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필터
통일
[현장스케치] 5.24조치 해제 촉구 서명운동 및 캠페인

남북교류협력 정상화와 한반도 평화를 위한  5.24조치 해제 촉구 서명에 함께해주세요 (사)경실련통일협회는 지난 30일(화) 광화문역 7번 출구 앞에서 남북교류협력 정상화와 한반도 평화를 위한 5.24조치 해제 촉구 서명운동 및 캠페인을 진행하였습니다. 5.24조치 해제 서명은 온라인으로도 참여 할 수 있습니다.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서명 바로가기 >> http://2url.kr/a9q7   5.24조치란 2010년 천안함 사건 이후 이명박 대통령이 밝힌 대북제재조치로, 주요 내용은 ▲북한 선박의 우리 해역 운항 전면 불허 ▲남북교역 중단 ▲우리 국민의 방북 불허 ▲대북 신규투자 금지 ▲인도적 지원 중단입니다. 지난 5년 간 5.24조치로 인해 남북교류협력은 전면 중단되고 남북관계는 대립과 갈등이 지속되었습니다. 무엇보다. 5.24조치로 인해 남북경협이 전면 중단되면서 남측의 피해는 15조 8천억에 이릅니다. 실제 경협기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107개 경협기업 중 100개(93.5%) 경협기업이 5.24조치로 인해 경혀 환경이 악화되었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5.24조치 이후 남북관계 역시 심각하게 악화되었습니다. 2007년 55회에 이르던 남북간 회담은 2011년 1회에 그쳤으며 2012년에는 단 한 차례도 없었으며, 남북장관급 회담 역시 7년 넘게 중단되어 있습니다. 이산가족 상봉 역시 2007년 3.613명에 이르렀지만 2011년 2012년 2013년 단 한 차례도 이루어지지 못했으며, 대북 인도적 지원 역시 2007년 4,397억 원이었지만 2012년 141억원까지 감소 했습니다. 반면 5.24조치 직후, 북중무역 규모는 35억 달러(2010년)에서 56억 달러로 2배 가까이 증가 했습니다. 북러무역 역시 2013년 1억 달러를 돌파하면서 전년대비 37% 증가 했으며 양국은 2020년까지 무역 규모를 10억 달러로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반면 남북교류협력은 개성공단을 제외하고 ...

발행일 2015.04.01.

정치
5.24조치 관련 전문가 설문조사 결과 발표

5.24조치 관련 전문가 설문조사 결과 발표 전문가 73%, 5.24조치로 북한제재효과 없어 압도적 다수(91%), 5.24조치 해제·완화로 전향적 남북관계 열어가야 I. 조사 목적 ○ (사)경실련통일협회는 2010년 천안함 사건에 대한 이명박 정부의 5.24조치 4주년을 맞이해 학계, 정책연구집단 등의 북한·통일 전문가 11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 조사내용은 5.24조치에 대한 평가, 해제 또는 유지 여부, 향후 우리정부의 대북정책 방향 등 10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조사는 5.24조치의 해제 혹은 유지 여부에 대한 응답을 기준으로 해, 추가 설문은 5.24조치 해제 또는 완화에 찬성한 응답자군과 반대한 두 응답자군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Ⅱ. 조사 내용(설문문항) 1. 5.24조치는 해제 또는 완화되어야 합니까? (예 : 2번~6번 / 아니오 : 7번~10번) 2. 5.24조치 해제 또는 완화에 “예” 라고 답변하신 가장 큰 이유는 무엇입니까? 3. 5.24조치로 북한 제재효과는 남한의 피해에 비교해 상대적으로 어느 정도였다고 평가하십니까? 4. 박근혜 정부 임기이내에 5.24조치 해제 또는 완화 가능성은 어떻게 보십니까? 5. 5.24조치의 가장 바람직한 해제 또는 완화 방법은 무엇입니까? 6. 박근혜 정부의 대북정책은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한다고 생각하십니까? 7. 5.24조치 해제 또는 완화에 “아니오” 라고 답변하신 가장 큰 이유는 무엇입니까? 8. 5.24조치로 북한 제재효과는 남한의 피해에 비교해 상대적으로 어느 정도였다고 평가하십니까? 9. 박근혜 정부 임기이내에 5.24조치 해제 또는 완화 가능성은 어떻게 보십니까? 10. 박근혜 정부의 대북정책은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한다고 생각하십니까?   Ⅲ. 조사 방법 ○ 본 조사는 북한·통일문제를 연구하거나 대북사업 혹은 통일운동에 관여하는 각계의 전문가들을 모집단으로 하여 2014년 5월 8일(목)부터 20일(화)까지 12일간 설문...

발행일 2014.05.22.

정치
20110524_정부의 대북 봉쇄 조치(5.24조치)1년, 전면 재 검토해야

  5.24조치 일 년이 지났다. 북한의 사과와 재발 방지 약속을 전제로 대북한 교류 및 교역의 중단을 선언한 지 일 년이 지났다. 북 선박의 남측 해역 운항 불허, 남북교역 중단, 국민의 방북 불허, 대북신규투자 금지, 대북지원사업의 보류로 인적, 물적 교류의 차단 등으로 북한에 직접적인 경제적 압박을 통해 북한의 입장변화를 이끌어 내겠다는 목적이었다. 일 년이 지난 현시점에서 5.24조치에 대한 냉정한 평가가 필요하다. 북한에 대한 압력은 제한적 효과에 그쳤으며, 북한의 공식적인 사과를 이끌어 내지 못하고 있다. 한반도의 군사적 위험이 상시화 하였고, 대북관계의 단절로 노태우 정부의 7.7선언 이전으로 후퇴하여 통일미래를 준비하는데 득보다 실이 많아 졌다는 평가에 직면해 있다. 북한에 들어갈 3억 달러의 현금을 막는 효과가 있다는 주장도 북중 경협의 활성화로 그 효과를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다. 남북관계는 물론 국제사회에서 대북제재는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북한과 중국의 경제적 연계만 강화되었고, 남북교역 중단으로 인해 남측 위탁가공업체와 내륙무역기업이 심각한 경영난에 처했다. 700여개로 추산되는 대북교역 업체 중 5.24조치 이후 대부분의 업체는 자금악화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102곳 업체는 중단상태이며, 다수의 업체들이 업종전환, 동남아 등으로 생산라인을 옮기고 있다. 또한 금강산, 개성 관광 등 교류와 협력을 의존하고 있는 접경지역 주민들의 피해도 크다.   경실련통일협회는 이명박 정부가 5.24조치를 넘어선 대북관계 변화를 도모할 것을 촉구한다. 5월 23일 ‘북한 동포 식량지원 호소를 위한 종교-시민사회 대표자 기자회견’에서도 밝혔듯이 순수한 인도적 차원에서의 식량지원 재개를 시작으로 대북관계의 변화를 촉구하는 바이다. ‘북한 동포 식량지원 호소를 위한 종교-시민사회 대표자 기자회견’에서 밝혔듯이 최소한의 영유아, 임산부 등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한 인도적 지원이 필요하다. 취약계층에 대한 최소한의 식량 지원은 정치적...

발행일 2011.05.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