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 거품을 빼자] 발파깎기 단가 '하청가격의 3배'

관리자
발행일 2006.01.23. 조회수 2447
부동산

 


 


민자사업 등 정부의 각종 도로사업에서 여전히 공사비가 부풀려져 있음이 확인됐다. 그러나 정부는 공사가격 산정방식을 근본적으로 개선하지 않은 채 생색내기 처방에만 몰두하고 있다. 오히려 예산절감에 앞장서고 있다는 홍보자료 작성에 열을 올리고 있다.


 



 


도로건설에서 토공사(도로를 내기 위해 산이나 땅을 깎는 등의 기초적인 공사)는 전체 공사비의 30% 정도를 차지한다. 이 토공사의 70~90% 정도가 깎기, 운반, 쌓기이다. 그러나 토공사의 정부가격은 시장가격보다 2배 높다.


대구~부산고속도로의 토공사 직접공사비 중 발파깎기는 39%, 덤프운반은 47%로 2개 공종에만 전체의 86%의 예산이 소요된다.


그러나 현대산업개발, 대림산업 등 시공사가 정부로부터 받아낸 공사비는 시장에서 형성된 가격보다 2배 이상 많다.


실제로 주요 시공사 중 하나인 대림산업은 발파깎기 단가(㎥당 가격)를 8,336원으로 책정했지만 중소건설사 하도급금은 2,800원에 불과했다. 즉 하청단가보다 3배 가까이 부풀려진 공사비를 정부가 승인해 준 것이다.


덤프운반에서도 받은 금액의 절반도 안되는 금액에 하청을 줬다. 공사비로 1만3백69원(토취장에서 돌을 운반한 경우)을 받아놓고 하도급자에게는 4,100원만 준 것이다. 이는 꼭 대구~부산 고속도로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서울~춘천간 고속도로의 경우, 발파깎기와 덤프운반의 합계가 70%에 이르지만 사정은 똑같다.


이는 정부의 원가계산기준인 품셈이 잔뜩 부풀려져 있기 때문이다. 민자사업자는 이런 품셈으로 공사비를 심사받고 낙찰률 100%에 공사를 따내는 것이다.


특히 고속도로 사업에서 정부는 원청업체가 하도급 내역을 정부에 통보해야 하기 때문에 실제 시장가격을 알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부풀려진 품셈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경실련이 지난해 품셈 문제를 지적하자, 정부는 건설원가 현실화를 위하여 품셈 개정 및 실적공사비 대상을 적극 확대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올해 발표된 개정 결과는 그야말로 생색내기 수준이다. 덤프운반의 경우 주행속도만 조금 높였을 뿐 거품제거의 핵심 요소의 하나인 주연료비 항목은 손도 대지 않았다. 시장가격을 반영한다는 실적공사비도 마찬가지다. 발파깎기 공종은 계속 미루다 지난해 하반기 실적공사비로 처음 전환됐지만 실적단가(5,021~6,437원)는 여전히 시장가격(3,000~3,500원)의 두배나 된다.


사정이 이러한 데도 건설교통부는 “가시적인 예산절감 효과를 거두는 것은 물론, 방대한 예산을 집행하는 부처로서의 이미지 향상에도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자화자찬했다.


 


[문의 : 시민감시국 766-9736]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