시, 대출자가 얼마나 주택담보대출을 받을 수 있는지를 정하는 것입니다. LTV가 50%라면 1억원 주택에 대해 5천만원까지 대출을 받을 수 있는 것이죠. 또다른 부동산대출 규제의 한 축인 DTI는 ‘Debt To Income’의 약자로, 총부채상환비율, 즉 대출자의 총소득에서 부...

발행일 2014.0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