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실련의 토지 공개념 운동, 돋보이는 운동 의제였다

관리자
발행일 2009.10.21. 조회수 640
칼럼


경실련 참여의 시작


인천에서 생기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참여하고 연대하였다. 인천 경실련 활동 중에 고유활동을 몇 가지 찾긴 했는데, 처음보다 요새 일감이 줄었다. 서울에서 1989년에 경실련 창립할 때는 경실련에 대해 모르고 나중에야 알았다. 그 때는 토지 공개념이 중요한 화두였다.


 그 때 당시 토지 소유가 편중되어 있다는 얘기가 많이 나돌았다. 가톨릭대학 신학대학에서 가톨릭 사회교육이라는 과목을 가르쳤는데 강의 중 토지 공개념에 관해서 가르치다가 이런 문제에 관해서 다루는 것을 보고는 괜찮은 단체라고 생각했다.


신문에서 보고 혜화동 로터리에 국민은행에 갔는데 창구 옆에 가입서가 있길래 써서 보냈다. 그 이후에 인천으로 90년 2월에 다시 왔는데. 인천으로 내려오기 전에 가입했다. 그 후 종로 5가 기독교 회관에서 경실련 회의가 있어서 참여해서 구경했는데 그 후 얼마 안 있다가 서경석 전 경실련 사무총장이 찾아와 얘기를 나누면서 경실련과의 인연은 시작되었다.


 


인천 경실련의 창립과 활동
 그 후 서경석 전 경실련 사무총장과 초등학교 동기라는 분이 찾아와 경실련을 인천에도 창립했으면 좋겠다고 제의했었다. 그 때는 나는 못하겠다고 말했다. 92년도 9월쯤, 다시 오셔서 똑같은 제안을 하셨다. 인천에 아는 사람도 없어서 망설여졌었지만 그때나 지금이나 경실련을 그만 둘 생각은 없었다. 그 때는 인천시의 규모가 작아서 첫 모임은 아주 빈약했었다. 인력, 자금도 부족한 상태였다.


그 때는 경실련이 위험한 단체였다. 그때는 노태우 대통령 말기였는데, 정부 입장에서는 경실련이 위험한 단체로 분류가 되었다. 겁은 안 났지만 지역의 경찰서 형사가 찾아와서 이것저것 물어보기도 했었다. 아무래도 비판적인 성격의 단체이다보니 다른 분들도 가입하기를 어려워했었다. 인천경실련은 그렇게 뜻있는 몇 분이 시작했지만 지금까지 성장하며 왔다. 이제 많은 분들이 가입을 하고 사회적 인식도 호의적이라 다행이라고 생각하고, 또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주로 인천문제를 다루었는데 첫 사업으로는 인천대학교 선인학원 문제였다. 인천 경실련이 다른 시민단체들과 함께 일을 추진하였다. 그렇게 선인학원을 시립화 하는데 함께 했고. 다행히 시립화에 성공했다. 그 때의 연으로 지금도 나는 인천대학의 운영위원장을 하고 있다. (참고로 인천대학은 이사회 대신 운영위원회로 이루어져 있다) 요즘에는 회의를 많이 안 해도 계속 함께 하자는 약속은 변함이 없다.


 또 얼마 안 있다가 94년도에 해외 연수를 빙자로 관광성 여행을 즐기고 온 인천시의원 9명을 고발했다. 그 때 처음 시의원 제도가 생겨 처음 뽑혔던 시의원들이었다. 이건 문제가 있다 싶어 설명을 듣고 나서 고발에 동의를 했었고, 결국 고발이 되어 공론화가 되었다.


그것 때문에 시의원, 시의장들하고 본의 아니게 다투게 되었지만 정당한 것이라고 생각했다. 시의원들은 우리는 헌법단체인데 시민단체가 왜 시비를 거냐고 말하였지만, 시민단체 앞에서는 시의원들이 약하기 때문에 소문나면 날수록 그 사람들한테 불리하니까 우리가 주도해서 좋은 성과를 거둘 수 있었던 것 같다.
 


그 다음에 터진 것이 굴업도 핵폐기장 문제였다. 갑자기 굴업도에 핵폐기장을 한다고 발표가 난 것이었다. 그것은 경실련 뿐만 아니라 인천이 발칵 뒤집혔던 일이다. 죽기 살기로 모두 투쟁했다. 무조건 반대가 아니라 굴업도가 왜 가장 적합한 장소인지 합당한 이유를 대면 승낙하겠다고 했다. 그러나 정부가 이렇다 할 이유를 대지 못했고, 결국 1년 후에 정부가 자진 취소를 했다.



인천 경실련 가입에 지장이 있었던 이유- 비판적인 성격을 띠는 단체에 대한 경계


 다른 단체와의 마찰은 없고. 시민들이 빨갱이단체라고 말하는 것을 들은적도 없지만 가입을 꺼려한 것은 사실이었다. 이곳에 들어오면 본업에 지장이 생길수도 있다고 생각하는 것 같았다. 지금도 경제권에 있는 사람들은 꺼려하는 것은 사실이다.


우리의 타겟은 인천시청이기 때문에 시청을 자꾸 건드리는데 아무래도 시청과 거래하는 사람들 드러내서 시민단체를 지지하지는 않는다. 경찰에서도 우리가 뭐하는지 감시하곤 했다. 모든 사람들이 빨갱이 단체라고 생각하지는 않았을 테지만 비판적인 성격을 띄는 것 같으니까 보고 관찰했었던 것 같다. 내가 활동할 때는 회원이 늘지 않았고 처음부터 힘들었는데 그 이유는 시민활동을 하는 사람이 인천에는 적었던 탓이다.
 타 지역에 비해서는 환경 운동쪽도 인천이 가입률이 적은데 여유가 없는 거 같다. 인천 특성상 외지인들이 많고 이동이 잦다는 이유도 있을 것이다.


 


인천 경실련의 활동-인천 항만 공사와 인천 경실련의 연계
 지금도 인천경실련이 경제정의실현을 위해 노력하는 단체라는 것이 우리의 목표라는 것은 변함이 없다. 무엇을 하든지 간에 경제정의를 위해서 일을 하고 어려운 사람들에게 어떤 도움을 줄까 생각해야 한다. 


 전에 인천항이 취약했었다. 해양수산부의 항만청에서 인천항을 관리하는데 듣기로는 항만총장이 1년도 안 있다가 가버리고, 또 항구에 대한 계획부서도 안 세우고 잘 모르는 사람이 왔다가 가버리고. 이런 이유들 때문에 문제가 많았다.


그때 당시 인천에 항만공사가 있어야 한다고 경실련은 계속 주장했다. 인천시에 항만을 관리하는 사무실이 너무 미약하다고 인천시에다가도 요구하고 해양시에도 성명서를 내는 노력을 거듭해서 몇 년 뒤에 항만공사가 생겼다. 이 공사가 생기게 하는데 인천 경실련이 꽤 기여를 했다. 그건 항만에서 일하는 사람들도 인정하는 부분이다. 항만에 들어간 업체가 굉장히 많은데 사람들이 불만이 있어도 말을 못하고 가만히 있더라. 그래서 그런 불만이 있으면 우리에게 말해서 우리가 시민단체 이름으로 대신 터뜨리고 해결했다.  


 또 인천에 항만공사 생긴 이후에 불합리한게 있었는데, 제품을 만들고 수출하는 많은 회사들이 중국과 거래를 하려면 컨테이너를 인천에서 부산까지 싣고 가서 거기서 다시 중국으로 보내야 했었다. 다시 말해 인천에서 직접거래를 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던 것이다. 그 당시에는 여객선만 있었다. 이 문제가 개선되면서 중국과의 무역도 많아졌다.   


인천항 발전 협의회. 컨테이너 항로, 항만 설립에 우리들이 큰 역할을 하니까. 시민사회와 연합해야 된다고 해서 그렇게 했었다. 중간에 보면 업체들의 이해관계가 있지만 사실상 인천의 발전방향과 맞지 않는 경우가 더러 있다. 지금은 지방정부 힘이 세져서 그런지 개발 쪽으로 해서 항만들을 건드리는 경우가 많다.


신부라는 종교적 위치와 경실련 사이에서의 어려움


 상식으로 통하는 사회는 한 사람의 노력으로는 힘들다. 종교인이니 어찌보면 종교인의 가장 큰 임무나 역할이 사회적으로는 종교에 충실하는 것으로 여겨지던 때가 있었다.
그러나 내가 할 일 다 하면서 교회 안에서 맡은 책임은 다 하면서 그 시간 겹치지 않도록 했다.


가톨릭교회는 사회교리라는 것이 있다. 참여하라는 지침을 주고, 사회정의를 실현하도록 원칙이 무엇인지 이야기하면서 신부나 신자들한테 권하는 것이다. 내가 볼때는 경실련 활동은 그것을 실천하는 것이었다. 별도로 하는 게 아니고 신부로서도 할일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문제될 것이 없었다. 나는 신도로서 천주교 사회정의를 실천하기 위해서 경실련을 한다고 생각했고 그것은 혼자서는 할 수 없는 일이기 때문에 단체가 그런 길을 터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것을 실천안하는 것은 오히려 옳지 않다고 생각한다.


<약력>


1937년생. 카톨릭대학교를 졸업하였고 1963년부터 천주교 신부로 재직중이다. 미국 캘리포니아버클리대 객원교수, 카톨릭대학교 신학대학 교수, 인천시공직자윤리위원회위원장, 인천시발전협의회 위원장 등을 역임하였다. 1992년부터 현재까지 인천지역경실련 공동대표를 역임하고 있으며, 인천가톨릭대학교 교수, 시민연합 공동대표, 인천환경의제21추진협의회공동대표 등도 맡고 있다.

첨부파일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