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보금자리 주택건설을 약속대로 이행하라.

관리자
발행일 2009.12.12. 조회수 1963
부동산



 


-보금자리 주택건설 약속을 이행하라.
-그린벨트에 건설할 주택은 팔지 말고 '공공보유주택'으로 하라


 


 국토해양부가 지난 10일 `2010년 경제운용방향`에서 밝힌 보금자리주택 공급 계획은 총 18만가구이다. 수도권 14만가구(그린벨트 해제를 통한 8만가구, 신도시에서 4만가구, 도심 재개발재건축 사업 등을 통해 공공기관이 매입한 주택 2만가구)와 지방 4만가구이다.




 그러나 국토부는 지난 8월 말 보금자리주택 공급 계획을 조정하면서 2009년부터 2012년까지 연평균 수도권 15만가구, 지방 5만가구 등 20만가구를 공급하겠다고 밝혔으나 반년만에 2만가구를 줄인 것이다.




 경실련은 정부가 건설경기 부양을 위해 주택경기를 활용하면서 한편으론 서민을 위한다는 명분으로 그린벨트까지 훼손하더니, 이제는 계획된 건설물량 조차 축소하는 원칙과 기준, 정책의 일관성, 예측할 수 없는 행정에 우려하면서 다음과 같이 입장을 밝힌다.




역대정부가 한 거짓말 "공공주택(영구임대) 말로만 100만호, 150만호 짓겠다."




 그동안 역대 정부는 공약이나 집권기간에 집값이 급등하면 서민용의 임대주택 등을 100만호, 150만호를 짓겠다고 발표만 했었다. 정부가 시민들에게 했던 약속이 제대로 지켜졌다면 현재 우리나라는 공공주택을 200만호 이상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

 하지만 공공주택은 2007년 기준으로 총 주택재고량 1,379만호의 3%인 46만호에 불과하다. 결국 역대정부는 서민들의 주거불안을 해소하기위해 대량으로 공공주택을 건설하겠다고 거짓 발표만 했을 뿐 사실상 신도시와 공공택지를 이용 부동산투기만 조장했고 공공주택확대정책은 이행하지 않았다.



우리의 공공주택은 "고작 3%(46만호)밖에 안된다."



 과거 정부가 시민들에게 약속한 공공주택 공급 계획을 실행하였다면, 현재 220만호의 공공주택을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 그러나 임대주택은 총주택건설량의 1,516만호의 13% 수준인 200만호밖에 건설되지 않았고, 그나마 건설한 200만호 중 60만호를 팔았다.

 따라서 2007년을 기준으로 전체주택재고 중 정부가 보유한 장기공공주택은 3.4%인 46만호(3.0%)에 불과하다.
우리나라의 공공보유주택 비율 3.4%는 OECD가입국의 평균 11.5%, EU의 평균 13%, 선진유럽 8개국의 18.7%에 비교해도 매우 부족한 현실이다.



‘섬기는 정부’는 집권 1년만에 "공공보유주택 계획을 180만호 줄였다."



 우리나라 주거 실태를 보거나 선진유럽과 비교해도 공공보유주택이 매우 부족하다. 이로 인해 무주택 젊은 세대들이 결혼을 늦춰 결혼연령의 고령화 현상과 출산기피로 인한 저출산 문제가 심화되고 있다. 그런데 정부는 반대로 집권 1년만에 공공주택 공급계획량을 180만호나 축소시켰다.

 집권 기간 내내 주택과 부동산 가격 폭등으로 민심을 잃고 겨우 마지막 해인 2007년 1월 참여정부는, 2017년 까지 260만호의 장기공공보유주택을 공급하여 선진국 수준인 20%를 달성하겠다고 발표했었다. 그로부터 1년 뒤 정부는 보금자리주택건설방안('08.9)에서 2018년까지 80만호(년간 8만호)로 계획을 바꾸겠다고 발표하였다. 결국 1년 만에 180만호가 줄었다.



<표> 참여정부와 이명박 정부의 장기공공주택 건설계획 비교




























구 분


발 표 일


계획기간(년)


건설계획(만호)


목표 재고율


참여정부


주거복지 향상을 위한 공공부문역할 강화 방안(2007.1.31)


2007~2017


260


20%


이명박정부


국민 주거안정을 위한 도심공급 활성화 및 보금자리 주택 건설방안(2008.9.19)


2008~2018


80


12%


비고



10년


- 180


- 8%





 과거정부에서 공공보유주택 확대를 약속만하고 실제 이행하지 않았듯이, 이명박 대통령도 역시 대폭 계획량을 축소시킨 것으로 보아 공공보유주택 80만호 공급 약속조차 이행할 의지가 있는 지 궁금하다. 그리고 도시재생사업을 통해 주택공급이 확대되지 않는다는 것을 뻔히 알면서 투기를 조장을 위해 개발업자들이 요구한 재개발, 재건축사업의 각종 규제들을 풀어 투기의 대상으로 만들었다. 뉴타운과 재개발 사업들은 다세대, 다가구 등 서민용 주택을 대량으로 멸실시켜 전세가격이 급등하는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음에도 이에 대한 제대로 된 대책도 마련하지 않고 있다.


결국 이명박 대통령은 경기부양을 위해 주택경기를 활용하고 ‘친서민’ 정책으로 발언하지만, 실상은 과거정부와 마찬가지이며, 보금자리 주택과 공공보유주택 정책에서 서민을 위한 진정성 있는 정책으로 보이지 않는다.




정부는 약속한 보금자리 주택건설 약속을 이행하고 신도시와 그린벨트에 건설할 주택은 팔지 말고 '공공보유주택'으로 하라.




 정부가 발표한 보금자리 주택건설은 서민들의 주거안정을 위해 반드시 지켜져야 할 약속이다. 그런데 정부가 건설계획을 발표할 때는 요란스럽게 서민을 위한다고 발표하면서, 약속한지 반년도 안 돼 약속을 지키지 어렵게 되자 슬그머니 꼬리내리기를 하고 있다. 경제위기에 서민들의 주거의 고통이 더 가중되고 있음에도 정부가 일관성 없고, 예측할 수 없는 정책을 추진하는 것은 정부에 대한 불신만을 키울 뿐이다. 정부는 시민들에게 약속한 보금자리 주택건설 약속을 이행하기 바란다.





 또한 그린벨트를 해제하여 건설할 보금자리 주택은 분양하지 말고 전부 공공주택으로 해야 한다. 이명박 대통령이 8·15 경축사에서 밝힌 '획기적 주택정책'이란 수도권 그린벨트를 2012년까지 다 풀어 주택용 토지로 개발하겠다는 것이었다. 그린벨트는 도시의 과도한 팽창과 도시간 연담화를 방지하고 도시의 허파 역할을 하고 있어 오히려 보전해야 함에도 이를 풀어 개발을 한다는 것은 대단히 잘못된 정책이다.

 과거 박정희, 전두환 군사독재시절에도 그린벨트를 풀어 주택을 건설한다는 것은 엄두조차 내지 않았다. 따라서 그린벨트를 해제하는 것은 도시의 허파를 없애겠다는 것으로 시민들도 동의하기 어려운 정책이다. 그린벨트 해제 방침을 철회해야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가 무조건 그린벨트를 풀어 주택을 건설해야한다면 반드시 팔지 말고 공공이 보유해야한다.





 정부 발표와 같이 주변시세의 50~70%로 분양을 한다면 투기만 자극할 것이다. 지금 정부가 보금자리 주택을 3~4억원에 분양한다면 분양이후 주택가격이 약 10억원이상까지 상승할 것은 당연한 것인데 이를 헐값에 판다는 것이다. 오히려 팔지 않고 건설원가 수준으로 1-2억원에 서민들에게 전세로 공급한다면 서민들은 저렴한 가격에 주거안정을 지원받을 수 있고, 정부도 싼값에 팔지 않아 서로 이익이다. 정부는 그린벨트를 해제하여 건설하는 보금자리 주택을 팔지 말고 모두 서민들에게 전세주택으로 공급하길 바란다.



[문의 시민감시국 02-766-9736]

첨부파일

댓글 (0)