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직선거법상 인터넷실명제 폐지법안 처리 촉구

관리자
발행일 2012.11.12. 조회수 2598
정치 소비자

 


국회는 공직선거법상 인터넷실명제 폐지법안을 신속히 처리하라!


 


 


이미 헌법재판소에서 정보통신망법상의 인터넷실명제가 만장일치로 위헌판단을 받았음에도 현장에서는 여전히 실명제가 유지중이다. 공직선거법상 인터넷실명제(공직선거법 제82조의6)가 여전히 폐지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선거관리위원회는 헌재 결정 이후에 선거법상 인터넷실명제 폐지를 국회에 권고하기로 결정했음에도 불구하고, 선거를 앞둔 현재 인터넷언론사 등에 본인확인 시스템을 설치하도록 하고 있어 혼란을 부추기고 있다. 선거운동 기간 동안 이용자들의 표현의 자유 위축 문제 등은 여전히 해결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우리는 국회가 선거법상 인터넷실명제 폐지법안을 조속히 처리하여 처리할 것을 요구한다. 공직선거법상 인터넷실명제 폐지법안은 이미 지난 9월 5일 진선미 의원이 대표발의한 바 있어 현재 행정안전위원회에서 당장 처리할 수 있음에도 선거가 코앞에 이르기까지 이 법안을 심의조차 하지 않고 있는 것은 여야 국회의원 모두의 직무유기이다.


 


헌법재판소는 2012년 8월 24일 정보통신망법상의 '인터넷실명제(제한적 본인확인제)'에 대한 위헌결정에서 인터넷실명제가 국민의 표현의 자유와 개인정보 자기결정권을 침해한다고 판단한 바 있다. 이 판단은 공직선거법상 인터넷 실명제에도 적용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공직선거법상 인터넷 실명제가 폐지되지 않으면, 포털 등의 중요 인터넷 언론사들이 본인확인 시스템을 본질적으로 폐기할 수 없기 때문이다. 결국 공직선거법상 실명확인제도를 유지시키는 일은 헌법재판소의 위헌 결정의 의미를 퇴색시키는 일이 될 것이다. 이제 국회는 인터넷 실명제를 폐지하겠다는 의지를 명확히 밝혀 주어야 한다.


 


인터넷실명제가 그간 수많은 이용자들과 시민들의 헌법상 권리를 침해한 것은 확인되었다. 그럼에도 이제 한 달 남은 대선을 인터넷실명제가 유지된 채로 치러야 한다면 그것은 국회의 책임이다. 제18대 대선 공식선거운동 시작일이 이제 얼마 남지 않았다.


 


국회는 더 이상의 정쟁과 다툼을 멈추고 즉각 선거법상 인터넷실명제 폐지법안을 처리할 것을 촉구한다.


 


 


2012년 11월 12일


 


선거실명제 폐지 인터넷언론.시민사회단체


 


 


선거실명제 폐지 인터넷언론 95개사 (11월12일 현재)
NSP통신  가톨릭뉴스지금여기  간호사신문  건설경제  건치신문  경제플러스  국민방송  기독교타임즈  기독일보  노년시대신문  뉴데일리  뉴스민  뉴스셀  닥터더블유  대구평화뉴스  대자보  대한금융신문  대한일보  더닥터  더약업  데일리메디  덴탈아리랑  디트뉴스  라이브뉴스  레디앙  매경헬스  메디게이트뉴스  메디파나  메디포뉴스  미디어스  미디어오늘  미디어충청  미디어펜  민주일보  민중언론참세상  방송기술저널  베타뉴스  보건신문  비마이너  새한일보  서울일보  성남일보  세이프투데이  세종의소리  셀룰러뉴스  수원일보  시민의소리  시민일보  시사뉴스라인  시사서울  시사투데이  시사포커스  시정신문  식품저널  씨엔비뉴스  씨피엔문화재방송국  아시아투데이  아이티매일  아주경제  약사공론  왓처데일리  울산노동뉴스  월드얀뉴스  의약뉴스  의협신문  이지경제  인천뉴스  일간대한뉴스  일다  재경일보  전국매일(서울본사)  전업농신문  제주의소리  참소리  축산경제신문  충북인  컨슈머타임스  컴퓨터타임즈  케이제이타임스  코리아뉴스  코리아아이티타임즈  코카뉴스  투데이코리아  포커스  피디저널  하이닥  한국고시신문  한국농어민신문  한국농정신문사  한국정보통신신문  헬로디디  헬스코리아뉴스  헬스포커스뉴스  환경타임즈  후생신보


 


인터넷기자협회


 


한국인터넷지역신문협의회


 


망중립성이용자포럼


경실련 / 민주언론시민연합 / 언론개혁시민연대 / 오픈웹 / 인터넷주인찾기 / 진보네트워크센터 / 참여연대 / 청년경제민주화연대 / 한국여성민우회 미디어운동본부 / 함께하는 시민행동


 


언론개혁시민연대 
80년해직언론인협의회 / 경기미디어시민연대 / 광주전남민주언론시민연합 / 녹색연합 / 대전충남민주언론시민연합 / 동아언론자유수호투쟁위원회 / 문화연대/미디어기독연대 / 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 / 바른지역언론연대/방송기자연합회 / 부산민주언론시민연합/불교언론대책위원회 / 새언론포럼 / 실천불교전국승가회 / 언론인권센터 / 언론지키기천주교모임 / 자주평화통일민족회의 / 전국교직원노동조합 /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 전국목회자정의평화실천협의회 / 전국신문판매연대 / 전국언론노동조합 / 전북민주언론시민연합 / 진보네트워크센터 / 참교육을위한전국학부모회 / 참언론을위한모임 / 학술단체협의회 / 한국YMCA전국연맹 / 한국기독교사회문제연구원 / 한국기독교협의회(정의평화위원회 사회정의소위원회) / 한국기자협회 / 한국노동조합총연맹 / 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 / 한국방송기술인연합회 / 한국PD연합회 / 한국언론정보학회 / 한국여성민우회 / 한국인터넷기자협회 / 한국청년연합/환경운동연합 41개 단체


 


전국미디어운동네트워크


강릉: 강릉씨네마떼끄, 강릉시영상미디어센터 / 고양: 어린이청소년을위한멀티미디어센터 <도토리미디어 사랑방> / 광주: 광주전남미디어주권네트워크(광주전남문화연대, 광주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참여자치21, 광주여성민우회광주환경운동연합, 광주여성의전화, 전남대미디어교육센터, 광주영상미디어센터, 광주전남미디어행동연대, 참교육학부모회광주지부, 광주흥사단), 열린미디어연대, 호남노동미디어활동단 <필>, 광주전남민언련 영상분과 / 대구: 대구 독립영화협회, 대구 영상공동체 <이후>, 여성영상공동체 <핀다>, 대구노동자영상모임 / 대전: 대전미디어센터설립추진위원회(대전독립영화협회, 대전충남민언련, 대전참교육영상집단, 시네마떼끄대전) / 마산창원: 시청자주권을위한경남시민사회단체협의회(가톨릭여성회관, 경남민언련, 경남여성회, 경남정보사회연구소, 여성다큐<고함>, 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 창원여성의전화, 마창진참여연대, 참여자치연대, 환경련, 민주노총마창지부, 마창여성노동자회, 일여성예술, 전교조마산지회, 참교육학부모회, 진해여성의전화, 살류쥬, 경남한살림) 경남시청자영상제작단 / 부산: 부산시청자주권협의회, 부산독립영화협회 / 부안: 부안영화제 조직위원회, 부안생태문화활력소 / 부천: 고리울청소년문화의집<꾸마>, 부천영상미디어센터 / 서울: 관악미디어공동체<동동>, 공동체라디오 운동연구집단<씨알>, 민중언론 참세상, 영상미디어센터 미디액트 / 성남: 성남영상미디어공동체 늘봄 / 울산: 민주노총울산본부, 울산노동뉴스, 울산정보미디어공동체(울산노동뉴스, 노동 자정보통신지원단, 공동체라디오추진위, 울산노동미디어네트워크), 울산미디어연대, 울산시민미디어센터 / 원주: 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원주지부영상사진갈래위원회, 원주청년회미디어동아리<바름소리> / 익산 : 영상바투 / 인천: 미디어마을 / 전주: 전주시민미디어센터<영시미> / 진주: 진주시민미디어센터 / 천안: 천안시사회복지협의회 영상미디어정보센터 / 청주: (사)충북민예총 영화위원회, 씨네오딧세이, (사)충북민주언론 운동시민연합, 청주 생활교육공동체 <공룡> / 춘천: 춘천영상공동체 <미디콩>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