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가 혈액관리를 책임져야 한다.

관리자
발행일 2005.09.08. 조회수 2161
사회

1년 만에 또 다시 에이즈 바이러스에 감염된 혈액이 수혈용으로 공급되고, 에이즈에 감염된 혈액을 원료로 사용한 혈액제제 2만6천여병이 수개월간 시중에 유통․판매되고 있음이 밝혀졌다. 그럼에도 대한적십자사․식품의약품안전청․보건복지부가 파문의 확산을 우려하여 은폐에만 급급하면서 아무런 긴급조치도 취하지 않고 있어 경악을 금할 수 없다.



이미 우리나라 혈액관리는 2003년에 대한적십자사의 혈액사업본부에 의해 에이즈와 B․C형 간염, 말라리아 바이러스에 감염된 혈액이 공공연히 시중에 유통되었음이 밝혀지고, 2004년에도 에이즈에 감염된 혈액이 공급되었음이 공개되어 국민들의 큰 불신을 받아왔고 근본적인 대책이 요구됐었다. 감사원의 조사결과에 따르면 오염된 혈액 때문에 에이즈에 감염된 사람이 6명, 간염을 얻는 사람 10명, 말라리아에 걸린 사람 4명, 일부는 매독균에 감염된 혈액까지 유통되어  국민들이 각종 질병에 오염된 혈액으로 피해를 입고 있음이 드러났다. 이 결과로 대한적십자사에는 이전까지 14년간 120억에 불과하던 국고지원이 향후 5년간 3,200억 원으로 대폭 늘고, 신기술인 핵산증폭검사기법(NAT)을 도입 하였고, 보건복지부에는 혈액사업을 관리할 혈액정책과를 신설하였다.



그럼에도 또다시 인체에 치명적인 질병에 감염된 혈액이 환자에게 수혈되고, 약품으로 제조되어 판매된 사건이 발생하였지만, 관련 당사자들은 국민들에게 사죄는 고사하고  “낙후된 검사 기법 때문에 발생한 불가피한 혈액사고”라거나, “혈액제제 제조과정에서 바이러스가 불활성화되기 때문에 굳이 폐기할 이유가 없다”는 등의 의학적으로 완전성이 검증되지 않은 논리를 피고 있다. 더욱이 질병에 감염된 혈액이 환자에게 수혈되고 약품으로 제조되어 유통되고 있음을 인지하고도 은폐에 급급할 뿐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는 후안무치하고 무책임한 윤리의식을 보여주고 있다.



혈액안전종합 대책을 마련하여 시행한지 1년도 채 안 되는 상황에서 같은 사건이 또다시 재발했다는 것은 국민들이 안심하게 수혈을 받고 혈액제제를 사용할 수 있는 안전한 혈액사업의 기반이 허물어졌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에 다름 아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민들은 에이즈 바이러스에 감염된 혈액이 시중에 돌아다닌다는 사실에 공포를 넘어 분노를 느끼고 있으며, 보건행정에 대한 국민들의 불신은 갈수록 커져가고 있다.



따라서 보건복지부는 관리감독의 책임을 통감하고 이번 사건의 진상 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즉각 공개해야 할 뿐 아니라 머리 숙여 국민에게 사과를 해야 한다. 아울러 보건당국은 현재 보관중인 혈액에 대한 전면적인 검사에 즉각 착수하고, 시중에 유통․판매되고 있는 에이즈 감염 혈액 제제 제품의 전량을 회수하여 폐기하는 조치를 취해야한다.



<경실련>은 국민들의 비난을 회피하고자 하는 단순 미봉책으로는 혈액안전을 보장할 수 없으며, 혈액관리에 대한 정부의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판단한다. 내국인의 혈액에 대한 안전성 검사는 물론 현재 미국이나 중국 등지에서 수입되고 있는 혈액에 대한 안정성도 안심할 수 없는 현실에서 혈액관리에 대한 근본적인 방향 전환이 있어야 하며, 그것은 국가가 책임지는 것이 가장 타당할 것으로 판단한다. 만에 하나 혈액의 채취와 유통이 사업화 되어 이윤을 앞세운 혈액관리자들이 도덕성보다는 이윤적 동기를 앞세울 때 그 피해를 예방하기도 어려울 뿐만 아니라, 그 피해도 한 사람의 일생을 송두리째 앗아 가버릴 수 있는 치명적인 것이기에 국가가 책임지고 관리하는 것이 옳은 방향이다. 정부 당국의 혈액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재발방지책 마련과 나아가 혈액관리시스템의 근본적인 전환을 이루는 계기로 삼을 것을 강력히 당부한다.


[문의 : 사회정책국 02-3673-2142]

첨부파일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