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필터
국제
[ECOSOC] 경실련 2019-2022 지속가능발전보고서

    UN경제사회이사회 특별협의 지위 경실련 2019-2022 활동 4개년 지속가능발전보고서   <국문초록> 이 4년차 보고서(2019-2022)는 UN경제사회이사회(ECOSOC) 결의안(1996/31; 2008/4)에 따라 한국 시민사회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이 비정부기구 위원회에 제출한 지속가능발전보고서 입니다. 1부에서는, 새로운 비전(E/2020/NGO/1, No. 31)을 달성하기 위해 6개의 목표와 22개의 일관된 타깃을 설정했습니다. 우리의 사회경제적 및 민주적 시민운동에 매우 중요한 세 가지는 (1) 주거 개혁, (2) 재벌 개혁, (3) 선거공약검증 운동입니다. 경실련은 이에 따라 조직을 개편하였습니다. 2부에서는, 지속가능발전목표 2, 3, 8, 9, 10, 11, 16, 17와 관련된 경실련의 UN 기여·참여·협력사항, 그리고 경실련의 운동사업을 4개년 보고합니다. 그러나 두 번의 정권교체 이후에도, 별반 달라지는 것은 없습니다. 주제어: 비정부기구, 애드보커시 (신사회시민운동), 사회적경제, 민주주의, 한국 세부 내용은 아래 원문을 직접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CCEJ. (2019–2022). Quadrennial Report for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in Special Consultative Status with the ECOSOC   2019–2022 Quadrennial Report for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in Special Consultative Status with the ECOSOC   Citizens’ Coalition for Economic Justice (Special, 1999)[1]   Abstract This quadrennial report (2019–2022) is submitted by the Citizens’ Coalition for Economic Justice from Korea...

발행일 2023.07.12.

경제 국제
[토론회] 동북아 지속가능발전목표 대응 시민사회 온라인 토론회 개최

■ 프로그램(Program) 소개:  한국어  /  English  /  Монгол хэл  /  日本語  / 中文 (Download) ■ 발제문 (Documentation):  구글 드라이브 (Click)   ■ 일시 : 2020.10.20(화) 15:30~18:00 (서울시간) ■ 주최 : 아태 시민사회 참여체계(AP-RCEM) 동북아 지역그룹   ☞ 참가방법: (1) 아래 링크의 "구글독스"를 통해 사전에 참가 등록 https://docs.google.com/forms/d/e/1FAIpQLSfx3fIxp02bJ4mMwV3x2tKYYZESLAPYnr2YSdFwBLIz6tKX4Q/viewform (2) 참가 등록을 완료하시면, 아래 온라인 토론회 "링크"를 통해 접속 (PC접속)  https://us02web.zoom.us/j/81272077057?pwd=bG0yeXAxTU5zdEFraFpralNBblV3Zz09 (10/20 15:00 pm부터 접속 가능; Passcode: 368388) (아이폰 접속)  France: +33170950350,,81272077057#,,,,,,0#,,368388#  or +33186995831,,81272077057#,,,,,,0#,,368388# (전화 접속)  France: +33 1 7095 0350  or +33 1 8699 5831  or +33 1 7037 2246  or +33 1 7037 9729  or +33 1 7095 0103 Webinar ID: 812 7207 7057 Passcode: 368388 (기타 국제전화)  https://us02web.zoom.us/u/kcOQAWa8Kl   회원님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프로그램(Program) 소개:  한국어  /  English  /  Монгол хэл  /  日本語  / 中文 (Download) ■ 발제문 (Documentation):  구글 드라이브...

발행일 2020.10.14.

경제 국제
[성명] 친재벌 경제개발성장 중심 기업지배구조를 넘어서

친재벌 경제개발성장 기대에 대한 헛걸음과 친재벌 기업지배구조의 한계를 넘어서 - 지속가능개발목표(SDGs): 유엔 경제사회이사회 2019 고위급 정치포럼 제출 성명 -   The time to kill a Chaebol: Let us move beyond Corporatocracy Citizens’ Coalition for Economic Justice Republic of Korea April 26, 2019     The Conglomer-Ń-ation. The monsoons have already come, the raindrops had still not to fall: Over the Miracle on the Han River, without any wind and wavelet, of historically driven in a centralized economy, in the name of “the Wealth of the Nation,” all for one’s corporatocratic concentration of financial powers onto both business and property tycoons, was apropos of nothing than the sailing of the President on the palm of the Chaebol’s hand—captive in their invisible redistribution of its income and its trickle-down growth of their own nation; moreover after the rising of the Moon, under the name of “the Inclusive Growth of the Innovative Nation,” with hope and with despair, of particularly accelerated in their corporatocratic existence of econ...

발행일 2019.04.29.

도시 국제
유엔 2018 고위급정치포럼(HLPF) 경실련 도시권 선언문 채택을 환영한다

  유엔 2018 고위급정치포럼(HLPF) 경실련 도시권 선언문 의제 채택에 대한 감사장   [Word] A Letter of Acknowledgement [PDF] A Letter of Acknowledgement   유엔 경제사회부 지속가능개발 지원조정 사무국 귀하   2018 년 7 월 16 일자 편지를 보내 주셔서 감사합니다. 저희는 유엔경제사회이사회 2018년 고위급정치포럼 각료급 회의에서 귀하가 배정한 의제에 대해 우리 경실련의 “도시권 선언문(E/2018/NGO/2)”을 채택한 것을 매우 기쁘게 생각합니다. 이것은 우리가 지난 2011년부터 다루어 왔던 근본적인 의제 중 하나입니다. 우리의 근본적 변화의 경험 중 하나임을 당신에게 알리는 것을 큰 기쁨으로 생각합니다. 이것은 우리사회를 지속 가능하고 회복탄력적으로 만들 수 있다는 믿음과 우리의 목적입니다. 우리가 맨발의 정신으로 이 의제에 뛰어들어 시민운동을 시작하려고 했을 땐, 한국사회가 이 의제를 수용할 수 있을지 여부는 다소 회의적이었습니다. 하지만 추후 우리는 “해비타트 III”의 새로운 도시 의제를 접한 뒤 매우 흥미롭고 도전적인 경험을 할 수 있었습니다. 문제점을 찾기 위한 광범위한 토론, 사례분석, 반복되는 구조적 패턴의 발견, 그리고 이해관계자들과의 반복적인 대화. 무엇보다도 “모두를 위한 도시”라는 새로운 비전과 함께 시작된 약속과 신념 그리고 새로운 깨달음이 있었습니다. 지속 가능하고 회복탄력적인 사회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우리가 토지•자산•도시 소유권에 대한 공개념을 바탕으로 반드시 시민중심적인 발전을 지탱해야한다는 것입니다. 우리는 경험했습니다. 그리고 우리는 할 수 있습니다. 지속가능하고 회복탄력적인 사회로 나아가야한다는 신념은 지난 20년간 인재(人災)공화국의 역사 속에서 우리가 배웠던 깨달음의 교훈이기도 합니다. 이것은 그 누구도 희생양이 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확신과 함께 시민들이 권리주체인 도시, 포용도시, 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하고 회복탄력...

발행일 2018.07.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