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담

7건이 검색 되었습니다.

[9/2] “남북고위급접촉 타결 이후 남북관계 전망과 과제” 열린좌담회

지난 8월 25일 일촉즉발의 전쟁위기 상황에서 남북은 무박 4일, 43시간이란 장시간의 회담 끝에 극적으로 공동합의문을 발표 했습니다. 합의사항은 ▲당국회담 개최 ▲지뢰 폭발에 대한 북측의 유감 표명 ▲대북확성기 방송 중단 ▲북한 준전시상태 해제 ▲추석 이산가족상봉 진행 ▲남북민간교류 활성화 등 6개 항입니다. 악화일로를 걷던 남북...

발행일 2015.08.27. 공지사항

남북고위급 회담 타결에 따른 경실련통일협회 입장

남북회담 타결, 대화와 타협에 기반한  남북관계 발전의 시금석되야 -남북회담 결과 환영, 당국 간 회담 정례화로 한반도 정세 안정적 관리해야- 일촉즉발의 전쟁위기 상황에서 남북은 무박 4일, 43시간이란 장시간의 회담 끝에 극적으로 공동합의문을 발표했다. 남북은 ▲당국회담 개최 ▲지뢰 폭발에 대한 북측의 유감 표명 ▲대북 확성기 방송 중...

발행일 2015.08.25. 보도자료

[기자회견] 정부는 남북고위급 회담을 즉각 제안하라!

종교, 경협, 시민사회단체 공동기자회견 "정부는 남북고위급 회담을 즉각 제안하라!" 1. (사)경실련통일협회를 비롯한 종교, 경협, 시민사회 등 총 23개 단체는 11월 5일 (수) 오전 11시, 광화문 이순신장군 동상 앞에서 남북 고위급접촉 재개를 통한 남북관계 개선을 촉구하는 연대 기자회견을 진행하였다. 2. 아시안게임 이후 ...

발행일 2014.11.05. 보도자료

개성공단 정상화 회담 결렬에 따른 경실련통일협회 입장

 개성공단 정상화가 올바른 원칙이다. 박근혜 정부, 유연성 없는 회담으로 개성공단 폐쇄와 남북관계 전반에 위기 초래    어제(25일) 총 6차례에 걸쳐 진행된 개성공단 정상화 회담이 결국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다음 회담 날짜조차 정하지 못한 채 결렬되었다. 북한은 재발방지책에 명확한 확답을 주지 못했고, 남한 역시 유연성 없는 원칙만을 ...

발행일 2013.07.26. 보도자료

[성명] 남북당국회담 무산에 따른 경실련통일협회 입장

  전략적 로드맵 부재를 여실히 보여준 남북회담    박근혜 정부가 바로잡아야 할 것은 격(格)이 아닌 남북관계 남북 모두 적극적으로 대화에 임하는 전향적인 태도를 보여야     남과 북은 수석대표의 격(格)을 놓고 절충점을 찾지 못한 채 오늘(12일) 열릴 예정이던 당국회담이 결국 무산되었다. 회담 일시, 장소, 의제까지 모두 ...

발행일 2013.06.12. 보도자료

[칼럼] 남북 장관급 회담 기대 크다_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

 남북 장관급 회담 기대 크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     오는 12일 6년 만에 남북 장관급 회담이 개최된다. 장관급 회담은 6·15 공동선언을 이행하는 남북관계의 중추적 협의체로 출발했다. 김대중 정부 시절에는 개성공단, 금강산관광, 이산가족 상봉 등과 같은 남북 간 현안문제를 협의했다. 노무현 정부 때는 핵문제, 정치 ...

발행일 2013.06.11. 칼럼&스토리

[성명] 남북당국회담에 따른 경실련통일협회 입장

남북당국회담에 바란다.   대결과 대립에서 화해·협력 국면의 전환점으로 삼아야     어제(6일) 북한은 조국평화통일위원회(조평통) 성명을 통해 우리 정부가 지속적으로 요구해온 당국 차원의 대화에 응하겠다고 발표했다. 이어 우리 정부 역시 12일 서울에서 장관급 회담을 열자는 제안으로 남북관계는 극적인 변화를 맞이하게 되었다.   ...

발행일 2013.06.08. 보도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