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스토리

필터
칼럼
[김철환의 건강이야기] 항우울제 복용 주저하지 마세요

항우울제 복용 주저하지 마세요 김철환 경실련 상임집행위원 (인제대학원대학교 교수/서울백병원 가정의학과·금연클리닉)         필자가 “대한민국은 살기 좋은 나라, 우리나라는 세계 어느 나라와 비교해도 살기 좋은 자랑스러운 나라”라고 말한다면 독자들은 동의할까. 그렇게 믿고 싶지만 갈수록 살기가 힘들다고 호소하는 사람들을 많이 만나고 있다. 심지어 세상을 등지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는 것을 피부로 실감하고 있다. 대한민국의 경제 성장은 세계가 다 인정한다. 이 작은 나라가 최근 50년동안 가장 빠르게성장한 국가 중 하나이며, 몇 개 부문에서는 세계 최고의 기업을 갖고 있다. 하지만 자살률 1위, 행복하지 않다고 답하는 국민 비율이 가장 많은 현상은 어떻게 설명할까.   우리나라는 2010년 총 1만5천566명이 자살해, 자살률은 10만 명당 31.2명(1998년 18.4명)으로 세계 최고이다.OECD 인구표준화 사망률로 보면 10만 명당 ▲한국 28.1▲일본 19.7 ▲프랑스 13.8 ▲스웨덴 11.0 순이다. ▲이탈리아 4.9 ▲스페인 6.0 ▲호주 7.5 ▲미국 10.5 등의 수준과 비교하면 우리나라가 얼마나 높은 지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10대, 20대, 30대가 사망하는 원인1위가 자살이다. 교통사고나 암이 젊은 사람들의 사망원인 1위가 아니고 자살이 1위인 대한민국, 우리의 현주소를 보여주고 있다.         자살률 세계 1위, 대한민국   자살은 노인에서 많고 미혼과 이혼자, 당뇨병, 심근경색증, 중풍, 혹은 완치하기 어려운 병을 가지고 있는 사람, 짜증을 잘 내고 욱하고 화가 치미는 반응이 흔한 사람, 직장에서 가중되는 업무 부담으로 탈진증후군을 겪는 사람에서 흔하다. 이것은 세계 공통적인 현상이다. 그런데 왜 우리나라 사람들 중에 이런 사람들이 많고 자살이 늘었을까? 그것은 사회가 불안하고 빡빡하기 때문이다. 개인의 삶, 가족, 동네, 지역사회가 10년이 아니라 5년, 아니 3년이면...

발행일 2012.03.27.

칼럼
[김철환의 건강이야기] 대머리 특효약은 없나요?

대머리 특효약은 없나요? 김철환 경실련 상임집행위원 (인제대학원대학교 교수/서울백병원 가정의학과·금연클리닉)         “이러다가 곧 대머리 되는 것은 아니죠?” “여자도 대머리가 되나요?”   갑자기 변하는 자신의 머리카락으로 인해 놀란 사람들이 흔히 던지는 질문이다.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어떤 사람은 앞머리, 어떤 사람은 정수리 부분의 머리가 많이 빠진다. 사실 몇년 전부터 그 곳의 머리카락이 힘이 없어지고 가늘어졌지만 못 느꼈을 뿐이다. 나이가 60세가 넘어서 대머리가 되는 것은 견딜 만하지만 20대, 30대부터 대머리가 되는 것은 누구나 견디기 힘들다. 더구나 여성들이 머릿속이 훤하게 보일 정도로 머리카락이 빠지는 것은 정신적으로 꽤 충격이 크다.   사람의 머리카락은 총 10~12만 개 정도가 되는데 이들 머리카락은 각각 발생, 성장, 퇴화, 휴지기라는 주기를 갖고 순환한다. 일반적으로 휴지기의 머리카락이 매일 50~70가닥 정도 빠지는데 탈모가 시작되면 주기가 사라지고 모든 머리카락이 점차 가늘어지고 짧아져서 결국은 눈에 거의 보이지 않는 연모 형태로 변한다. 문제는 이런 자연스러운 순환의 한 과정으로 머리카락이 빠지는 것이 아니라 급속도로 과도하게 빠지는 경우이다. 이런 문제되는 탈모는 원형 탈모증, 남성형 탈모, 그리고 여성 탈모 세 가지 경우가 있다.       원형 탈모증, 우선 지켜보세요!   원형 탈모증은 원형의 모양으로 모발이 갑자기 빠지는 병이다. 동전 정도의 크기로 빠졌다가 조금씩 커져서 동전 서 너 개의 크기로 커지지만 수개월 후 다시 좋아진다. 간혹 두피의 모발 전체가 빠지기도 하고 두피뿐 아니라 눈썹, 속눈썹, 음모, 체모가 빠질 수도 있지만 이런 경우는 매우 드물다. 원형 탈모의 원인은 분명하지 않지만 일종의 자가면역질환으로 이해되고 있다. 다시 말하면 혈액 속의 T 임파구가 자신의 털을 자신의 몸의 일부로 인식하지 못하고 공격하여 모발의 탈락을 유발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

발행일 2012.03.26.

칼럼
[김철환의 건강이야기] 감기와 독감

감기와 독감 김철환 경실련 상임집행위원 (인제대학원대학교 교수/서울백병원 가정의학과·금연클리닉)       감기와 독감은 무엇이 다른가?   가을부터 다음 해봄까지, 감기와 독감이 가장 많은 계절이다. 감기와 독감의 차이를 정확히 아는가? 감기가 심하면 독감이라고 알고 있지 않은지.   감기와 독감은 원인이 되는 바이러스가 전혀 다르므로 의학적으로 다른 병이다. 감기가 심해져서 독감이 되는 경우는 없다. 감기를 일으키는 바이러스는 리노바이러스, 아데노바이러스, 콕사키바이러스 등 매우 다양하지만 독성이 약하다. 하지만 독감은 인플루엔자라고 하는 독특한 바이러스가 원인이다. 독감은 A, B, C형 세 가지가 있는데 A형이 가장 강하며 세계적으로 큰 유행을 일으킨다. 우리가 알고 있고 문제가 되는 경우는 대부분 A형이다. B형은 비교적 견딜만한 독감 유행을 일으키고, C형 정도는 거의 감기와 비슷한 수준이므로 문제가 되지도 않고 저절로 잘 낫는다.   감기와 독감은 병을 일으키는 원인은 다르지만 증상은 겹치는 것이 많아 실제 구별이 쉽지 않다. 감기 중 대표적인 코감기는 열은 있어도 미열만 있고, 콧물이 주증상이면서 근육통과 같은 전신증상이 별로 없기 때문에 독감과는 증상부터 다르다. 하지만 목감기처럼 목이 붓고 아프면서 고열이 나는 경우는 독감과 증상이 똑같다. 그러므로 감기와 독감의 정확한 구별은 바이러스 검사이다. 독감이 유행하는 시기에 고열을 동반한 몸살감기는 독감을 의심해야 하지만 특별히 독감이 유행하는 시기가 아니라면 일반적인 감기라고 생각해도 된다. 해마다 11월부터 다음 2월까지 독감이 유행하는 시기이지만 독감 유행 경보가 없을 때는 독감이 의심되면 의사들은 방역 당국에 신고를 하고 명확하게 밝혀야 한다. 하지만 일반인들이 그것까지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감기는 사람을 차별한다   감기는 평균 일 년에 3-4회 걸리지만 가난하고 교육 수준이 낮은 사람에게 훨씬 자주 찾아온다. 병이 사람을 차별하는 것이다...

발행일 2012.03.22.

칼럼
[김철환의 건강이야기] 어지럼증, 병원에 가야 하나요?

어지럼증, 병원에 가야 하나요? 김철환 경실련 상임집행위원 (인제대학원대학교 교수/서울백병원 가정의학과·금연클리닉)       어지럼증이 생기는 이유는 무엇인가     갑자기 어지럽다고 느낀다면 누구라도 당황할 것이다. 뇌가 이상해진 것은 아닌지, 지진이 난 것은 아닌지, 이러다가 정신을 잃는 것은 아닌지 두려워질 수 있다. 하지만 걱정마시라. 대부분의 어지럼증은 심각한 원인이 아니다.   어지럼증이란 자신이나 주위 사물이 정지해 있음에도 불구하고 움직이는 듯한 느낌을 받는 모든 증상을 통칭하는 용어이다. 외부 환경에 대해 자신의 위치가 정상적이 아닌 것처럼 느껴지는 것은 현기증이라고 하고, 어지럼증 중에서도 빙글빙글 도는 느낌이 있으며 자세 불안과 눈떨림(안진)이 동반되는 것을 현훈이라고 한다. 현훈은 자신이나 주위가 움직이는 것 같은 환각 상태라고 해도 된다. 실신도 어지럼증을 동반하지만 잠깐동안 의식을 소실했다가 바로 깨어나는 것이 특징이다. 어지럼증은 두통과 더불어 신경학적 증상으로는 가장 흔한 증상이며 대부분 경과가 양호하다. 그러나 간혹 어지럼증 자체가 중요한 신경학적 질환의 한 증상일 수 있으므로 원인 질환에 대한 정확한 진단이 필수적이다.   어지러운 증상이 있다고 모두 병적인 원인 때문에 생기는 어지럼증이 아니다. 누구라도 높은 곳에 올라갔을 때, 멀미와 같이 특별한 상태에서, 갑자기 일어날 때 어지럼증을 느낄 수 있다. 이런 경우 심각한 원인이 있거나 치료해야할 병이 있는 것은 아니다. 우리 몸의 평형을 담당하는 기관이 일시적으로 기능을 정확하게 할 수 없는 상황에 놓여서 생긴 증상은 어지럼증을 유발한 상황이 정상화되거나 적응이 되면 바로 없어진다. 우리 몸이 평형을 잘 유지하고 어지럼증을 느끼지 않으려면 우리 몸의 평형 기능을 유지하는 소뇌, 눈, 내이의 전정기관, 사지의 신경계 등이 모두 조화롭게 기능을 해야 한다. 이 중 한 가지라도 문제가 있으면 어지럼증이 생긴다. 예를 들면 노안이 생겨서 시...

발행일 2012.0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