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대 총선] 13일간의 열전 돌입

관리자
발행일 2004.04.03. 조회수 2533
정치

  17대 국회의원을 뽑는 공식선거운동이 2일부터 시작되었다.


  31일, 1일 양일간 있었던 후보 등록에는  전국 243개 선거구에 1천175명이 후보로 등록, 4.8대1의 경쟁률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6대 총선에서의 4.6대 1보다는 약간 높아졌다.


  또한 17대 총선에 참여하는 정당은 한나라당, 민주당, 열린우리당 등 주요 정당을 포함해 모두 15개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54년 3대 국회이래 최다.  총선 참여 정당이 이렇게 많아진 것은 정당 투표의 도입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정당투표에서 3%이상 득표(투표율 60% 기준 63만여표)할 경우 원내진출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정당별로는 열린우리당이 243개 선거구에서 후보를 모두 공천했고 한나라당 218명, 민주당 182명, 자민련과 민주노동당 각각 123명 등 14개 정당에서 951명의 후보를 냈다. 무소속 후보는 224명이다.



  지역구 후보를 낸 정당은 한나라당, 민주당, 열린우리당, 자민련, 국민통합21, 민주국민당, 가자희망2080, 구국총연합, 노년권익보호당, 녹색사민당, 민주공화당, 민주노동당, 사회당, 한국기독당 등 14개이며 이중 민주국민당은 비례대표 후보자를 등록하지 않은 반면, 민주화합당은 지역구 후보 없이 비례대표후보자 1명만 등록했다.



  이번에도 지난 16대 총선에 이어 후보자들은 재산, 납세실적, 병역, 전과 기록 등을 중앙선관위에 신고했다.



  중앙선관위가 각  후보의 병역신고내역을 분석한 결과, 등록한 1,175명 가운데 비(非) 대상자 65명을 뺀 1,110명중 211명이 병역을 필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병역미필 사유로 제2국민역과 소집면제가 가장 많았으며 특히 연령대가 높은 현역 의원이나 출마 경험을 가진 인사들은 질병, 고령 등 사유에 의한 면제가 두드러졌다. 진보.개혁 성향 정치신인 등의  경우는 민주화운동 등 시국사건에 따른 수형(受刑)을 사유로 한 면제가 적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체 1175명 후보 중 222명(18.9)%이 전과 기록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절반이 넘는 후보들이 민주화 운동 과정에서 국가보안법, 집시법 위반 등 시국사건 관련 전과였으나 간통과 사기, 절도, 도주차량 등 반사회적인 파렴치범들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권자들은 후보자에 대한 재산, 납세실적, 병역, 전과기록 등의 정보를 알고 싶다면 중앙선관위 홈페이지(http://www.nec.go.kr) 에 접속하면 쉽게 알 수 있다.



  공식선거운동이 시작됨에 따라 각 시민단체들의 활동들도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보인다. 경실련은 후보자정보공개와 더불어 각 정당의 정책 비교 평가를 통해 유권자의 올바른 선택을 돕고 있다.



  특히 경실련의 "유권자 정당선택도우미 프로그램"은 지난달 25일 본격가동 이후 일주일만에 3만명의 유권자들이 참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유권자들은 참여 후 소감을 묻는 게시판에도 300여건의 의견이 올라왔다. 유권자들은 이번 총선에 처음 도입된 정당 "평소 지지하는 정당과 역시 같다"고 흡족해하는가 하면 "평소 지지하는 정당과 전혀 다르게 나왔다"고 프로그램이 잘못된 것 같다는 지적을 하기도 하였다.

  한편 경실련은 선거운동기간 중 유권자들의 선택을 도울 수 있는 정보들을 취합해 이메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정리 : 커뮤니케이션팀 김미영 간사]

첨부파일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