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실련 오마이뉴스 공동기획)정부 부동산/개발 정책진단

관리자
발행일 2010.03.17. 조회수 1993
부동산

 


 1989년 경실련은 ‘땀 흘려 일한 사람이 대접받는 사회 건설’을 위해 시민들과 함께 우리사회 경제정의를 바로 세우기 위해 출범했다. 그리고 경제정의를 실현하기 위해 금융실명제, 중앙은행 독립, 토지공개념제도 도입, 소비자 중심의 후분양제, 공공보유주택 20%이상 확충, 도시재생사업의 공공성 강화, 공공사업의 경쟁입찰방식 확대 및 턴키(대안) 폐지, 민간투자사업 폐지 등 민생과 경제에 대한 각종정책 대안 제시를 통해 머슴(관료)과 심부름꾼(국회의원, 자치단체장)들이 이 땅의 주인들을 위해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알려왔다.


 이명박 정부출범이후 지속적으로 각종 정책을 모니터링 하고 있다. 특히, 부동산정책과 일자리정책을 분석한 결과 “친공급자 반소비자”, “친대기업 반소기업” “친부자 반서민” “친기득권 반청년층”등 한쪽으로 치우친 정책에 대해 경고를 해왔다. 특히, 수십조원의 대형국책사업인 ‘4대강 사업과 세종시 개발사업’ 등도 관련법이 정한 절차를 무시하고, 전문가의 검증도 받지 않은 채 밀어붙이기식으로 추진되고 있다.   


 세금과 개발이익으로 추진되는 개발 사업이 정치논리가 아닌 전문가의 면밀한 사업타당성검토를 거쳐 환경영향평가 등의 절차에 따라 추진되어야 하는 것은 너무나 당연하다. 그러나 이명박 정부뿐 아니라 과거정부에서도 이는 쉽게 무시되어져 왔고, 검증도 안된 개발공약들이 대선, 총선, 지방선거에 출마하는 후보들에 의해 남발되어 왔다. 그로 인해 발생한 사회적 갈등, 국민세금 낭비, 국토환경 파괴 등의 피해는 모두 국민 부담으로 전가되고 있다.


 반면 서민주거안정을 위한 공공보유주택 확충, 분양원가 공개, 후분양제 이행 등과 개발부패방지 및 예산절감을 위한 경쟁입찰 확대, 직접시공제 도입 등의 공약도 선거 때만 되면 제시되었을 뿐 실제적으로는 이행되지 않고 있다.  


 그 결과 1987년 민주화이후 20년이 지났지만 정권만 바뀌었을 뿐 집 없는 서민과 근로자를 위한 정책은 헛공약(空約)에 그쳤고, 제대로 검증도 안된 개발공약만 남발되어 부동산부자와 재벌만 온갖 특혜를 독점하고 있다. 외환위기 이후 기업들의 부채는 줄고 자산이 증가했지만 시민들의 부채는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가처분소득이 주는 등 자산의 양극화와 일자리와 소득의 격차가 심각한 상태이다.  


 이에 경실련은 서민주거안정과 남발되어지는 개발공약 근절을 위해 이명박 정부 뿐 아니라 과거정권에서 어떤 개발공약이 남발되었는지 등에 대해 분석결과를 발표할 것이다. 아울러 오는 6월에 있을 지방선거와 관련하여 각 정당과 후보자에게 대안을 알리고자 한다.



 첫 번째는 현재 추진되고 있는 ‘보금자리주택 정책’이다. 


(문의 : 시민감시국 T. 02) 766. 9736)

첨부파일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