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인의 시각으로 본 남북통일_코디무어 독일 하노버대

관리자
발행일 2014.08.07. 조회수 814
칼럼

독일인의 시각으로 본 한국통일


코디 무어(Cordelia Moore) 독일 하노버대학 / 국제정치학


20_jahre_mauerfall_ddr_2009_20_01.jpg


독일에서 자라면서, 나는 분단된 나라의 역사와 이를 통일하려는 시도에 관해 공부했다. 어떤 면에서 독일인이 겪어온 어려움은 한국인이 아직까지도 경험하고 있는 것과 비슷하다. 두 나라 모두, 한 나라가 두 나라로 나뉘어 서로의 지역에 대한 통행을 제한하여 주민을 분리시킨 경험을 공유하고 있다. 동독과 마찬가지로 북한 또한 상대국인 남한보다 훨씬 느리게 발전했고 분단선이 생긴 이후로 시간이 지날수록 두 나라 간의 경제력 차이는 점차 증가하고 있다. 바로 이 경제력 차이가 한국의 통일을 생각함에 있어 가장 중요한 사안 중 하나다.


독일 통일 후 약 25년 동안 약 2백만 달러의 비용이 발생한 것으로 추산되며, 오늘날까지도 아직까지 존재하는 격차를 좁히기 위해 매년 돈이 동쪽으로 흘러들고 있다. 이를 염두에 둔다면 두 한국의 경제력 차이가 동서독의 차이보다 훨씬 크기 때문에 통일 이후의 독일보다 더 큰 경제적 과제가 될 것이다.


분단의 시각이 길어질수록 통일의 열망은 식어...


경제 문제를 제외하고라도 해결해야 할 다른 많은 문제들이 있으며 두 나라가 분단되었던 아주 다른 상황 때문에 현황을 비교하기가 상당히 어렵다 이로인해 미래가 어떻게 될지 예상하기가 쉽지 않다. 두 나라가 분단된 배경을 살폈을 때, 독일은 2차대전 후 순전히 연합국의 결정으로 나뉘었지만 한국은 한국 내부의 민족 전쟁인 한국전쟁이 원인이었다. 다른 요인들도 영향을 미치기는 하지만 내전은 특히 그것이 이데올로기 대립으로 인한 것이라면 언제나 나라를 통합하는 데 커다란 어려움을 초래한다.


남한과 북한 간 사회적 차이가 매년 커지고 있다는 점에 더해 휴전선이 존속하고 있으며 두 나라를 통일하는 데 있어 사회적 통합이 가장 중요한 측면이라고 할 수 있다. 아직까지 존재하는 경제력 차이에도 불구하고 독일 통일은 사회적 측면에서 봤을 때 실로 성공적인 것이었다. 다시 한 번 분단의 배경에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것이다. 두 나라의 분단 시기는 거의 같지만 독일은 이미 25년 전에 통일을 이루었고 한국은 통일이 아직도 요원해 보이기만 한다.


시간은 그 자체로 극복의 대상이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두 나라의 경제력 차이만 커지는 것이 아니라, 민족 간의 유대가 약화되고 통일에 대한 열망 또한 유감스럽게도 식어가는 게 사실이다. 자라나는 젊은 세대가 북한과 거의 유대가 없다는 점은 상황을 더욱 극적으로 만든다.


독일에 비해 남과 북의 교류협력은 거의 없어


또한 독일과 비교하여 한국의 상황을 더 어렵게 하는 것은 두 주민 간에 거의 어떠한 교류도 없다는 점이다. 1953년에 설정된 비무장지대(DMZ)는 오늘날 세계에서 가장 군사화된 지역이고 이는 사람들의 왕래를 거의 완벽하게 차단하고 있다. 그러나 독일의 경우, 비록 경비가 삼엄하긴 했어도 한국만큼은 아니었으므로 서로 간의 연락을 유지하기가 수월했다. 독일의 분단선이 1952년에 그어지고 베를린 장벽이 이후 9년 만인 1961년에 세워졌으며 250만에 달하는 사람이 베를린을 통해 동독에서 서독으로 넘어가 버렸다.


도심 안에 있는 분단선을 공고히 하는 데 시간이 걸렸으므로, 장벽이 세워지고 난 후에도 베를린 사람들은 소통하고 교류하고 심지어는 벽을 건너는 방법을 찾아냈다. 이 때문에 독일은 결정적으로 유리한 위치에 있었고 도시 내 장벽은 분단을 일상적으로 체험하는 사람들과 마주할 수 있었으며 이는 곧 통일에 대한 압박으로 작용했다.


한국과 비교하여 또 다른 점은 서독의 시민들은 동쪽 지방에 접근할 수 있는 기회가 많았고 그래서 두 국민 사이에 상호작용이 있었고 이것이 곧 통일을 향한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었다는 점이다. 나아가서, 물론 동독 정부에 의한 검거와 처벌이 있긴 했지만 이는 아주 덜 엄격하였고 특히 베를린에서는 서방 미디어에 대한 접근을 원하는 사람들은 그것이 가능했다.


남과북의 증대된 교류협력으로 통합을 꾸준히 제시해야


이 모두를 생각했을 때 미래에 어떤 일이 일어날지는 예측하기 힘들다. 하지만 두 나라의 유사점을 생각한다면 한반도가 처한 특별한 상황을 염두에 두고서 어떠한 결론에 도달할 수 있다. 가장 중요한 것은 통일을 향한 노력이 남한뿐 아니라 북한으로부터도 나와야 한다는 점이다. 그러한 열망과 압력을 형성하려면 두 나라 간의 소통과 교류를 향상시키는 것과 검열을 통과하는것이 가장 중요하다. 이는 북한 지도부에 대한 주민들의 지지를 떨어뜨리고 통치 정당성에 상처를 낼 수 있으므로 통일의 중대한 요인이라 할 만한다. 이는 또한 나아가서 통일 이후의 후유증을 경감하여 정치적 통합을 도전해 볼 만한 것으로 만든다. 분단의 길었던 세월과 두 나라 간의 큰 경제력 차이 때문에 발생할 비용을 생각한다면 말이다. 결과적으로 남과 북의 증대된 사회적 교류와 더불어 정부의 검열을 비껴간 정보들에 대한 개선된 접근성이 분단된 두 나라를 통합하는 데 꾸준히 제시되어야 할 해결책이다.



The Korean Reunification from a German perspective


Growing up in Germany, I have also studied the history of a divided nation and its attempts to reunite. In some respect, I believe, the struggle that Germany has been through is indeed comparable to what the Korean population is still experiencing. Both countries share the experience of having to deal with a border within the country, separating the population and dividing the people through limited access to the other region. Comparable to Eastern Germany, North Korea has also been developing much more slowly than its counterpart, and as years are passing since the border was established, the gap between the two countries is steadily increasing. This is one of the major issues that has to be dealt with concerning the reunification of the two Korean states. Around 25 years after the German reunification it is estimated to have cost around two trillion dollars and until today money flows to the East every year to eradicate the still existing gap. Keeping this in mind one has to consider that the economic gap between the two Korean states is considered to be much bigger and thus more costly which consequently will make the aftermath of reunification much more challenging. Apart from economic challenges there are many other factors that have to be considered and due to the very different circumstances during which the countries were separated it is quite difficult to compare the situation and consequently hard to predict what will happen in future, based only on the German experience. Beginning with the events that lead to establishment of a border within the nation, one has to consider that Germany was separated solely upon the decision of the allied states in the aftermath of World War II, while in Korea it was a result of the Korean War, a war within the country. And although other powers undoubtedly influenced the situation, a civil war, especially if it is based on differing political ideologies, always poses a further obstacle to reuniting a civilisation. In addition to that the gap between the societies of the Korean states is increasing with every year the border continues to exist and the social reunification is one of the most crucial aspects to be considered in the process of reuniting the countries. It is true that despite the still existing economic gap the German unification can be seen as successful from a social point of view, but here again one has to pay attention to the circumstances of separation. While both countries were divided at around the same time, Germany could reunite around 25 years ago and the Korean reunification still seems to be a long way ahead. Time is naturally a challenging factor, as by every year that passes the two populations do not only develop differently, but also the bonds between the people become weaker and thus the longing for reunification unfortunately does as well. This is especially dramatic, as the younger generation growing up has little ties with the North, and what makes the situation in Korea more challenging than it was in Germany is that there is hardly any exchange possible between the two populations. Being established in 1953, the DMZ is nowadays the most heavily militarised border in the world, making it almost impossible for people to cross it. The German border however, although heavily guarded, was still not as hard to cross as the Korean one and thus it was easier for the German population to keep in contact. While the German border was established in 1952, the Berlin Wall was only built nine years later in 1961 and an estimated number of 2.5 million people fled from Eastern to Western Germany through Berlin during this period. Even afterwards the people of Berlin found ways to communicate, exchange goods or even cross the wall, as it took some time to secure the border within the city. Due to this Germany was in a crucially advantageous situation, as the wall within the city confronted the people with the division on a every-day basis. It was also a result of the pressure from within the population that finally lead to the fall of the wall. Another difference compared to Korea is that citizens of Western Germany had the possibility to access the Eastern territories and thus there was interaction between the two nations which also lead to the built up pressure for reunification. Further, although there population of Eastern Germany was also influenced by the government's censorship, it was considerably less strict and especially in the area of Berlin the access to Western media was possible for those who sought it, although there was of course still the threat of being caught and punished by the government of Eastern Germany. Considering these differences it is hard to predict what will happen in future, but given the similarities of the countries' situation one can draw some conclusions, while keeping in mind the unique circumstances the Korean Peninsula faces. Most importantly it seems to be that efforts to reunify are not only made by South Korea, but should also come from the Northern population. In order to build up such desire and pressure it is of utmost importance to bypass the censorship, as well as to enhance communication and exchange between the two populations. This would ideally result in the lack of support for the North Korean leadership and due to the loss of legitimacy could possibly be a crucial factor of reunification. It would further also ease this process in the aftermath of a political reunification which will be just as challenging considering the long period of separation and the estimated financial costs due to the huge gap of economic development the two countries underwent. Consequently the increased social exchange between the North and the South, as well as the reportedly improved access to information that is not subject to the government's censorship can be seen as a steady path towards reunifying the two Korean nations.

첨부파일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