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산책]초연한 척 했던 나도 유죄 - 영화 ‘디태치먼트(Detachment)’를 보고

관리자
발행일 2014.06.09. 조회수 1163
칼럼

디태치먼트.jpg


 


 디태치먼트. 제목마저 생소한 이 영화를 보게 된 이유는 아이들에 대한 미안함 때문이었다. 박범신 작가의 말마따나 나도 유죄이기 때문인가. 영화가 끝나는 순간, 아니 보는 내내 더욱 더 미안하고 또 미안해졌다. 내 마음과 같은지 한국포스터에는 이런 글귀가 적혀있다. “우리의 아이들, 지금 괜찮은가요?” 디태치먼트의 사전적 의미는 분리, 초연, 무관심이다. 미국에서는 2011년에 개봉한 영화가 3년이 지나서야 우리의 곁으로 오게 된 것은 이 시기에 우리가 회피하고 있는 모든 것들을 알려주기 때문인 듯 하다.


 


 미국의 한 도시 외곽에 있는 고등학교에 헨리 바스(애드리언 브로디 분)가 부임한


. 그는 한 달짜리 기간제 교사이다. 헨리는 교사 중 평가도 높고 실제 가르치는 능력이 뛰어나지만, 무너져 내리고 있는 교육체계 안에서는 모두 무용지물이다. 그의 교실에는 2을 앓고 있는 아이들만 가득하다. 비단 헨리의 교실 뿐 만이 아니라 모든 교실에서 수업은 사라졌다. 선생님이 무얼 하든 신경도 쓰지 않는 아이들. 한 선생님은 수업시간에 히틀러를 찬양하는 영상을 틀어놓기도 한다.


 


 영화 속 학생들은 혼돈 속에서 방황한다. 문제는 선생님들 역시 방황을 한다는 것이다. 상담교사는 매일 같이 찾아오는 아이들을 버거워한다. 모두가 능수능란하다고 인정하는 노()교사는 사실 약으로 버티며 견디고 있었다. 전직 교사였던 한 사람은 매일 교무실로 전화해 아이들을 해하는 이야기들을 늘어놓으며 누군가를 가르치는 직업의 고충을 적나라하게 배설한다. 선생님을 무시하며 차마 입에 담지 못할 욕설을 한 학생을 퇴학시켰더니, 학부모가 찾아와 인종차별이라고 학교를 뒤집어 놓고선 선생님을 또 다시 무시하고 욕설을 내뱉기도 한다.


 


 


 


무엇이 문제일까?


 


 현재 교육이 이렇게 된 것은 무엇 때문일까.영화를 보는 내내 마음이 무겁고 괴감에 빠지게 된다. 교육체계의 붕괴, 성적제일주의, 팽배한 이기주의, 선생님의 자질 부족. 어떤 것이 그 원인이며 시작인지 규정할 수가 없다. 어쩌면 앞에 열거한 이유 전부가 원인일 수도 있다.


 


 하지만 문제의 발단은 아이가 아닌 우리에서 시작된다. 영화에 등장하는 선생님들도 아이가 아닌 우리에 속해있다. 사실 우리들은 어떤 것이 옳은 것인지 모르고 있는 듯하다. 인간이 불완전한 존재임은 당연하지만, 아이가 아닌 우리가 불안하고 흔들리니 직접적으로 아이들에게 영향을 미치게 된다. 더 큰 문제는 우리는 모르면서 아는 척을 한다는 것이다. 또 인정도 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또 다시 문제가 쌓인다. 모름을 인정하면 소통이라도 할 수 있을 텐데 우리는 이 통로를 차단한다. 이유는 다들 제각각이겠지만 굳이 정형화해보면 아이가 아니라


생각하기 때문이 아닐까. 이 아이러니에 웃음만 나온다.


 


 때로는 과거의 안녕을 추억하며 아이들에게 과거를 주입한다. “내가 해봐서 아는데로 시작하는 훈계는 아이들을 고루하고 획일적인 틀에 가둔다. 반대의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주체의 동의 없이 내가 이루지 못한 꿈의 대리인으로 선정하여 미래를 강제 주입하기도 한다. 틀 속에 갇힌 아이들과 내 꿈을 대신해주는 아이들을 보며 흐뭇해한다.



이 뿐만이 아니다. 감금과 주입 속에서도 막연한 무관심으로 아이들을 대한다. 학교와 학원에 보내주고 데려다주고 데리고 오고 집에 들어오면 공부할 때 간식을 챙겨준다고 해서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고 생각한다면 그건 지나친 자위다. 아이들의 생각과 고민을 2이라 평가절하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는 자신 또한 그 시절엔 지나치는 모든 것에 의미를 부여하며 수천 번의 포기와 실망에 괴로워했는데 지금 아이의 그런 생각과 고민은 방치하거나 무시한다.


 


 이런 우리들의 행태는 차디찬 바다 속에 아이들을 버려두고 배에서 도망친 한 선장을 떠오르게 한다. 우리도 우리가 일방적으로 만들어 놓은 이 부조리한 환경 속에서 비명을 지르고 있는 아이들을 남겨두고 도망치고 있다.


 


 교육이 붕괴되고 이로 인해 아이들이 무너지고 있다. 우리는 이제 붕괴를 막아야 한다. 아이가 아닌 우리의 잘못과 착각을 직시해야 한다. 만약 지금 이 순간 우리 모두 유죄임을 인정하지 않으면 우리는 더 큰 슬픔을 맞닥뜨리게 될 것이다. 더 이상 영혼을 침잠시키고 마음을 병들게하는 얼음 같은 냉혹함으로 아이를 바라보지 않고 있는 그대로 아이를 바라보고 기다려줘야만 조금씩 나아갈 수 있을 것이다. 영화 속 헨리의 흐느낌 속에서 우리가 명심해야 할 것이 있다.


 


 “우리에겐 젊은이들을 이끌어줄 책임이 있어요. 그들이 무너져 내리지 않고 낙오하지 않고 하찮은 인생이 되지 않도록 말이에요.”



우리가 하찮다고 아이들까지 하찮게 만들지는 않았으면 한다. ‘죽은 시인의 사회의 키팅 선생님처럼 진심으로 아이들에게 말해주자.


 


“Carpe Diem!”


 


 


박지호 소비자정의센터 간사


 jhpark@ccej.or.kr


 

첨부파일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