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스토리

필터
칼럼
[사회적 경제이야기] "사회적경제, 시장의 새 판을 짜다"

▲ 지난 12월 15일 경기도 인재개발원에서 열린 사회적기업 우수기관 시상식   박은호 사회적경제활성화경기네트워크 사무국장   최근 ‘경제민주화’와 더불어 뜨겁게 논의되고 있는 ‘사회적경제’의 올바른 방향과 지속가능한 방안을 깊이있게 고민해보고자 마련한 ‘사회적경제 이야기’ 연재를 이번호를 끝으로 마무리짓는다. 지난 132월호부터 5회에 걸쳐 정부주도의 사회적기업 지원정책의 한계와 개선방향, 전남, 충북, 인천, 경기지역 사회적기업활성화네트워크 활동내용과 각 지역의 좋은 사회적기업의 사례를 살펴보았다. 이번 연재가 사회적기업의 지속가능한 생태계 조성과 질적인 성장을 독자들과 함께 고민하며, 사회적기업에 대한 건전한 인식이 사회전반에 확산되는 계기가 되었기를 기대해본다.   2007년 사회적기업육성법이 시행되고, 2012년 12월에 협동조합기본법이 발효되어 1년 남짓 경과한 지금 경기도에는 145개의 인증사회적기업, 254개의 예비사회적기업, 164개의 마을기업, 419개의 일반협동조합과 37개의 사회적협동 조합이 존재하고 있다. 사회적경제조직의 본원적 존재이유는 사회적 목적을 실현하고자 결성한 경제공동체가 경제사업으로 발생한 이윤(잉여)의 대부분을 사적으로 소유하지 않고, 경제공동체나 지역사회를 위해 사용하는데 있다. 사회적 경제조직을 통한 사회적일자리를 창출하는 것 역시 사회적경제가 담당하고 기여하는 사회적 목적 중 하나일 것이다. 그런데 우리나라의 사회적 경제는 사회적일자리 창출이라는 일면적 목적에 과도하게 집중되어 있다. 이는 1997년 외환위기 이후 실업문제가 극대화되고, 이를 완화하기 위해 정부가 시행한 공공근로 정책 및 사업이 단발적이고 지속가능하지 않음에 따라, 비영리조직이 일자리를 만 들고 정부가 최소한의 재원을 조달하는‘사회적일자리 제공’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기 때문이다.   사회적경제, 대안으로 안착할 수 있을까? 2007년 사회적기업육성법 시행 이후, 사회적 경제 영역이 다양한 분야에서 시도되고 확장되어왔지만, 여전히 정...

발행일 2014.02.11.

칼럼
[사회적경제 이야기]사회적기업의 관건은 '자발성'

필요에 의해 만들고, 자생 가능한 분위기 형성돼야 최혜자 인천경실련 사무국장 전통연희단 ‘잔치마당’은 우리 민족의 희로애락(喜怒哀樂)에 노동과 놀이, 제의를 더해 예술로 승화시킨 창작연희 ‘굿(good)’을 공연한다. 전통타악기, 록밴드, 전자바이올린 그리고 비보이의 어울림 속에서 역동적인 힘이 뿜어져 나오는 공연은 남녀노소 누구나 맘껏 즐길 수 있다. 우리 민족 공동체적 두레정신을 만날 수 있는 대동놀이 ‘굿은 축제다’ 등의 작품을 통해 가장 한국적인 이야기로 대중을 사로잡음은 물론, 세계무대에서도 경쟁력 있는 문화상품을 만들어내고 있다. ▲전통연희단 잔치마당 사회적기업 ㈜송도에스이는 지난 2010년 사회의 소외된 계층에게 더 많은 일자리를 제공하기 위해 포스코에서 설립한 자립형 사회적기업이다. 취약계층의 일자리 창출과 북한이탈주민 재활의 보금자리 마련을 위해 노력한다. 인천 송도신도시 내 포스코 관련사 빌딩에 대한 미화, 주차 등의 서비스 제공을 주요 업무로 하고 있다. 설립당시 사회 취약계층 30명을 고용하여 출발했으나, 점차 사업장을 확장하고 일자리를 늘려 현재 106명의 취약계층을 고용하고 있다. 유형별로 보면 55세 이상 고령자와 북한이탈주민, 저소득층, 장기실업자와 다문화가족 등이며 특히 북한이탈주민은 총 40여명으로 국내 기업 중 가장 많은 인원이다. 출범 당시 경제적 자립을 목표로 입사했던 북한이탈주민 직원들 대다수가 3년이 된 현재는 컴퓨터와 자동차운전, 사이버 대학 입학 등 제2의 인생을 즐기고 있다. ‘사회적기업(Social Enterprise)’은 1970년대 유럽, 미국 등 선진국에서 처음 시작된 것으로, 사회문제해결을 목적으로 발생한 이윤을 사회와 지역에 재투자하는 기업이다. 우리나라에서는 2003년에 처음 등장했고, 2006년 노동부 주관하에 ‘사회적기업육성법’이 제정됐으며, 2007년부터 정부주도하에 사회적기업이 실질적으로 시작됐다. 우리나라 사회적기업은 취약계층에 대한 일자리 문제해결과 사회서...

발행일 2013.12.10.

칼럼
[사회적경제 이야기] "사회적경제로 가는 길목에서"

김종익 경실련전남협의회 사무처장 사회적기업활성화 전남네트워크 운영위원장         지난 해 가장 많이 회자된 키워드가 ‘경제민주화’였다면 올해는 한국 경제를 지배해온 경제체제의 대안으로서 ‘사회적경제’가 논의되고 있다. 「월간 경실련」에서는 일부가 아닌 모두가 상생하는 ‘사회적경제’의 길을 모색하고자 ‘사회적경제 이야기’라는 고정란을 마련했다. 경실련에서는 지난 2011년부터 사회적 기업의 자생적이고 지속가능한 성장환경을 만들기 위해 민간부문이 주도하는 ‘사회적기업활성화 전국네트워크’ 사업에 주도적으로 참여하며 경기, 인천, 충북, 부산, 전남지역 등 5개의 운영사무국을 맡고 있다. ‘사회적경제 이야기’를 통해 사회적경제의 핵심요소인 사회적기업이 정부의 직접적인 재정지원 방식을 벗어나 자립적으로 생존할 수 있는 방향을 함께 고민하며, 사회적기업에 대한 건전한 인식이 확산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편집자   1. 유대와 신뢰로 시작한 사회적기업활성화 전남네트워크 경실련전남협의회가 사회적기업과 동행한 지 1년여의 시간이 지났다. 사회적기업 활성화 전남네트워크의 사무국을 맡아달라는 얘기를 들을 당시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 지 잘 몰랐지만 명분이 뚜렷하고, 경실련이 마땅히 해야 할 일이다 싶어 회원들과 진지하게 상의하고 결정한 후 지금에 이르기까지 취약한 산업기반, 고령화, 무너지는 농어촌 등 어려운 여건에 놓여 있는 전남은 사회적기업을 가장 필요로 한 곳이라는 확신에 변함이 없다. 사회적기업활성화 전남네트워크는 사회적기업의 자립기반과 생태계 구축을 위해 만들어진 민관협의체로서 다양한 공공기관과 민간부문을 대표하는 조직과 개인이 함께 참여하고 있다. 기업을 경영하는 사회적기업 당사자자도 아니고, 그렇다고 제도권 안에 포함되어 있는 공식적인 지원기관도 아닌 어찌 보면 외형만 그럴싸할 뿐 내실 있게 운영되기가 쉽지 않은 네트워크조직은 손을 놓으면 할 일이 하나도 없을 것 같고, 책임을 묻는 사람도 없을 것 같지만 반면 손을 대기 시작하면 해야 할...

발행일 2013.0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