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암동 박정희기념관 건립반대 시민사회단체 성명

관리자
발행일 2000.07.26. 조회수 2923
정치

  최근 서울시의 부지 기증으로 서울 상암동에 박정희 기념관이 2백억원의 국고지원 아래 건설된다는 보도가 있었다.



  우리는 1999년 11월 15일, 박 정희 대통령 기념관 건립에 대한 100억원의 국고지원에 대하여 60여개 시 민단체의 연명으로 '박정희 대통령기념관' 건립을 반대하는 성명서를 발 표한바 있다. 이 성명에서 우리는 박정희 전 대통령의 평가를 둘러싼 논 쟁이 첨예하게 존재하는 상황에서 국민의 세금을 통해 기념관을 짓는 것 은 새로운 국론분열을 낳는다는 점, 유신독재 치하에서 탄압과 희생을 강 요받은 많은 정치적 희생자가 현존하고 또한 그가 남긴 유산으로 사회적 모순이 곳곳에 남아 있는 현 시점에서, 그를 기념하는 기념관을 건립하 는 것은 '역사바로 세우기'에 역행한다는 점을 분명히 밝힌 바 있다. 우 리는 당시 박정희 기념관이 순수 민간차원에서 추진된다면 이를 굳이 반 대하지 않을 수 있으나, 이를 국민의 대다수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국민의 혈세로 건립한다는 것은 도저히 용납할 수 없음을 밝혔다.


최근의 발표는 우리를 더욱 분노하게 만들고 있다. 사회적 반대가 강력 히 존재하는 상황에서, 우선 서울시가 상암동 부지를 기증하겠다는 것 자 체가 문제이다. 또한 건립된 박정희 기념관을 다시 서울시에 기부체납하 는 것으로 되어 있는데, 이는 향후 기념관의 운영비가 서울시 예산과 국 고에서 지급되게 될 것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이는 박정희 기념관 '건 립'을 위한 국고지원 차원을 넘어서서, 향후 '운영'을 위한 국고지원도 있을 것임을 보여준다. 이는 납세자인 국민의 합의가 없는 상황에서 일부 관료들과 박정희 추종집단들의 음성적인 담합에 의한 것이라고 해석하지 않을 수 없다.



  우리에게 필요한 것이 있다면, 그것은 독재자를 기념하는 기념관이 아니라 역대 대통령의 공과가 객관적으로 드러나는 각종 자료들의 보관처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 점에서 1999년 10월 14일 '박정희 기념관 건 립 및 국고지원을 반대하는 전국 역사학자 모임' 성명서에서도 제시된 바 같이, 과거의 독재자 대통령들을 기념하는 것이 아니라 한국현대사를 올바로 교육할 수 있는 시설로서 모든 전직 대통령의 공과를 드러내주는 '대통령 역사자료관'이 건립될 수도 있을 것이다.



  우리는 이 사안 자체가 박정희 기념관 건립이라는 하나의 사안에 그치지 않고 올바른 역사를 만들어가야 하는 중차대한 과제의 중요한 일부라고 생각한다. 그런 취지에서 우리는 '박정희 기념관 국고지원을 반대하는 시 민·사회단체 연석회의'의 명칭을 '올바른 역사만들기 시민·사회단체 연 석회의'로 개칭하고, 상암동 박정희 기념관 건립과 그에 대한 서울시 및 정부의 지원에 강력히 반대하고자 한다.


이에 우리는 다음과 같이 우리 의 요구사항을 분명하게 천명하고자 한다.



1. 박정희 기념관 건립 부지를 제공하는 서울시장 및 관계자의 반성을 촉구한다.
1. 박정희 기념관 건립을 중단하라.
1. 박정희 기념관 건립사업에 대한 국고지원을 중단하라.
1. 청와대와 정치권은 정략적 발상으로 국민의 세금이 낭비되는 것을 방관하지 말라.

2000년 7월 24일
올바른 역사만들기 시민·사회단체 연석회의 



<주요참가단체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관악민주포럼. 김상진기념사업회. 나라사랑국민운 동협의회. 나라사랑양심선언자회. 노동인권회관. 녹색연합. 대한민국독립 유공자회. 동아시아역사연구회. 문학예술연구소. 민예총. 민족문학사연구 소. 민족문학작가회의. 민족문제연구소. 민족사회운동연합. 민족정기수호 협의회. 민족정기회복운동시민단체연합. 민족학회. 민주노총. 민주주의민 족통일전국연합. 민주주의법학연구소. 민주화를위한전국교수협의회. 민주 화운동자료관추진위원회. 바른역사찾기시민모임. 박정희기념관건립및국고 지원반대를위한전국역사학자모임. 사월혁명연구소. 4월혁명회. 사회진보 연대. 삼균학회. 3·1운동기념사업회. 서울사회과학연구소. 시민환경연구 소. 여성단체연합. 역사문제연구소. 역사학연구소. 열린문화운동시민연 합. 열린사회희망연대. 우리말살리는겨레모임. 의병기념사업회. 인터넷대 자보. 장준하기념사업회.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전국빈민연합. 전국역사교 사모임. 정신개혁시민협의회. 조세정의를위한한국납세자연합. 참여연대. 천주교정의구현전국연합. 청년연석회의. 70년대민주노동운동동지회. 통일 맞이. 푸른시민연대. 학술단체협의회. 한국공간환경학회. 한국교육연구 소. 한국농민회총연맹. 한국농어촌사회연구소. 한국사회경제학회. 한국사 회과학연구소. 한국산업노동학회. 한국산업사회학회. 한국언론정보학회. 한국여성노동자협의회. 한국여성연구소. 한국역사연구회. 한국정치연구 회. 한국철학사상연구회. 한국휴먼네트워크. 한민족네트워크추진위원회. 한민족여성연합. 환경운동연합. (이상 가나다順)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