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칼럼] 만들기 힘든 한식의 대역전!

관리자
발행일 2021.10.06. 조회수 10058
칼럼 스토리

[월간경실련 2021년 9,10월호-우리들이야기(1)]

만들기 힘든 한식의 대역전!


 

박만규 아주대 불어불문학과 교수


 

추석 연휴가 끝났다. 명절은 가족끼리 모이는 즐거움의 장이지만, 주부들에게는 명절 공포증이라는 용어가 말해주듯 고생의 장이기도 하다. 그 중 뭐니 뭐니 해도 음식을 해 올리는 고생이 으뜸이 아닌가 싶다. 사실 우리의 음식은 참으로 문제가 많은 것 같다. 도대체 왜 그리 양념도 많고 다듬고 버무리고, 손이 많이 가는지, 주부들은 하루 세끼 만들고 치우는 데 하루가 다 가버린다. 왜 이럴까?

우선 우리의 음식에는 김치와 된장, 젓갈을 비롯하여 발효음식이 많고, 재료를 오랫동안 익혀서 깊은 맛을 내는 조리법이 많기 때문이다. 오래 삶고 찌고 고고 달이는 음식이 좀 많은가! 중국 음식만 하더라도 대개가 강한 불에 짧은 시간 조리하는 음식들이다. 서양에서도 많은 경우 고기나 생선에다 양념을 얹어 오븐에 넣으면 조리가 끝나는 음식들이 많다.

다음으로 음식 만드는 데 많은 시간과 공이 들어가는 이유는, 우리 음식이 전적으로 먹는 사람이 먹기 쉽도록 차려지기 때문이다. 서양 음식의 경우, 요리가 다 익으면 오븐에서 꺼낸 다음 식탁에 내놓기만 하면 된다. 먹는 사람들은 각자 접시에 덜어서 칼과 포크로 잘라 먹는다. 그러나 우리는 어떤가? 고기나 야채 등 모든 재료를 항상 사람이 먹기 좋게, 그것도 사람 입에 들어갈 크기로 다 자르고 손질해 놓아야 한다. 먹는 사람은 젓가락 들고 집어서, 아니면 숟가락으로 떠서 입 안에 넣는 일만 하면 된다. 모든 재료는 식감이 부드럽도록 거친 부분을 제거하고 다듬고 다져 놓아야 한다. 그래서 우리나라에서는 칼과 포크가 필요 없고 젓가락과 숟가락이면 족한 것이다.

우리는 보통 서양인들이 칼과 포크를 이용하고 동양인들이 수저를 이용하는 이유를 서양인의 주식이 고기이고 동양인의 주식이 쌀과 채소이기 때문이라고 알고 있는데, 꼭 그렇게만 볼 수 없다. 서양인들이 고기뿐 아니라 치즈나 심지어 야채 샐러드까지도 칼로 썰어 포크로 찍어 먹는 모습을 보면 분명 그러하다. 우리도 고기를 먹지만 먹는 사람이 편하게 먹을 수 있도록 잘라 놓기 때문에 수저를 이용하는 것이다.

한 마디로 우리의 요리는 만드는 사람 입장에서는 상당히 복잡한 과정을 거치고 시간도 오래 걸리는 성가신 작업이지만, 먹는 사람 입장에서는 굉장히 편한 음식인 것이다. 그리고 이것이 주부들이 명절 때마다 부엌에서 고생을 해야 하는 이유가 된 것이다.

또한 우리의 음식은 휴대의 간편성이 너무 부족하다. 해외여행을 가면, 유독 한국인은 음식 때문에 어려움을 겪는다. 김치 생각, 된장 생각에 금강산도 식후경이라는 관광이 제대로 될 리가 없다. 현지 음식에 적응하지 못하고 얼큰한 맛을 포기하지 못하는 사람들은 아예 고추장 같은 것을 갖고 다닌다. 아닌 게 아니라 우리의 식사 패턴이 국이나 찌개 없이는 한 끼도 못 먹게 되어 있지 않은가? 사실 마른 반찬을 제외하고는 우리 음식 가운데 휴대가 편한 것이 별로 없다. 한민족이 역사상 단 한 번 남의 나라를 침략하지 않은 평화 민족이라고 하는데, 그 이유가 여럿 있겠지만 내 생각엔 우리의 음식문화가 그 중의 한 이유를 차지하고 있는 것 같다. 밥을 하고 국과 찌개를 끓여 먹으면서 언제 전쟁을 하고 남의 나라를 정복하러 다니겠는가? 물을 구하고 불을 피워서 끓이면 적에게 자신의 위치를 알리겠다는 의사 표시가 아니고 무엇이겠는가?

지금까지 언급한 것만 보면, 우리의 음식 문화는 개선해야 할 문제점 많은 것으로 생각이 된다. 그러나 이제 시대가 변하고 있다. 요즘은 식품 제조업과 가공업의 눈부신 발달로, 슈퍼나 마트에 가보면 전자레인지에 넣거나 뜨거운 물에 넣고 끓이기만 하면 되는 상태로 판매하는 식품들이 엄청나게 많다. 이는 만드는 사람의 수고를 크게 요구하는 한식의 문제점과 휴대의 불편함을 크게 개선해 주고 있다. 이제는 먹는 사람의 맛과 편리함을 최대한 추구하는 한식의 장점만이 남는 상황이 되었다. 우리의 음식이 활개를 칠 시대가 도래한 것이다.

최근 크게 일어나고 있는 K-푸드 열풍(한식 한류)도 여기에 힘입은 바가 크다고 생각된다. 만드는 사람의 수고는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고 먹는 사람이 편하게 먹는 것이 중요한 시대, 그래서 조리과정의 번거로움은 전혀 문제가 안 되고 최종 소비자에게 미각적 만족만 주면 되는 시대, 바로 그런 시대가 온 것이다. 바로 한국 음식의 시대이다. 사실 맛으로 말하면 우리의 요리는 동양 요리의 최고봉이라 일컫는 중국 요리에 결코 뒤지지 않는다. 실제로 한국 요리는 아직도 상대적으로 잘 알려져 있지 않아서 그렇지 일단 맛을 본 외국인들은 그 맛과 다양함에 놀란다. 김치는 이미 세계적인 음식이 되었고 고추장과 같은 소스를 비롯하여 과자들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상품들이 외국에 수출되어 커다란 인기를 얻고 있다. 코로나19 여파에도 불구하고 올해 상반기 농식품 수출이 역대 최고 실적을 넘어섰다고 하고 사상 첫 100억 달러 달성도 기대되고 있다고 한다. 미국과 중국, 일본은 물론 동남아 국가들과 러시아 및 중앙아시아 지역 등 신규 시장에서도 수출이 대폭 늘었다. 팬데믹이 가져다준 효과이기도 하지만 한식이 건강식품이라는 이미지에 특히 인삼과 김치 등이 면역력 강화에 좋다고 알려져 수출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이제부터는 우리의 음식 문화에 긍지를 가지고 이를 세계화해 나가는 일에 큰 힘을 기울이고 좋은 성과를 얻어내도록 해야 하겠다.

명절에 주부 혼자 힘들여 음식을 만들게 하지 말고 이제부터 온 가족이 함께 참여함으로써 만드는 수고만 던다면, 우리의 한식, 먹을 때는 입에 넣기만 하여 편하게 맛을 즐길 수 있는 더없이 좋은 음식이다. 맛을 즐기면서 그 편리함으로 인해 대화를 더욱 편하게 나눌 수 있다. 우리의 한식, 만들 때는 힘을 나누고 먹을 때는 정을 나눌 수 있는 최고의 음식이다!

첨부파일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