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1206_방송,영화,예술인 선언 기자회견 '우리는 오늘 크게 목놓아 우노라'

관리자
발행일 2002.12.09. 조회수 2177
정치

양세훈 월간경실련 기자



 


 “두 어린 중학생의 죽음이 헛되지 않기 위해서는 가시적인 성과를 이뤄야 합니다. 그런데 국민의 정부가 미온적 태도를 보이면서 미국의 눈치를 보는 것에 더 분노가 끓어오릅니다.” 영화배우 최민식 씨의 노기 섞인 말이다.
 
 12월 6일 광화문 미대사관 앞에서 여중생 압사사건 무죄평결에 대한 방송, 영화, 예술인 선언 기자회견이 열렸다. 방송인 김미화 씨를 비롯해 총 129인이 동참했다. 연예인들의 직접 두 팔을 걷고 나선 것이다. 때문에 방송과 신문의 취재 경쟁도 뜨거웠다.


 기자회견에 직접 참가한 방송영화예술인들은 모두 한 손에 국화꽃을 들고 섰다. 이 자리에서 영화 감독 류승완 씨와 박찬욱 씨는 미국에 항의하는 뜻에서 태극기를 목에 두르고 삭발을 했다. 이 두 사람의 머리가 깎기는 동안 참가자들은 ‘아침이슬’과 ‘아리랑’을 부르며 결연한 의지를 다졌다. 김미화 씨는 내내 눈물을 감추지 못한다. 이내 참가자 모두의 눈은 붉게 뜨거워졌다.


 이 자리에 효순이와 미선이의 아버지도 함께 했다. 효순이 아버지 신현수 씨는“우리의 잃어버린 주권과 자존심이 꼭 회복되고, 소파가 개정돼야 한다”며 죽은 두 딸의 넋을 위로하듯 외쳤다.
  
 
시일야 방성대곡!
 1905년 11월 20일 장지연은 을사조약의 무효를 주장하며 황성신문에 ‘시일야방성대곡’을 썼다. 나라 잃은 슬픔을 “원통하고 원통하다! 동포여! 동포여!”라며 한탄한 것이다.
 


 “시일야 방성대곡! 우리는 오늘에 크게 목놓아 우노라!”
 이날 선언문의 첫 문장은 이랬다. 장지연의 외침과 무엇이 다르겠는가. 이현우(가수)씨와 변영주(영화감독)씨가 결연한 자세로 선언문을 낭독했다.
 
 “…이제 더 이상은 안 된다. 이제 더 이상은 이 땅에서 미군의 전쟁놀음에 이 땅의 사람들이 고통을 당하고, 우리의 소중한 아들딸들이 장갑차에 치여 죽음을 당해도 아무 말 못하고 속앓이 할 수만은 없다. 우리나라는 자주국가이다. 그 어는 강대국에도 업신여김 당하고 짓밟힐 수는 없다. 우리의 생명과 안전은 우리 힘으로 지켜야 한다…”  
 
 또한 △불평등한 한미 소파 전면재개정, △부시 미국대통령의 공식적이고 공개적인 사죄 요구, △자발적인 평화집회 보장 등을 선언문을 통해 촉구했다.
 기자회견을 마친 참가자들은 태극기와 효순이와 미선이의 사진을 앞세우고 미국 대사관 정문 앞에 멈춰 섰다. 그리고 “야~~아~.....” 고함을 내 질렀다. 이 고함의 의미를 저들은 아는지 모르는지 미 대사관은 꿈쩍도 하지 않는다.   



 미 대사관 옆에서는 천주교 신부님들이 ‘살인미군 회개 촉구를 위한 생명 평화 단식 기도회’(12월 2~9일)가 열리고 있었다. 이곳에 기자회견을 마친 참가자들이 방문했다. 방문한 참가자들에게 어느 신부님이 고맙다며 말을 꺼냈다.


 “우리도 두 여중생의 죽음에 일말의 책임이 있습니다. 앞으로 미선이, 효순이와 같은 일이 또 생긴다고 할 때 지켜낼 힘이 있느냐는 자책감이 듭니다. 그래서 참회의 마음으로 단식기도를 하고 있습니다. 억울한 죽음은 이대로 끝내야 합니다. 최선을 다해 끝까지 노력합시다.“  


 


 나는 왜 선언에 참여하였는가?


 


“연예인이 아닌 자식을 둔 엄마의 심정으로 이 자리에 섰습니다. 미국영화를 보면 그들은 정의로운 나라로 표현됩니다. 하지만 과연 미국이 말하는 정의가 이런 것입니까? 때문에 연예계도 마음을 합쳐 목소리를 낼 것입니다. 세계 곳곳으로, 그리고 정책을 만드는 곳에도 우리의 목소리가 들어갔으면 좋겠습니다.”-김미화(방송인)


“우리가 왜 미리 분노하지 못했는지 부끄럽습니다. 일찍부터 불평등한 소파에 대해 문제제기하고 분노했다면 미선이와 효순이의 죽음을 막을 수도 있지 않았겠습니까.”-정진영(영화배우)


 


 "이제야 이 두 영혼에게 한 송이 꽃을 바칩니다. 왜 여태 것 외면했는지 지금 반성합니다. 분노할 때 함께 분노합시다.“-이정열(가수)


 


 “배우로써 선 자리가 아닙니다. 끓어오르는 화를 참지 못해 국민의 한사람으로 나온 것입니다. 불평등한 소파를 개정하자는 목소리가 봇물 터지듯 이전에 이미 나왔어야 합니다. 두 여중생이 죽은 후에야 나온 게 너무 미안합니다.”


-최민식(영화배우) 


 


 “미약한 힘이나마 보태고 싶습니다. 우리나라의 힘을 보여 줄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트렌스픽션(락그룹)


 “죽음 앞에서도 뻔뻔하고 정당한 마음은 없어야합니다. 잘못된 법과 제도는 고쳐야됩니다.”


 - 이춘연(영화인회의 이사장)


 


 “딸을 키우는 아버지로서 내 딸이 이런 고통을 겪었다고 생각하면…, 우리가 미국보다 강한 나라가 되기는 힘들지만 자존심 있는 나라는 될 수 있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삭발을 하면 더 이상 깎을 머리가 없습니다. 정부는 자존심도 없습니까? 머리는 자라지만 잃어버린 자존심을 찾기 위해서는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합니다. 우리의 주권을 찾기 위해서는 우리 스스로의 힘이 필요합니다. 그런데 우린 아무 생각 없이 햄버거와 콜라를 먹는 것에 길들어 졌습니다. 이런 것들을 다시 한번 생각해 봤으면 합니다. 또 영화감독으로써 이번 분노가 어떻게든 내 영화에 표현될 것입니다. 매일 이어지는 촛불시위는 위대합니다. 누가 선동해서가 아니라 개개인이 주인이 되어 자발적으로 이뤄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 힘이 우리의 주권을 찾을 것입니다.” - 류승완(영화감독)


 “삭발이 별건가, 머리는 다시 자랍니다. 분노를 어떻게 달리 표현할 방법이 없었습니다. 그래서 이렇게 머릴 깎아서라도 분노를 보이는 것입니다.”- 박찬욱(영화감독)


 


 



 










 









 








 







첨부파일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