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스토리

필터
스토리
[당신과 나를 이어줄 ㅊㅊㅊ] 매일 밤 평화를 꿈꾸며 온라인에 집회의 등을 답니다. 여러분을 기다리며.

[월간경실련 2022년 3,4월호-당신과 나를 이어줄 ㅊㅊㅊ] 매일 밤 평화를 꿈꾸며 온라인에 집회의 등을 답니다. 여러분을 기다리며. 조진석 나와우리+책방이음 대표   매일매일 전쟁을 치르고 있습니다. 지난 2월 24일, 푸틴이 대통령인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3월 10일부터 일상이 전쟁터가 되어버렸습니다. 그날부터 매일 밤마다 우크라이나의 평화를 기원하는 ‘온라인’ 집회를 조직해서, 평화의 노래를 듣고 우크라이나 상황을 공유하고 평화 정착을 위한 강의를 구성하고 있습니다. 집회를 준비하는 것이 하루에 가장 중요한 일이기에, 식사도 청소도 책방운영도 뒷전으로 밀려났습니다. 전쟁을 온몸으로 겪는 이를 떠올리면 책 읽기조차 사치스럽게 느껴집니다. 전쟁과 우리 삶이 결코 떨어진 것이 아닙니다. 우크라이나의 주요 수출품인 밀과 옥수수는 물론이고 러시아가 수출하는 원유와 천연가스와 명태가 한국과 직접적인 연관을 맺고 있습니다. 이 전쟁이 국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대단히 광범위하고 큽니다. 이뿐만 아니라 그렇지 않아도 기후위기로 인해서 농수산물의 생산과 유통이 유례없는 영향을 받는 중에, 이번 침공이 장바구니 물가에 악재로 등장한 점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1ℓ에 1,700원 하던 휘발유 가격이 2,100원으로 불과 두 달 사이 20% 넘게 올랐습니다. 기름값 인상은 다른 물품 가격의 연쇄 상승을 불러올 것이기에, 예의주시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멀고 먼 우크라이나에서 일어난 전쟁이지만, 우리의 생활에 미치는 영향이 클 뿐만 아니라 전쟁의 부조리와 비윤리적인 면을 생각지 않을 수 없습니다. 지난달부터 내 집에 불이 나지 않았다고 해서, 화마에 갇힌 사람들이 가족을 잃고 피난민이 되어서 떠돌고 있는데, 과연 단잠을 자고 전쟁의 피해에 대해서 무관심해도 되는가 싶은 윤리적인 질문이 제 머릿속을 떠나지 않습니다. 이 부분은 『내가 라면을 먹을 때』를 읽은 이후 내내 떠나지 않는 질문입니다. 이야기는 이렇습니다. “내가 라면을 먹을 때, 옆에서...

발행일 2022.04.06.

칼럼
[칼럼] 전쟁과 분단, 그리고 우리가 할 일__박순장 민화회 회장

  전쟁과 분단, 그리고 우리가 할 일   박순장 민화회 회장     올해로 한반도가 우리민족의 의사와는 관계없이 주변강대국들의 이해관계에 따라 분단 된지 어언 68년이 되어 가고 있다. 한반도는 북서쪽의 중국, 북동쪽의 러시아, 남동쪽의 일본, 태평양 너머의 미국 간에 위치하여 지정학적으로 북방의 대륙세력(중국, 러시아)과 남방의 해양세력(일본, 미국)의 접경지에 자리 잡고 있다. 대륙세력과 해양세력의 진출시 한반도는 그 진출의 대립과 대치의 주 요충지가 되었으며 그 결과 한반도는 대륙세력과 해양세력과의 전장이 되거나 열강의 이익을 추구하려는 목적 하에 분할 대상이 되기도 하였다. 그리하여 이땅에서 큰 전쟁이 발생 할 때마마다 외세가 개입을 하였으며 그때마다 그들의 이해관계에 따라 한반도 분할이 논의되어 왔으며 급기야 2차대전의 종전과 함께 강대국들의 편의에 따라 분단이 되었다.   전통적으로 한반도의 종주국을 자처해온 중국과 1세기 이상 태평양의 부동항을 염원하던 소련 및 일본이 전략적 요충지인 한반도에서 충돌함은 필연적이라 할 수 있다. 일본, 중국, 소련은 그들의 국익과 형세에 맞추어 한반도의 분할안을 제안했다. 이들 국가들이 분할안을 제안함은 그 어느 국가도 한반도를 완전히 지배할 수 없을 때, 한반도를 분할 지배함으로서 극동의 전략적 요충지인 한반도에서 영향력을 가지려고 했던 것이다.   임진왜란 초반 일본 명나라의 1차 대동강 분할론     1592년 4월 14일 토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풍신수길)는 임진왜란을 구상하고 자신의 오른팔격인 가토 기요마사(加藤淸正,가등청정)에게 조선침략을 명령하여 20여일만에 한반도 대부분을 점령하고 평양성을 점령하였고, 무력한 조선(25대 선조)정부는 명나라 황제에게 구원을 요청하여 명나라가 조선을 도와 참전하자 일본의 고니시 유키나가(소서행장,小西行長)는 명나라에게 평양을 경계로 평양 이북은 명나라에 귀속시키고 평양 이남은 일본에 귀속시키는 내용의 조선 분할을...

발행일 2013.06.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